첫 날 수량 거의 채워... 동물보호단체 거센 비난









(올랜도) 김명곤 기자 = 플로리다주에서 21년 만에 재개한 흑곰 사냥이 논란 가운데 하루만에 막을 내렸다.



주 야생동물조류보호위원회(Florida Fish and Wildlife Conservation Commission)는 24일부터 약
일주일간 수렵꾼들의 흑곰 사냥을 허가했으나 재개 하루만에 제한량을 거의 채워 주 북부와 동부 지역은 일찌감치 폐쇄했고,
이튿날에는 공식 마무리했다. 위원회가 허가한 수량은 중부와 북부(200마리), 남부(80마리), 동부(40마리) 등 총
320마리였다.



주정부는 1994년에 흑곰 사냥을 중단했으나 근래 개체수 증가에다 주민 불평 신고가 잦아지면서 사냥 빗장을 다시 풀었다.



1970년대 수백 마리에 불과하던 흑곰은 올해 현재 3천여 마리로 늘어났다. 또 정부는 곰이 먹을 것을 찾아 민가로 들어오면서
주민 신고와 사고 발생이 빈번하자, 올해 전체 개체수의 약 10%인 320마리에 대한 사냥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사냥 재개로 플로리다 주민 100달러, 외지인에 300달러를 부과한 사냥 허가증이 24일까지 3천300여장이나 팔려나갔다.
사냥꾼들은 무게 100파운드 이상의 곰만 잡을 수 있으며, 사냥 후 12시간 내에 33개 지정 구역에 가서 이를 신고하도록 했다.



한편 곰 사냥을 전후로 동물 보호론자들은 주내 주요도시들에서 시위를 벌이며 정부의 사냥 재개 결정과 사냥꾼들을 비난했다. 이들은
올해 4월에 사냥 재개 결정이 난 후 꾸준히 반대 목소리를 높혀 왔으며, 사냥이 예정 코스를 밟자 주 야생동물조류보호위원회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미국휴먼소사이어티는 최근 짐바브웨의 국민 사자 '세실'을 불법으로 도륙해 전 세계 네티즌들을 분노케 만든 미국인 치과 의사 월터
파머를 들며 흑곰 사냥꾼들을 '트로피 헌터'로 몰기도 했다. 트로피 헌터란 자기 과시용 박제를 위해 사냥을 하는 이들을 비꼰
말이다.


찬성론자들, "야생동물계의 조화에 공헌" 주장


이에 지난 주 <탬파트리뷴>에는 흑곰 사냥과 관련한 최근 논란은 현실보다는 감정에 휩쓸려 나온 것이라는 한 사냥꾼의
기고문이 실리기도 했다. 기고문은 정부의 사냥 시스탬으로 인해 멸종 위기 등 큰 피해를 입은 동물 개체는 없다고 지적하고, 사냥은
차라리 야생동물계의 조화에 공헌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냥꾼은 양심의 거리낌 보다는 자긍심을 지니고 있다고 전했다.



또 기고문은 사냥이 어려운 흑곰을 합법적으로 허락하는 것에 대부분의 사냥꾼들은 감사해 하며, 이같은 마음이 자신이 잡은 곰의
표피나 두골 등을 간직하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기고문은 사냥으로 얻은 고기를 가족 및 친지들과 나누며 즐기는 것은 본래
인간이 누리던 식생활 방식이자 순수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한편 동물 보호론자들은 주거지가 외곽으로 확장되면서 자연히 동물과의 조우도 빈번해지고 있는 만큼 사냥 허가 보다는 주민들의 쓰레기
처리와 냄새 줄이기에 신경을 더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앙플로리다지역은 지난해부터 곰이 빈번히 나타나는 지역 동네에 경고문을
배포했고, 올해는 시 자체에서 특수 쓰레기통 규정을 세우려는 움직임을 보여왔다.
  • |
  1. bear.jpg (File Size:63.1KB/Download:3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95 미국 교육예산 늘려라? 학교 평가제도 바꿔라! file 뉴스앤포스트 18.10.02.
1894 미국 10월3일은 비상경보 훈련의 날 “놀라지 마세요” file 뉴스앤포스트 18.10.02.
1893 미국 ‘운전 은퇴’ 조언, 자녀가 나서는 것이 바람직 코리아위클리.. 18.10.03.
1892 미국 플로리다대학, 미 전국 대학 랭킹 35위로 ‘껑충’ 코리아위클리.. 18.10.03.
1891 미국 플로리다 주택세 추가 공제 발의안, 60% 찬성 얻을까 코리아위클리.. 18.10.03.
1890 미국 조지아주 세수 작년보다 7%이상 늘어 file 뉴스앤포스트 18.10.07.
1889 미국 차기 조지아 주지사, 켐프가 앞서나? file 뉴스앤포스트 18.10.07.
1888 미국 뉴욕 교통혼잡료 시행될까 file 뉴스로_USA 18.10.07.
1887 미국 교육-연구용 시신 기증자 증가 추세 코리아위클리.. 18.10.11.
1886 미국 플로리다 주지사 후보 지지율 ‘막상막하’ 코리아위클리.. 18.10.11.
1885 미국 열기 뜨거운 플로리다 연방상원의원 선거 코리아위클리.. 18.10.11.
1884 미국 10월은 '유방암 자각의 달', 정기검진 필요 코리아위클리.. 18.10.11.
1883 미국 미 보수 매체 TAC, 대북 여행 금지 해제 요구 file 코리아위클리.. 18.10.11.
1882 미국 “보류처리 됐어도 투표할 수 있어요!” file 뉴스앤포스트 18.10.13.
1881 미국 강경화 장관 "북미, 구체적 행동으로 서로 신뢰 구축해야" file 코리아위클리.. 18.10.13.
1880 미국 자동차 구입세 105달러, 왕따 피해학생 장학금으로 코리아위클리.. 18.10.17.
1879 미국 플로리다 최초 흑인 주지사 탄생할까? 코리아위클리.. 18.10.17.
1878 미국 최신 여론조사 “켐프 47 대 아브람스 46” file 뉴스앤포스트 18.10.18.
1877 미국 기록적인 조기투표, 민주당에 유리한가? file 뉴스앤포스트 18.10.20.
1876 미국 볼턴, ‘북미2차정상회담 내년 1월에 가능’ file 뉴스로_USA 18.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