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딧, 대출회사, 모게지 상품등 알아볼 것 많아

(마이애미=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집을 산다는 것은 인생에서 가장 큰 재정적인 결단일 수 있다. 더구나 사고자 하는 집이 첫 주택일 경우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완벽한 집을 찾는데 주안점을 줄 수도 있지만 어떻게 대출금을 갚아 나갈 것인지를 생각하는데도 많은 시간을 할당해야 한다.
 
real.jpg
▲ 자료사진
소비자들이 모게지 론 신청시 저지르기 쉬운 실수와 유의할 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대출 받기전 크레딧을 조사하라

대출 회사가 크레딧 리포트를 체킹하기 전에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시간을 갖고 미리 그것을 수정해야 할 것이다. 미국의 주요 세개의 크레딧 리포트 에이전시로부터 매년 무료 크레딧 리포트를 신청 받아 볼수 있다. 리포트 신청은 annualcredit report.com 에서 할 수 있다.

적절한 대출회사를 찾는다

먼저 친구들이나 친척들에게 그들의 모게지 대출회사들에 관해서 물어본다. 그들이 서비스와 론에 대해서 만족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또 적어도 세곳의 대출회사와 직접 대화해 보고 이자율과 포인트, 론 비용에 대해서 똑 같은 질문들을 해본다.

그런 다음 그들의 답변과 인격들을 비교해보고 그 회사가 좋은지 혹은 신뢰가 가는지 신중하게 따져봐야 한다.

모기지를 알아보기 전에 집을 먼저 찾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먼저 모기지 사전 승인을 얻고 난 다음에 모기지로 살 수 있는 집을 찾는 것이 순서이다. 일부 부동산 업자들은 대출 사전 승인장을 보여주기 전에는 집을 보여 주지도 않을 것이다.

더우기 사전 승인을 받는다는 것은 대출회사가 필요한 서류를 검토해서 특정한 금액을 대출해주겠다고 승인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대출 가능 금액과 당장 지불할 수 있는 다운페이먼트를 결부시키면 얼마짜리 집을 살 수 있는지 알수 있을 것이다.

너무 많은 돈을 빌리거나 너무 작은 돈을 빌리는 것도 잘못된 것이다.

예를 들어 25만불의 론을 승인 받았다고 해서 반드시 25만불 전액을 대출해야 된다는 것은 아니다. 승인 금액은 단지 대출 상한액수일 뿐이다.

대출회사는 최대한 가능 액수를 대출해주기 원하고 부동산 중개인은 가능한 가장 비싼 집을 팔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얼마짜리 주택을 구입할 것인지 그리고 매달 월부금을 얼마만큼 지불할 수 있는 지 본인이 먼저 심사숙고해서 결정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집을 찾을때에는 본인이 현실적 인 상한선을 정해두고 부동산 중개인에게 얼마 정도 가격의 집을 찾는다고 이야기 해야 할것이다. 그리고 부동산 중개인이 소개시켜 주는 주택들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른 중개인을 찾을 수 있다.

예고없이 경제적 어려움이 닥칠 수 있다는 상황을 고려한다

토네이도, 홍수, 쓰나미, 지진, 산불과 같은 자연 재앙들을 경고없이 맞을수 있고 질병, 부상, 일시해고 그리고 다른 재정적 어려움이 있을수 있다. 그러므로 페이첵없이 얼마나 오랫동안 본인과 가족들이 버틸 수 있는 가 먼저 질문해 보아야 한다.
저축, 증권, 채권, 양도성 예금증서 등 얼마나 많은 여유 자금을 가지고 있는가? 재정 전문가들은 페이첵이 갑자기 중단되거나 의료비 등 다른 급한 상황을 대비해서 적어도 3개월동안 본인과 가족이 사용할 돈을 비축해놓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대출받은 론 금액에 대해서 모든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30년 상환 고정금리 론은 매달 페이먼트가 30년동안 똑 같을 것이다. 또한 15년, 20년, 40년짜리 고정금리 론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변동금리 모기지론은 낮은 이자율로 시작해 일정 기간 후에는 상당 수준으로 조정된다.

사고자 하는 집을 이것 저것 철저히 살펴보지 않고 사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모게론도 마찬가지로 상세하게 조사해 본인에게 적절한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주택을 소유한다는 것은 단순히 모게지만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여타 비용이 든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렌트를 계속해 왔다면 렌트비만 주로 신경써 왔을 것이다. 그러나 집을 소유하게 되면 주택 유지, 보수, 수리에 대한 책임과 주민회비, 주택세 납부등 여러가지 비용이 집 열쇠를 받는 순간부터 따르게 된다. 따라서 사전에 얼마의 경비가 추가로 필요한 지 계산을 해둬야 할것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95 미국 악! 소리 나는 플로리다, 코로나19 입원환자 연일 기록 경신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8.
2394 미국 코로나 팬데믹 영향, 플로리다 약물과용 사망 37% 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93 미국 플로리다 주요 도시들, 미국 ‘베스트 은퇴지’ 휩쓸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92 미국 플로리다 주택시장 열기, 식을 때까지 렌트하는 게 현명?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91 미국 플로리다 식당들, 미국 '최고의 맛' 보여줬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90 미국 플로리다 '백투스쿨' 세금공휴일 7월 31일 시작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89 미국 전파력 강한 델타, 미국을 휩쓸고 있다… 전체 감염 83% 차지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88 미국 미국인 기대수명 77.3세... 2차대전 이후 가장 큰폭 감소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87 미국 앤서니 파우치 “미국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86 미국 美의회 한반도평화법안 지지 확산 file 뉴스로_USA 21.08.01.
2385 미국 [단독] 한미시민들 유엔본부앞 7.27 시위 file 뉴스로_USA 21.08.01.
2384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지난해 정점 시기로 복귀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83 미국 “제발 우리를 도와 줘요" 세인피 시, 주정부에 ‘적조 제거’ 호소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82 미국 플로리다 고속철 '노선 전쟁'… 유니버설, 디즈니 노선 변경 시도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81 미국 플로리다, 미국 코로나 사례의 5분의 1... '미접종자 팬데믹' 시작됐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80 미국 올랜도 I-4 익스프레스 공사 마무리 수순... 다음 단계는?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79 미국 인프라 투자법안 상원 토의 개시... 공화당, 부결 공언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78 미국 플로리다 남성, 의사당 습격사건 가담 8개월형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77 미국 마이애미 콘도 붕괴 여파, 콘도 시장 침체 우려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376 미국 허리케인 대비사항 중 바람직 하지 않은 것들은?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