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발표서 ‘북한 힘들게 한 경제제재 끝낼 평화협정’ 요청

carter.jpg
▲ 카터재단은 홈페이지에 ‘현 북미 관계에 관한 지미 카터 미국 전 대통령의 성명(‘Statement from Former U.S. President Jimmy Carter on Current U.S.-North Korea Relations)’이라는 제목의 긴급 발표문(FOR IMMEDIATE RELEASE)을 올렸다.
 
(뉴욕=코리아위클리) 주대환-김명곤 기자 =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10일 긴급성명을 발표하고 ‘전쟁과 같은 호전적인 수사를 자제하고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로 1953년 휴전 이후 체제를 종식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카터재단은 홈페이지에 ‘현 북미 관계에 관한 지미 카터 미국 전 대통령의 성명(‘Statement from Former U.S. President Jimmy Carter on Current U.S.-North Korea Relations)’이라는 제목의 긴급 발표문(FOR IMMEDIATE RELEASE)을 올렸다.

이는 정면대결 양상으로 치닫는 북미 대결상황에 대한 카터 전 대통령의 절박한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카터 대통령은 어떤 경우에든 핵 충돌은 피해야 하며 모든 당사자들이 북한 정부에게 ‘북한이 평화를 유지한다면 북한에 대한 그 어떠한 군사적 조치를 포기할 것임을 북한 정부에 확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 성명에서 자신의 3번에 걸쳐 이루어진 북한 방문에서 ‘북한은 미국과 주변 국가들과의 평화적인 관계를 원한다’고 강조했으며, 반면에 북한은 ‘미국이 북한에 대한 선제 군사공격을 계획하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북한은 평화협정 원하고 있었다”

카터 전 대통령은 북한은 ‘1953년 한국전쟁 종식 이후 존재한 종전협정과 그 긴 기간 동안 북한을 매우 힘들게 했던 경제 제재를 끝내기 위해 (특히 미국과) 평화협정을 원했다’고 전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평화를 지키고자 하는 미국과 북한의 의지는 매우 중요하다’며 북과 미국의 대립적인 위기가 종식되면 미국은 1953년 휴전을 대체하기 위한 영구협정을 완성시킬 준비를 해야 하고, 북한과 미국의 동맹국들에게 이것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터 전 대통령의 이번 긴급성명은 그 동안 최근 북미 간에 벌어지고 있는 대결사태를 북의 무모한 도발로만 간주해오던 미국 내 언론과 행정부의 왜곡을 지적하고 북미 사태의 본질을 정확하게 꿰뚫어 해결책을 제시한 것으로 주목 받고 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번 긴급성명을 통해 북미 간의 휴전상태 종식과 북한 경제제재의 중단, 그리고 북미 간의 평화협정 체결과 보장이 한반도에서의 항구적인 평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정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코리아위클리> 제휴 <뉴스프로> 번역팀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5 미국 플로리다, 미국 코로나 사례의 5분의 1... '미접종자 팬데믹' 시작됐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874 미국 플로리다 고속철 '노선 전쟁'… 유니버설, 디즈니 노선 변경 시도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873 미국 “제발 우리를 도와 줘요" 세인피 시, 주정부에 ‘적조 제거’ 호소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872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지난해 정점 시기로 복귀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871 미국 [단독] 한미시민들 유엔본부앞 7.27 시위 file 뉴스로_USA 21.08.01.
870 미국 美의회 한반도평화법안 지지 확산 file 뉴스로_USA 21.08.01.
869 미국 앤서니 파우치 “미국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868 미국 미국인 기대수명 77.3세... 2차대전 이후 가장 큰폭 감소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867 미국 전파력 강한 델타, 미국을 휩쓸고 있다… 전체 감염 83% 차지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866 미국 플로리다 '백투스쿨' 세금공휴일 7월 31일 시작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865 미국 플로리다 식당들, 미국 '최고의 맛' 보여줬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864 미국 플로리다 주택시장 열기, 식을 때까지 렌트하는 게 현명?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863 미국 플로리다 주요 도시들, 미국 ‘베스트 은퇴지’ 휩쓸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862 미국 코로나 팬데믹 영향, 플로리다 약물과용 사망 37% 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861 미국 악! 소리 나는 플로리다, 코로나19 입원환자 연일 기록 경신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8.
860 미국 애틀랜타 총격 용의자에 종신형 선고... 혐오범죄는 무혐의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8.
859 미국 급변한 미국 팬데믹 상황… 8월말 하루 30만건 예상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8.
858 미국 미 2분기 국내총생산 연율 6.5% 증가... 4분기째 성장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9.
857 미국 백신접종자 코로나19 전파율, 미 접종자만큼 높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9.
856 미국 퍼블릭스 슈퍼마켓, 직원 마스크 착용 다시 의무화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