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농무부 95% 이상 유기농 식품에만 인장 허가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현재 미국에서는 일반 마켓의 70% 이상이 유기농 식품을 판매하고 있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가장 주요한 유기농 식품은 신선 과일과 채소이다. 식품업계의 뉴트리션 비즈니스 저널(Nutrition Business Journal)에 의하면 청과물에 이어 빈번하게 판매되는 유기식품은 과즙, 두유를 포함한 비우유 음료를 비롯해 빵 및 곡류, 각종 냉동, 건조, 통조림 가공식품, 낙농제품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유기농 식품은 흔히 `무농약´ 또는 농약 등의 `무잔류´ 식품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 식품은 존재하기 어렵다. 오늘날의 농업생산 체계에선 공기나 인접농지 물등을 통해 화학합성물질 등에 오염되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 없다.

유기농 식품이란 가능한 한 그러한 합성물질 등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농업 체계에서 생산된 제품일 뿐이다. 따라서 많은 나라들이 유기농 식품의 생산과 취급 기준법의 필요성을 느껴왔으며 미국은 2002년 10월 21일부터 유기식품 기준(NOSP)을 전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organic.jpg
▲ 미 농무부가 인증한 유기농 식품 인장
 

유기농 식품 기준에 따르면 호르몬제•항생제•제초제•살충제•화학비료를 쓰지 않고 유전자변형이나 방사선 살균을 거치지 않은 식품에 한해 ‘1백% 유기농 제품’과 ‘유기농 제품’(적어도 95%)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런 제품만이 ‘공인 유기농 제품’이라는 인장을 붙일 자격을 얻게 된다.

그러나 미 농무부는 유기농 식품이 보통 식품에 비해 안전하다거나 더 영양가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수퍼마켓에서 유기농 식품을 어떻게 구별하나?

우선 유기농 식품들만 별도로 판매하는 장소를 마련해 놓고 있는 마켓도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식품 인장이나 유기농이란 단어 표시를 보는 수 밖에 없다.

미 농무부는 엄격하게 유기농 표시 기준을 규정해 놓고 있다. 식품회사의 유기농 인장사용 여부는 자발적이지만, 만약 유기농 식품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용하고 있는 것이 발각될 경우 한 케이스당 1만불 이상의 벌금을 물어야 하므로 인장 불법 사용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농무부는 적어도 95% 이상 유기농 식품 기준에 합당한 식품에만 특별히 인장 사용을 허가한다.

유기농을 뜻하는 '오르가닉(organic)'이라는 낱말과 인장은 채소나 과일 혹은 육류, 우유, 계란, 치즈 등 단일 식품 포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시리얼처럼 곡식, 과일, 설탕 등 여러가지 요소로 만들어진 식품이라면 유기농 표시가 각기 달라질 수 있다.
 

organic1.jpg
 

위 사진의 시리얼 박스는 네가지 유기농 카테고리를 보여준다. 맨 왼쪽부터 100% 유기농 제품, 95-100% 유기농 제품, 적어도 70% 유기농 요소로 만든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70% 이하 유기농 요소가 들어간 시리얼 이다.

유기농 인장을 붙이려면 첫번째와 두번째 박스처럼 적어도 95% 이상 유기농 기준을 성취해야 한다.

제품 이름밑에 유기농 요소로 만들어졌다는 문장을 넣은 세번째 박스는 70% 이상 유기농식품이다. 그리고 네번째 시리얼은 유기농식품이긴 하지만 70% 이하 카테고리에 들어 포장 앞면에 유기농이란 단어를 사용치 못했다. 대신 식품포장 측면이나 뒷면에 유기농 포함에 대한 설명을 넣을 수는 있다.

또 유기농 인장 부착은 자발적이므로 100% 혹은 95% 이상 유기농 식품일지라도 동그란 인장은 없이 단어만 있을 수도 있다.

100% 유기농 식품(100 percent Organic)은 물과 소금을 제외한 모든 요소가 유기농 기준에 들어야 한다.

'유기농(Organic)'이란 표시를 하기 위해선 물과 소금을 제외한 식품 요소 95% 이상이 유기농 기준에 합당해야 한다. 이 경우 유기농으로 생산이 어려운 요소 5%를 식품이 포함 한다고 볼 수 있다.

70% 이상 유기농식품(Made with Organic Ingredients)이란 표시는 물과 소금을 역시 제외한 식품 요소의 70% 이상이 유기농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는 뜻이다.

한편 방목 호르몬 비사용 등 자연친화적 식품은 유기농식품과는 별개의 것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95 미국 악! 소리 나는 플로리다, 코로나19 입원환자 연일 기록 경신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8.
2394 미국 코로나 팬데믹 영향, 플로리다 약물과용 사망 37% 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93 미국 플로리다 주요 도시들, 미국 ‘베스트 은퇴지’ 휩쓸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92 미국 플로리다 주택시장 열기, 식을 때까지 렌트하는 게 현명?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91 미국 플로리다 식당들, 미국 '최고의 맛' 보여줬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90 미국 플로리다 '백투스쿨' 세금공휴일 7월 31일 시작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89 미국 전파력 강한 델타, 미국을 휩쓸고 있다… 전체 감염 83% 차지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88 미국 미국인 기대수명 77.3세... 2차대전 이후 가장 큰폭 감소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87 미국 앤서니 파우치 “미국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8.02.
2386 미국 美의회 한반도평화법안 지지 확산 file 뉴스로_USA 21.08.01.
2385 미국 [단독] 한미시민들 유엔본부앞 7.27 시위 file 뉴스로_USA 21.08.01.
2384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지난해 정점 시기로 복귀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83 미국 “제발 우리를 도와 줘요" 세인피 시, 주정부에 ‘적조 제거’ 호소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82 미국 플로리다 고속철 '노선 전쟁'… 유니버설, 디즈니 노선 변경 시도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81 미국 플로리다, 미국 코로나 사례의 5분의 1... '미접종자 팬데믹' 시작됐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80 미국 올랜도 I-4 익스프레스 공사 마무리 수순... 다음 단계는?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79 미국 인프라 투자법안 상원 토의 개시... 공화당, 부결 공언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78 미국 플로리다 남성, 의사당 습격사건 가담 8개월형 file 코리아위클리.. 21.07.26.
2377 미국 마이애미 콘도 붕괴 여파, 콘도 시장 침체 우려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376 미국 허리케인 대비사항 중 바람직 하지 않은 것들은?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