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케인.jpg

허리케인 시즌은 6월부터 11월말까지 이어진다. 한 해에 평균 5~6개가 발생하고 10개 내외의 열대성 폭풍이 미국을 지나간다.

 

 

허리케인 시즌 시작 … “메이저급 2~개 예상”

 

6월 1일부터 11월말까지 허리케인 시즌

평균보다 위험도 높은 수준

 

[i뉴스넷] 최윤주 기자 editor@inewsnet.net

sentence_type.png

 

 

6월 1일부터 본격적인 허리케인 시즌이 시작한다.

아직까지는 잠잠한 편이다. 예년 발생추이로 볼 때 순조로운 출발이다.

 

그러나 안심하긴 이르다.

 

미국립해양대기국(NOAA)은 올해 허리케인 위험도를 평균 이상으로 내다봤다. 5~9개의 허리케인과 11~17개의 열대성 폭풍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웨더채널은 13개의 열대성 폭풍과 6개의 허리케인을 예상했고, 콜로라도 대학은 4개의 허리케인을 점쳤다. 웨더채널과 콜로라도 대학은 모두 2~3개의 메이저급 허리케인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또한 2~3개의 메이저급 허리케인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예년보다 많은 14개~18개의 열대성 폭풍이 상륙하고 이 중 7~11개는 허리케인으로 발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허리케인 시즌은 6월부터 11월말까지 이어진다. 한 해에 평균 5~6개가 발생하고 10개 내외의 열대성 폭풍이 미국을 지나간다.

 

지난 해에는 대서양 일대에 10개의 허리케인이 상륙해 인근 도시와 국가들을 공포로 몰아넣었다.

 

특히 휴스턴을 삼킨 허리케인 하비(Harvey)와 플로리다주를 초토화시킨 허리케인 어마(Irma), 미국령 푸에르토리코를 강타한 마리아(Maria) 등 4~5등급의 위력을 과시한 대형 허리케인이 습격하면서 엄청난 피해를 몰고 왔다.

 

올해도 안심할 수는 없다.

 

허리케인 수준은 아니지만 첫 열대성 폭풍인 ‘알베르토’가 상륙하면서 플로리다 남서부와 미시시피강 등지에 폭우를 쏟아냈다.

 

미 국립기상연구소(NCAR)는 "심각해지고 있는 지구온난화가 대형 허리케인을 만들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며 "지금껏 겪지 못한 위력의 허리케인이 계속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55 미국 플로리다 열대정원, 독보적 식물 수두룩 코리아위클리.. 16.04.01.
3054 미국 ‘파산자 당신' 그래도 기회는 있다 코리아위클리.. 16.04.01.
3053 미국 먹고살기도 바쁜데 배심원 하라고? 코리아위클리.. 16.04.01.
3052 미국 플로리다 올랜도, 어떻게 골프의 메카가 되었나 file 코리아위클리.. 16.04.02.
3051 미국 ‘트럼프 대안’ 케이식을 주목하라..여론조사 힐러리 앞서 file 뉴스로_USA 16.04.03.
3050 미국 샌더스 뉴욕서 힐러리에 선전포고 file 뉴스로_USA 16.04.03.
3049 미국 뉴욕 일원 강풍 꽃샘추위 수만가구 정전 피해 file 뉴스로_USA 16.04.04.
3048 미국 반총장이 청년 영화제작자 인터뷰한 까닭은 file 뉴스로_USA 16.04.04.
3047 미국 원인 미스터리 자폐증, 개인 편차 커 코리아위클리.. 16.04.08.
3046 미국 오바마케어 가입자 60%, 보조금 반납해야 코리아위클리.. 16.04.08.
3045 미국 플로리다 지카 바이러스 환자 계속 늘어 79명 file 코리아위클리.. 16.04.09.
3044 미국 식당 위생검사에서 226건 적발, 도대체 왜? 코리아위클리.. 16.04.09.
3043 미국 미국 노인층, 인구 지형에 격변 일으킬 듯 코리아위클리.. 16.04.09.
3042 미국 선거철 직장내 정치논쟁 어디까지? 코리아위클리.. 16.04.09.
3041 미국 '전통 장례냐 화장이냐' 미국 유대사회의 장례 논쟁 코리아위클리.. 16.04.11.
3040 미국 혼합무술 인기, 이제 성인 넘어 아동까지 코리아위클리.. 16.04.11.
3039 미국 유일호 부총리, 뉴욕서 한국경제 설명회 개최 file 뉴스로_USA 16.04.14.
3038 미국 슁글-대상포진 40대 이후 주로 발생 코리아위클리.. 16.04.14.
3037 미국 대학 결정엔 재정보조가 큰 부분 차지 file 코리아위클리.. 16.04.14.
3036 미국 해수 상승으로 금세기말 미 해안가 1300만명 피해 코리아위클리.. 16.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