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할인.jpg

시니어를 위한 특별 할인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상점이 많다는 걸 아는 사람은 드물다. 방법은 간단하다. “시니어 할인이 됩니까?(Do you offer a senior discount?)”라고 묻기만 하면 된다.

 

 

시니어 할인, "쓰면서 돈 버는 재미"

 

쇼핑 레스토랑 호텔 등 다양한 할인 혜택

지점이나 지역에 따라 할인적용 다를 수도

 

[i뉴스넷] 최윤주 기자 editor@inewsnet.net

sentence_type.png

 

 

미국 복지제도의 근간은 ‘활기찬 노년’에 있다. 저소득층 노인들에게 월페어와 메디케이드를 제공하고, 건강이 안 좋은 노인들은 정부 부담으로 노인재활센터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소득이 없거나 건강이 안 좋은 특별 케이스에만 ‘노인복지’가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생활 곳곳에서 노인이기에 행복할 수 있는 권리를 만날 수 있다.

 

바로 할인혜택이다. 일반 소매점, 레스토랑, 유료공원, 대중교통, 호텔 등 분야도 다양하다.

단, ‘묻지 않으면’ 누릴 수 없다. 모든 할인은 “노인할인 되나요(Do you offer a senior discount?)”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생활 속에선 ‘물어야’ 할인받을 수 있다면, 온라인에선 ‘알아야’ 돈을 절약할 수 있다.

 

시니어를 위한 특별 할인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상점이 많다는 걸 아는 사람은 드물다. 방법은 간단하다. “시니어 할인이 됩니까?(Do you offer a senior discount?)”라고 묻기만 하면 된다.

 

바나나 리퍼블릭(Banana Republic)에서는 50세 이상 고객이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할 경우 10% 할인혜택을 제공하고, 벨크(Belk)는 매달 첫번째 화요일에 62세 이상의 고객에게 15%의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60세 이상 고객이 코올스(Kohl’s) 매장에서 수요일에 물건을 살 경우 15%의 할인을 받을 수 있고, 할인매장인 로스(Ross)는 매주 화요일 55세 이상 고객에게 10%의 할인혜택을 제공한다.

 

매장에 따라 날짜는 다르지만 월그린(Walgreens)은 한 달에 한번 ‘시니어 데이’를 실시한다. 시니어 데이에 Rewards 카드를 지난 55세 이상의 고객은 매장에서 20%, 온라인에서 10%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음식점에서도 모든 값을 다 낼 필요가 없다.

 

아인슈타인 베이글(Einstein’s Bagels)에서는 60세 이상 고객에게 10% 할인율을 적용하고 있고, KFC에서는 점포에 따라 55세 이상이 음식을 구매할 경우 작은 크기의 음료를 무료로 제공한다.

 

맥도날드(McDonald’s)는 지점에 따라 다르지만 55세 이상에게 할인된 가격의 커피를 판매하고 있고, 웬디스(Wendy’s)나 서브웨이(Subway), 칙필레이(Chick-Fil-A), IHOP 등 많은 매장에서 시니어 할인정책을 시행하거나 시니어를 위한 특별메뉴를 판매하고 있다.

단, 지점에 따라 정책이 다를 수 있으며, 사전에 예고없이 할인율이나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니 주문시 반드시 확인하는 게 좋다.

 

시니어 할인은 여행길의 즐거움 또한 배가시킬 수 있다. 단, 호텔 지점에 따라 할인적용에 편차가 있거나 온라인이나 전화로 예약할 때 사전문의하는 것이 좋다.

 

메리엇 호텔(Marriott Hotel)은 62세 이상에게 15%의 할인혜택을 주고 하얏트 호텔(Hyatt Hotel)은 사전 예약시 60세 이상에게 10%의 할인율을 적용한다.

라퀸타(La Quinta) 호텔은 지점에 따라 65세에게 주는 디스카운트 조항이 있으니 예약할 때 문의할 수 있고 옴니호텔(Omni Hotels)도 지역에 따라 55세 이상에게 할인혜택을 제공한다.

 

Copyright ⓒ i뉴스넷 http://inewsnet.net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95 미국 장례/결혼식 허용 인원 50명까지 늘어 - 장례 가족들에게 도움돼 CN드림 20.06.17.
1994 미국 론 드샌티스 주지사, 학생 여름 캠프 및 스포츠 재개 허용 코리아위클리.. 20.06.10.
1993 미국 코로나19 관련 '어린이 괴질', 드물지만 증가 추세 코리아위클리.. 20.06.10.
1992 미국 세미놀 카운티, 코로나 피해 스몰 비즈니스에 무상보조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991 미국 미국 대기업들, "침묵은 곧 동조" 시위 동참 지지 코리아위클리.. 20.06.10.
1990 미국 트럼프 대통령, 사회연결망(SNS) 회사 무한 권한에 제동 코리아위클리.. 20.06.10.
1989 미국 민간 유인 우주선, 국제 우주정거장 도킹 성공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988 미국 주 공화 의원, 트위터에 AR-15 소총 올려 논란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987 미국 플로이드 사망 사건 항의시위 격화 일로... 야간 통금 불구 시위 계속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3.
1986 미국 팬핸들 그레이튼 비치 주립공원, 올해 '청정비치' 1위에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5 미국 자동차 가솔린, 아침에 주유하면 더 효율적이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4 미국 오렌지카운티, 스몰비즈니스와 가정에 보조금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3 미국 신종 코로나로 대형 소매업체-백화점 폐점.파산 속출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2 미국 코로나 사망자 10만 명... 트럼프 "종교기관을 '필수업종'으로"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1 미국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각급 학교 등교 재개 지침 내놔 코리아위클리.. 20.06.01.
1980 미국 트럼프 "신종 코로나 재확산 해도 봉쇄조치 없을 것" 코리아위클리.. 20.06.01.
1979 미국 부채에 허덕이는 앨버타 주민들 늘어 - 관광산업 비중 높을수록 타격 커 CN드림 20.06.01.
1978 미국 캐나다 국립공원 29곳 6월1일 재개장, 앨버타주 5개 국립공원 모두 포함- 낮에만 이용 가능 CN드림 20.06.01.
1977 미국 캐나다 부동산 판매량 줄어 - 4월 50% 이상 하락 CN드림 20.06.01.
1976 미국 앨버타 주민들, 외부 방문객 기꺼이 맞이하겠다 - 국경 폐쇄 빨리 끝나길 원해 CN드림 2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