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년간 세인트클라우드 36%, 오코이
 

high3.jpg
▲ 올랜도 지역 인구 증가가 남쪽과 서쪽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사진은 올랜도 서쪽 벨트웨이 인근에 서 어지럽게 자리잡은 건축 장비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올랜도에서 남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도시 세인트클라우드가 개발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올랜도센티널> 등 지역 미디어에 따르면 세인트클라우드시는 중앙플로리다내 다른 도시들에 비해 인구 증가면에서 꾸준한 상승을 보이며 개발업자들을 끌고 있다.

최근 나온 연방인구조사국 자료에서 세인트클라우드 인구는 2010년 3만7840명에서 2017년에는 5만1280명으로 36%가 늘어났다. 이는 20%대 높은 인구증가세를 기록한 오코이, 윈터카든, 아팝카, 클레어몬트, 오비도 등 보다 앞선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시들이 개발 여지가 한정되어 있는 반면, 세인트클라우드는 2010년에서 2017년까지 오시올라카운티에 합병된 지역(1.75 평방마일)이 대부분 공지로 남아있다. 현재 시 면적은 20 평방마일 정도이다. 다른 지역에 비해 아직 땅값이 낮은 조건도 개발업자들을 불러 모으기에 충분한 상황이다.

시 정부는 인구증가가 지속되면서 카운티와 공조해 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짜임새 있는 도시개발을 꾀하고 있다. 베드룸 커뮤니티에서 벗어나 일터와 생활 공간이 공존하는 곳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현재 이곳 주민의 90%는 주변 지역으로 출근하고 있다. 세인트클라우드와 인접한 키시미와 카운티 비통합지역 인구성장률도 각각 19%와 33%로 높아 출퇴근 시간이면 턴파이크 등 올랜도로 통하는 도로의 교통적체가 날로 심화되고 있다.

2010년만 해도 오렌지-오시올라 카운티 경계를 넘는 운전자는 하루 2만7500여명이었으나, 지난해에는 4만명까지 올라갔다.

인구증가와 함께 지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개발도 가시화하고 있다. 우선 테크놀로지 연구단지인 네오시티가 500에이커 부지에서 막 기초 쌓기에 들어갔고, 통근열차 선레일이 포인시아나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곳에서 서쪽 공터는 장차 제조업 단지로 활용될 수 있으며, 원활한 교통을 위한 오시올라 파크웨이 확장안이 발의된 상태이다.

올랜도 서쪽 오코이시도 잠에서 깨어나

세인트클라우드에 이어 지역에서 두번째로 인구증가율이 높은 오코이(29%)시는 주택건설업자들이 주거지 땅을 구입하는 데 혈안이 된 건설업자들로 인해 주택버블을 우려할 상황이다. 십수년 전만 해도 플로리다의 전형적인 시골 동네였던 이곳은 올랜도 서쪽 벨트웨이가 남북으로 완성되면서 잠에서 깨어난 곳이다.

시 개발 책임자인 크레이크 셰드릭스는 10년전만 해도 이곳에서 보통 40∼50만불대 집을 본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고 전했다. 올랜도시 서쪽 경계에서 2.5마일, 벨트웨이에서 메이틀랜드시까지 자동차로 10∼15분 걸리는 이곳 인구는 2010년 4만명에서 2017년에는 4만6천명으로 늘어났다. 이곳에서 올 여름에 올랜도 헬스-UF 플로리다 헬스 암센터와 요양기관이 문을 열 뿐 아니라 6개 회사가 본부 유치로 경쟁중이다.

오코이 북쪽 아팝카시에도 기존의 농장 지역이 주거지로 탈바꿈하는 움직임이 일면서 인구가 증가, 2010년 4만2000명에서 2017년에는 5만1000명으로 23%가 늘어났다. 관엽식물과 화초 재배지로 유명한 이곳은 아직도 많은 농장이 자리잡고 있지만 그린하우스 감소추세가 큰 소리 없이 진행중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55 미국 인구센서스, 신종 코로나로 차질... 4개월 연장 추진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7.
1954 미국 미 정부 관리들 "대공황 시절 실업률로 돌아갈 것"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7.
1953 미국 '러시아 추문' 마이클 폴린 기소 취하, 워싱턴 정가 '시끌시끌' 코리아위클리.. 20.05.17.
1952 미국 백악관서도 확진자 나와 '초비상'... 트럼프-펜스 이상 없어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7.
1951 미국 미국 스포츠 전문채널 ESPN, 매일 한국 야구 중계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7.
1950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관광객 1위’ 올랜도, 신종 코로나 감염자 적은 이유는?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3.
1949 미국 플로리다, 면역형성 확인을 위한 코로나19 항체검사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1.
1948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로 장학금 혜택자 선정에 '골머리' 코리아위클리.. 20.05.11.
1947 미국 중앙플로리다 드라이브스루 검진소 대폭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1.
1946 미국 신종 코로나 속 퍼블릭스 수퍼마켓 매출 증가 코리아위클리.. 20.05.11.
1945 미국 미국 50개 주 절반, 코로나19 봉쇄 완화… 5월 중 대폭 변화 예상 코리아위클리.. 20.05.11.
1944 미국 신종 코로나 확산 6주간 실업자 3천만 명 양산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1.
1943 미국 신종 코로나가 바꾼 연방 대법 풍경… 변론내용 오디오 생중계 코리아위클리.. 20.05.11.
1942 미국 트럼프 "신종 코로나로 10만명까지 목숨 잃을 것" 코리아위클리.. 20.05.11.
1941 미국 미국 노동자 보호 목적 영주권 발급 60일간 중단 코리아위클리.. 20.05.11.
1940 미국 연방 의회 4840억 달러 코로나 대응 추가예산 통과 코리아위클리.. 20.05.11.
1939 미국 연방정부 우려 속 일부 주들 봉쇄조치 완화 시작 코리아위클리.. 20.05.11.
1938 미국 미국 50개주 ‘형사재판 배심원 만장일치제’ 시행 코리아위클리.. 20.05.11.
1937 미국 실업수당 청구, 호텔 및 외식업계 가장 많아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1.
1936 미국 코로나19 사망 위험 요인은 고령과 만성질환 코리아위클리.. 20.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