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9명에서 매년 감소

한국인 새 시민권자 2397명

영주권 비자 받은 한인 4645명

 

캐나다 국적을 획득하는 한국인 수가 작년에 다시 반등을 했지만 아직 전성기에 비해 아직 크게 낮은 수준이다.

 

연방이민부(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Canada, IRCC)의 2018년도 새 시민권 취득 통계 자료에 따르면, 한국국적자 2397명이 새 캐나다 시민권자가 됐다. 

 

2015년 5956명에 달했던 한국 국적자의 캐나다 취득자 수는 2016년에 2907명으로 절반이하로 떨어졌고, 다시 2017년에 1547명까지 감소했다가 이번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셈이다.

 

작년 5월까지 한국 국적 이탈 신고를 하지 못하면, 한국 국적 보유자나 그 직계 가족에게 부여하는 재외동포비자(F-4)를 받지 못한다고 한국 정부가 관련 규정을 개정해 시행했지만, 캐나다 국적 취득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번 통계에서 북한 국적자로 캐나다 시민권을 받은 한인도 3명이 있었다. 2015년 19명에 달했던 북한 국적 출신 캐나다 시민권 취득자는 2016년 2명, 2017년 4명으로 크게 줄었다. 캐나다의 북한 국적자들의 상당수는 북한에서 직접 온 경우보다, 한국에 정착을 한 후 한국 여권을 들고 캐나다를 온 경우가 많아 실제 100% 북한 국적자라고 보기 어려워 캐나다 정부도 이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즉 탈북 난민에 대한 지위를 한국 정착 여부를 확인해 거부하고, 심지어 일부 난민 신청자를 추방 명령하기도 했다.

 

2018년도에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한 총 인원은 17만 6303명이다. 2015년 25만 2194명에서, 2016년 14만 7821명, 2017년 10만 6369명으로 급감하다 다시 크게 늘어난 셈이다.

 

2018년도 시민권 취득 출신 국가 순위를 보면, 필리핀이 1만 9642명으로 1위를, 이어 인도가 1만 9472명, 이란이 1만 34명으로 1만 명 이상을 기록하며 3위 안에 들었다. 이어 중국,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미국, 이집트, 이라크가 10위권 안에 들었다.

 

한국은 프랑스, 영국과 영국령, 알제리, 방글라데시, 아이티, 모로코, 콜롬비아, 멕시코에 이어 19위를 기록했다.

 

한편 2018년도에 영주권 비자를 받은 한국 국적자는 총 4645명이었다. 이는 캐나다에 랜딩을 해 최종적으로 영주권을 받은 2018년도 한인 4805명에 비해서 160명 부족한 숫자다. 영주권 비자를 받은 북한 국적자도 11명이 있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835 캐나다 연방, 불체자 신분회복 유예 연말까지 허용 file 밴쿠버중앙일.. 20.11.20.
3834 캐나다 정부, ‘내년 말까지 코로나 백신 다 맞을 수 있을 터’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9.
3833 캐나다 중국계 여성 스탠리 파크서 시체로 발견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9.
3832 캐나다 메트로밴 일원 대형 마켓 코로나에 무더기로 노출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9.
3831 캐나다 Legault 주총리, COVID-19 확산 줄이기 위해 임시휴교 고려 file Hancatimes 20.11.18.
3830 캐나다 Quebec 확산이 계속 되는 한, 레스토랑 재개 “계획 없음” file Hancatimes 20.11.18.
3829 캐나다 Quebec, 경제 활성화위해 18억 달러 투입 file Hancatimes 20.11.18.
3828 캐나다 Quebec 교육부 장관, COVID-19로 인한 3가지 변화 지시 file Hancatimes 20.11.18.
3827 캐나다 Quebec 공공장소에서 야외 모임을 위해 알아야 할 사항들 file Hancatimes 20.11.18.
3826 캐나다 Plante 몬트리올 시장, 다가오는 2021년 몬트리올 선거 준비 file Hancatimes 20.11.18.
3825 캐나다 Quebec, 11월 23일까지 COVID-19 제재 계속 유지 file Hancatimes 20.11.18.
3824 캐나다 Joe Biden 정부가 캐나다에 미칠 4가지 키워드 file Hancatimes 20.11.18.
3823 캐나다 아보츠포드 임산부 분만 후 코로나 감염으로 중태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822 캐나다 버나비 병원 화재로 응급실 폐쇄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821 캐나다 BC주정부 코로나19 명령위반 강력처벌 경고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820 캐나다 캐나다 캘거리 라이프, 여전히 ‘굿’ - 코비드의 무게 여전 CN드림 20.11.17.
3819 캐나다 코비드 백신 배정 우선 순위, 노인들 최우선 - 특정 코비드 취약 그룹, 다발지역 우선 배정 CN드림 20.11.17.
3818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관광청.. 여행산업 큰 성장 기대 CN드림 20.11.17.
3817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학생들 “코로나보다 자가 격리가 더 무서워” - 10명중 4명, 걱정과 불안감 많이 느껴 file CN드림 20.11.17.
3816 캐나다 캐나다 확진자 급증 - 일요일 전국적으로 확진자 4,000명으로 신기록 file CN드림 20.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