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콜라 페이스북 사진 자료

 

입소스 100대 메가 브랜드, 전무

중국식품, 일본화장품 브랜드 포함

 

한류 열풍에 의해 한국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고, 세계 어디를 가도 한국 라면을 볼 수 있지만 아직까지 브랜드 가치는 인정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세계 3대 리서치 전문기업이 발표한, FMCG(Fast Moving Consumer Goods-신속하게 판매되며 비교적 저가의 제품)을 대상으로 한 2019년도 메가 브랜드 TOP100(Top 100 Megabrands)에 한국 브랜드는 단 한 개도 포함되지 못했다.

 

한국 브랜드가 서구 문화권보다 아시아 문화권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고 변명할 수 있지만, 실제 FMCG의 2017년도 대륙별 매출규모를 보면, 아시아 태평양이 29.5%로 가장 많았고, 북미가 21.2%, 서유럽이 21.1%, 라틴아메리카가 12.1%, 중동과 아프리카가 7.7% 등으로 나왔다.

 

이런 이유로 중국계 기업이 100대 기업안에 들어갈 수 있었다며, 입소스는 16위의 맹니우(Mengniu), 18위의 이리(Yili), 그리고 24위에 아라와나(Arawana) 브랜드가 상위권에 들어다고 소개했다.

 

이외에도 Master Kong과 같이 중국가공포장식품 브랜드 등 중국 식품류도 12위에 포진하는 등 중국 관련 브랜드가 전통적인 서구 브랜드와 경쟁을 했다.

 

일본 브랜드로는 일본 컵라면 브랜드인 닛신이, 음료 브랜드인 야마자키(Yamazaki), 그리고 화장품 브랜드인 시세이도가 올라왔다.

 

10위 안의 브랜드를 보면 코카콜라, 펩시, 네스카페, 레이즈(Lay's), 로레알 파리, 레드불, 팸퍼스, 타이드 아리엘(Tide / Ariel), 니베아, 그리고 하기스 등이다.

 

입소스는 코카콜라의 브랜드 가치를 미화로 350억-450달러로 봤고, 2등인 펩시부터 11위인 콜게이트까지는 100-150억 달러로 봤다. 중국 맹니우는 80-90억 달러, 34위인 시쉐이도는 40-50억 달러로 봤다.

 

코카콜라는 2014년 이후 단 한번도 1위 자리를 내어준 적이 없었다. 

 

100위권 안에 들은 FMCG 브랜드를 상품별로 보면, 포장식품이 41%로 가장 많았고, 미용개인위생용품이 25%, 이어서 소프트 드링크, 티슈생리용품, 핫 드링크 순이었다.  

 

이번 보고서의 결과에서는 중국 시장에서 성공하면 100위 안에 들 수 있다고 봤는데, 한국 브랜드들은 이런 주장에 맞지 않는 결과를 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835 캐나다 연방, 불체자 신분회복 유예 연말까지 허용 file 밴쿠버중앙일.. 20.11.20.
3834 캐나다 정부, ‘내년 말까지 코로나 백신 다 맞을 수 있을 터’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9.
3833 캐나다 중국계 여성 스탠리 파크서 시체로 발견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9.
3832 캐나다 메트로밴 일원 대형 마켓 코로나에 무더기로 노출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9.
3831 캐나다 Legault 주총리, COVID-19 확산 줄이기 위해 임시휴교 고려 file Hancatimes 20.11.18.
3830 캐나다 Quebec 확산이 계속 되는 한, 레스토랑 재개 “계획 없음” file Hancatimes 20.11.18.
3829 캐나다 Quebec, 경제 활성화위해 18억 달러 투입 file Hancatimes 20.11.18.
3828 캐나다 Quebec 교육부 장관, COVID-19로 인한 3가지 변화 지시 file Hancatimes 20.11.18.
3827 캐나다 Quebec 공공장소에서 야외 모임을 위해 알아야 할 사항들 file Hancatimes 20.11.18.
3826 캐나다 Plante 몬트리올 시장, 다가오는 2021년 몬트리올 선거 준비 file Hancatimes 20.11.18.
3825 캐나다 Quebec, 11월 23일까지 COVID-19 제재 계속 유지 file Hancatimes 20.11.18.
3824 캐나다 Joe Biden 정부가 캐나다에 미칠 4가지 키워드 file Hancatimes 20.11.18.
3823 캐나다 아보츠포드 임산부 분만 후 코로나 감염으로 중태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822 캐나다 버나비 병원 화재로 응급실 폐쇄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821 캐나다 BC주정부 코로나19 명령위반 강력처벌 경고 file 밴쿠버중앙일.. 20.11.18.
3820 캐나다 캐나다 캘거리 라이프, 여전히 ‘굿’ - 코비드의 무게 여전 CN드림 20.11.17.
3819 캐나다 코비드 백신 배정 우선 순위, 노인들 최우선 - 특정 코비드 취약 그룹, 다발지역 우선 배정 CN드림 20.11.17.
3818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관광청.. 여행산업 큰 성장 기대 CN드림 20.11.17.
3817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학생들 “코로나보다 자가 격리가 더 무서워” - 10명중 4명, 걱정과 불안감 많이 느껴 file CN드림 20.11.17.
3816 캐나다 캐나다 확진자 급증 - 일요일 전국적으로 확진자 4,000명으로 신기록 file CN드림 20.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