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산불 후 정신건강에 문제 많아
 
news_img1_1568057281.png

(사진: 캘거리 헤럴드) 

 

2016년 포트 맥머리에서 일어난 산불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불안증, 우울증, 약물과 알콜 남용으로 힘들어하는 아이들의 비율이 높다는 앨버타 대학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앨버타대학의 심리학 교수이자 이번 연구의 수석 저자인 피터 실버스톤은 “예상했던 것 보다 훨씬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사소한 증상들이 아니며, 아이들에게는 꽤 심각한 증상”이라고 말했다.
지난 8월30일(금) Frontiers of Psychiatry에 실린 연구결과는 재난이 청소년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특히 직접 산불을 경험한 청소년들이 받은 영향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실버스톤 교수는 장기적으로 볼 때 대처 방법 및 기술 개발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6년 포트 맥 대형 산불에 몰려 88,000명이 대피했으며, 주택 10%가 파괴되었다. 실버스톤 교수는 “이번 연구는 주로 아이들을 중점적으로 조사한 결과이며, 특히 산불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라고 말하면서 하지만 산불이 나기 전과 비교할만한 자료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포트 맥 인구에서 7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청소년은 3,000명 정도로 총 도시 인구의 70%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청소년들 중 37%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앓을 가능성이 있는 범주 안에 있으며, 31%는 우울증, 27%는 불안증, 15%는 알콜이나 약물 남용 가능성 범주 안에 각각 들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인 비율과 비교해 보면 적어도 두 배, 아마도 세 배 정도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실버스톤 교수는 말했다.
산불을 직접 목격했거나 산불로 집을 잃은 아이들에게는 그 영향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자들은 산불 후 포트 맥으로 돌아온 아이들이 재난으로 심리적인 영향을 받은 증거가 있었으며, 이는 커뮤니티 전체가 오랫동안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는 높아진 이혼율, 가정폭력, 그리고 단순히 스트레스를 감당하지 못하는 아이들도 포함될 수 있었을 것이며, 경제적인 스트레스도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난 전후 장기적인 건강위협을 피하기 위해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지원을 해줄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런 종류의 트라우마는 뇌 개발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더 그렇다고 실버스톤 교수가 말했다. (박미경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335 캐나다 호수에 빠진 어린이 2명 결국 숨진채 발견 밴쿠버중앙일.. 20.05.05.
3334 캐나다 대한민국은 선진국일까? 실감나지 않는 단어 ‘선진국’ - 오충근의 기자수첩 file CN드림 20.05.04.
3333 캐나다 직원 1천명 확진 판정, 앨버타 육류 공장 조사 - 사망자도 발생, 노조 “미리 임시 폐쇄 했더라면” file CN드림 20.05.04.
3332 캐나다 캐나다 록키산맥의 심장 밴프 경제, 올 스톱 - 관광산업에 직격탄 CN드림 20.05.04.
3331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시민들, “코비드 보다 경제 충격 더 무서워” -응답자 70%, “경제 후폭풍 우려” file CN드림 20.05.04.
3330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도 경제 재개 계획 발표 - 5월 14일부터 1단계 시행 CN드림 20.05.04.
3329 캐나다 써리겅찰 마약범죄자 잡으니 분실 신분증 신용카드 쏟아져 밴쿠버중앙일.. 20.05.02.
3328 캐나다 경찰 500명 자가격리 감시대상자 직접방문 밴쿠버중앙일.. 20.05.02.
3327 캐나다 한-캐나다 양국 국방장관 양국 협력 확인 밴쿠버중앙일.. 20.05.02.
3326 캐나다 캐나다KEB하나은행, 한인금융기관중 최초 CEBA대출 개시 밴쿠버중앙일.. 20.05.01.
3325 캐나다 식품가공공장 새로운 코로나19 감염 중심지가 되나? 밴쿠버중앙일.. 20.05.01.
3324 캐나다 BC주 비상선포 기간 3번째 2주 연장...5월 12일까지 밴쿠버중앙일.. 20.05.01.
3323 캐나다 [29일 실시간 코로나19 업데이트] BC주 4번째 닭고기가공공장 집단 감염 밴쿠버중앙일.. 20.04.30.
3322 캐나다 2월 누계 새 한인 영주권자 890명 밴쿠버중앙일.. 20.04.30.
3321 캐나다 캐나다인, 한국만 캐나다보다 코로나19 대응 잘한 국가 밴쿠버중앙일.. 20.04.30.
3320 캐나다 문 대통령 “한반도 운명의 주인은 우리 자신” 밴쿠버중앙일.. 20.04.29.
3319 캐나다 코로나19 대응 한국의 원격수업 사례, 해외 공유·전파 밴쿠버중앙일.. 20.04.29.
3318 캐나다 경미한 사고인줄 알았는데 사람이 죽어 밴쿠버중앙일.. 20.04.29.
3317 캐나다 직원임금 보조금 신청 27일 개시 밴쿠버중앙일.. 20.04.28.
3316 캐나다 BC주 코로나19 확진자수 50대가 가장 많아 밴쿠버중앙일.. 20.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