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오래 일하고 은퇴 늦어지는 영향 있을 것
 
news_img1_1570482381.png

 

BDO Canada의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국민의 절반 이상이 노후를 위한 저축도 없이 월급을 받아 근근이 살아가고 있어, 은퇴가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47명의 캐나다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보고서는 응답자의 53%는 소득이 낮으며, 응답자의 25%는 빚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년도에 비해 더 많은 국민들이 신용카드 부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분의 1은 신용카드 빚을 갚을 수 없고, 40%는 모기지가 아닌 부채가 2만 불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BDO Canada의 대표인 더그 존스는 “부채는 캐나다 국민들에게 점점 더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라며, “시간이 지날수록 재정적 목표에 다가가지 못하도록 복합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캐나다의 인플레이션이 중앙은행의 목표인 2%에 가까워지고 있고 주식 시장이 계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부채에 대한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장기 투자에 대한 이자율이 단기 투자에 대한 이자율보다 낮아지는 등 경기 침체에 대한 걱정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부동산 시장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는 것도 감지되고 있다.
BDO의 보고서에 따르면 밀레니엄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들에 비해 X세대들이 가장 큰 부채에 시달리고 있으며, X세대들의 44%가 2만 불 이상의 부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주로 35-54세들이 주택을 보유하며 모기지로 인한 커다란 부채를 가지는 것을 감안하면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베이비붐 세대는 모기지를 다 갚은 세대이며, 밀레니엄 세대는 치솟는 부동산 가격으로 인해 아직 내 집 마련을 하기 어려운 세대이다.
X세대의 38%는 노후 자금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반 이상이 노후를 위한 저축을 할 여력이 없다고 응답했다. 존스는 “캐나다 40-50대 국민들이 재정적인 어려움을 가지거나 은퇴를 위한 준비를 못 한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라며, “이는 생활비를 감당하기 위해 더 많은 빚을 지게 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전했다.
젊은 세대들이 더 오랜 기간 동안 일을 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의 비율이 82%로 전년도 75%에 비해 높아지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저축을 하더라도 은퇴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하는 사람들의 비율도 69%로 전년도보다 높은 기록을 보였다. 남성에 비해 여성이 재정적인 어려움이 높다는 분석도 나왔다. 수입이 부족한 사람들 중 여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중요한 구매를 위한 저축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비율도 여성이 높았다.
BDO는 “최근 몇 년간 캐나다 국민들은 어려움을 겪어왔다.”라며, 이 같은 인덱스가 더 큰 어려움이 다가오고 있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고 전했다. BDO는 “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캐나다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며, 부채에 대한 책임과 미래를 위한 재정적 목표의 균형을 찾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남경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95 캐나다 캐나다 최악의 총격 살인 사건...노바스코샤 총기난사로 경찰 포함 17명 사망 밴쿠버중앙일.. 20.04.21.
3294 캐나다 마스크나 식품가격 바가지 씌우면 2000달러 벌금 밴쿠버중앙일.. 20.04.21.
3293 캐나다 BC 보건책임자, 대유행 전망모델 믿으면 바보 밴쿠버중앙일.. 20.04.21.
3292 캐나다 연방정부, CERB와 E.I 동시 수령자에게 경고 file CN드림 20.04.20.
3291 캐나다 코로나 검사, 증상 있는 모든 주민으로 확대 file CN드림 20.04.20.
3290 캐나다 캘거리 경찰, 보건안전 규정 위반에 강력 대응 file CN드림 20.04.20.
3289 캐나다 [17일 실시간 코로나19 업데이트] 온주 확진자 누계 곧 1만명 돌파 밴쿠버중앙일.. 20.04.18.
3288 캐나다 연방 소기업 임대 관련 지원책도 새로 발표 밴쿠버중앙일.. 20.04.18.
3287 캐나다 캐나다 | 연방, 고용상태지만 임금 못 받는 노동자도 지원 밴쿠버중앙일.. 20.04.18.
3286 캐나다 코로나19로 집에만 있으니 술만 마시나 밴쿠버중앙일.. 20.04.17.
3285 캐나다 노스밴 편의점 노린 무장강도 사건 연이어 발생 밴쿠버중앙일.. 20.04.17.
3284 캐나다 한인 주요 주거지 무술도장 운영 중단 조치 밴쿠버중앙일.. 20.04.17.
3283 캐나다 코로나19 대유행, 그래도 안전한 곳은 어디일까? 밴쿠버중앙일.. 20.04.16.
3282 캐나다 트뤼도 이스터 연휴 파티 비판 불구, 대부분 국민 정부 코로나19 대책 만족 밴쿠버중앙일.. 20.04.16.
3281 캐나다 워킹홀리데이 기 신청자만 캐나다 입국 가능 밴쿠버중앙일.. 20.04.16.
3280 캐나다 자가격리가 생활 패턴도 바꾼다 - 가정 채소재배 관심 높아져 CN드림 20.04.13.
3279 캐나다 팬데믹, 사기범들을 조심하자 - 힘든 상황을 악용한 범죄 활개 CN드림 20.04.13.
3278 캐나다 유령도시로 변한 남부 국경 인접도시 - 국경 봉쇄로 사회/경제 활동 전면 중단 CN드림 20.04.13.
3277 캐나다 코비드 증상자 국내 여행 제한 - 국내항공, 철도 승객 전원 검사 CN드림 20.04.13.
3276 캐나다 실업 대란에 휘청이는 앨버타 - 식음료 부문 10만 명 실직 CN드림 20.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