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_img1_1586717805.png

(사진: 캘거리 헤럴드, 스프루스 잇 업 가든 센터 소유주, 메릴 쿰브스) 

 

코로나-19 사태로 종자 주문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량 부족에 대한 두려움 때문인지 아니면 단순한 지루함 때문인지 상당 수의 사람들이 원예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캘거리 남부의 그린 게이트 가든 센터(Greengate Garden Centres)는 문은 열고 있지만, 커브 사이드(보도 가장자리) 픽업만 가능하다. 현재 전화와 컴퓨터로 씨앗 주문이 폭증하고 있다.
야채 담당 매니저 존 오스트로던(John Ostrowdun)은 “예년에 비해 씨앗을 사고자 하는 사람 수가 확실히 증가하고 있다. 전화를 하거나 주문한 사람들 거의 모두가 씨앗을 찾는다. 70~80%가 채소와 식용식물”이라고 전했다.
스프루스 잇 업(Spruce It Up)의 온실 직원들도 같은 상황이다. 온실과 매장 매니저 조 반밀러 (Zoe Bahnmiller)는 “구근과 종자 판매량이 올해 급증했으며, 주로 식용 요리 식물들”이라고 말했다. 또한 전국 종자 공급업체들은 채소 키우기에 대한 관심이 마찬가지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사람들이 일어날지 모를 부족현상에 대해 긴장하고 있는데 이를 완화시키는 것보다는 오히려 자급자족할 방법을 찾고 있다. 또한 흙을 가지고 움직이면서 긍정적인 결과는 물론 명상 효과까지 볼 수 있다면 이와 같은 때에 적합한 마음을 다스릴 수 있는 진정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스프루스 잇 업은 매장 문을 열고 있지만, 한 번에 고객 10명만 입장이 가능하며, 이 곳 또한 커브 사이드 픽업과 배송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밀러는 “판매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고 걱정했는데 판세가 바뀌었다”고 말했다.
서리 때문에 콜리플라워를 제대로 키우지 못했던 예년과 달리 그린게이트나 스프루스 모두 어떤 특정 채소에 대한 수요 폭증은 없었다. 대부분 콩, 당근, 호박과 잎채소와 같이 캘거리에서 잘 되는 작물을 구입하고 있다. 씨앗을 실내에서 싹 틔우기에 적절한 시기이기도 하지만, 오스트로던은 식료품 부족이 인식되고,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자 내가 먹을 것은 내 손으로 키운다는 생각을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반밀러는 캘거리에서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은 요맘 때 늘 그렇듯 바쁘지만, 이번에는 더 많은 젊은층들이 식물을 구매하고 키우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하면서 “많은 이들이 라이프 스타일에 분명히 변화를 보이는 것이며, 이는 식량 부족에 대한 불안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마이크로그린(새싹채소)과 마리화나는 인크레디그로우(Incredigrow)에서 잘 팔리는 상품이며, 이 곳은 상업 및 가정 재배자들에게 영업을 하고 있다. 대규모 의료 인구에 필수적인 서비스로 간주되어 매장 내 쇼핑객을 한 번에 5명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픽업하도록 권하고 있다.
이곳의 공동 소유주인 제프 브랜딕(Jeff Brandick)은 “비상사태라 바쁘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씨앗은 인기가 있으며, 1년 내내 팔고 있다. 마리화나 상점이 여전히 문을 열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직접 재배하기 위해 오는 사람들이 많이 오는 것 같지는 않다. 마리화나 상점은 침체가 없어 보이며, 완전히 폐쇄될 경우를 대비해 모두가 재고를 비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날씨가 따뜻해지고 본격적인 가드닝 시즌에 접어들면 그린게이트와 같은 가든 센터들은 제품 판매로 전환될 예정이며, 커브 사이드 픽업으로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박미경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95 캐나다 캘거리 시, 주거지역 속도제한 강화 시민 의견 수렴키로 CN드림 19.11.05.
2994 캐나다 밴쿠버 | 다운타운 고층 빌딩 평가 가치가 1달러...왜? 밴쿠버중앙일.. 19.11.02.
2993 캐나다 세계한인 | 우즈베키스탄 고려인과 함께 한 궁중무용 밴쿠버중앙일.. 19.11.02.
2992 캐나다 8월 BC주 평균주급 다시 1000달러 돌파 밴쿠버중앙일.. 19.11.02.
2991 캐나다 앨버타 대학교 오픈 하우스, 역대 최고 숫자 참여 CN드림 19.10.29.
2990 캐나다 앨버타 독감 예방 접종 클리닉 열어...5세 이상은 약국에서도 접종 가능 CN드림 19.10.29.
2989 캐나다 Royal LePage, 캘거리 주택 가격은 내리고 매매는 늘었다 CN드림 19.10.29.
2988 캐나다 스웨덴 기후 운동가 툰버그, 앨버타 의사당 앞에서 연설...에드먼튼 기후집회에 수천 명 운집 CN드림 19.10.29.
2987 캐나다 '나 왕년에~' 즐겨부르던 노래를 듣고 싶다면~'나 어떻게' 밴쿠버중앙일.. 19.10.29.
2986 캐나다 25일부터 캐나다 전역에 기생충 상영 밴쿠버중앙일.. 19.10.29.
2985 캐나다 자유당 2019 총선 주요공약 어떤 변화 보이나 밴쿠버중앙일.. 19.10.29.
2984 캐나다 할로윈, 준비됐어?...캘거리에서 벌어지는 할로윈 이벤트들 file CN드림 19.10.23.
2983 캐나다 오일 패치, 연방 총선에 지대한 관심...어느 당이 승리하냐에 따라 크게 영향 받아 file CN드림 19.10.23.
2982 캐나다 캘거리 시의회, 비즈니스 및 주택 재산세 부담율 논의 CN드림 19.10.23.
2981 캐나다 예산 동결에도 내년 재산세 대폭 인상 불가피...올해 비즈니스 재산세 인하 조치가 원인 file CN드림 19.10.23.
2980 캐나다 에드먼튼 지역 주택 평균 가격 지속적 하락 CN드림 19.10.23.
2979 캐나다 내 자녀가 캐나다 주인으로 이 땅에서 당당하게 살아가는 길 밴쿠버중앙일.. 19.10.22.
2978 캐나다 BC주민 13%, 합법화 후 마리화나 시작 밴쿠버중앙일.. 19.10.22.
2977 캐나다 BC정부, 마리화나 합법화 관리 잘했다 자평 밴쿠버중앙일.. 19.10.22.
2976 캐나다 연방총선 각 당 지지도 말고 진짜 각 당별 예상되는 의석 수는? 밴쿠버중앙일.. 19.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