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운동 부족으로 체육관을 그리워하고 있다. 팬데믹 중에 집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가장 최선의 선택이었지만, 체육관을 정기적으로 다니며 정해진 루틴을 반복하던 사람이나 좋아하는 피트니스 수업이나 운동기구를 사용하던 사람들에게 체육관은 아직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3월 중순에 문을 닫기 전까지, 전형적인 모습의 체육관은 많은 운동기구들을 여러 사람이 공유하며 많은 부분을 손으로 만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 같은 환경은 바이러스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피트니스클럽들에게 변화는 불가피해 보인다.
미생물학자인 제이슨 테트로는 소셜 디스턴싱 기준이 바이러스를 확산시키는 분비물이 퍼질 수 있는 거리가 넓은 체육관에서는 다르게 적용되어야 할지도 모른다며, “3-4 m가 적용되면 나아질까? 확신할 수는 없지만 다른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아마도 러닝머신들은 한 대씩 떨어져서 사용해야 하거나 기구 사이에 플렉시글라스가 설치되어야 할지도 모른다. 또한, 웨이트 리프팅을 하는 사람들은 서로 멀리 떨어져서 운동을 해야 할 수도 있으며, 덤벨이나 바벨, 케틀벨, 줄넘기, 메디슨볼 등의 도구들은 공동사용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체육관 오너들과 매니저들은 개인이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하거나 테이프로 바닥에 표시를 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같은 운동 공간이나 기구들은 사전에 예약이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
단체 클래스도 달라질 것이다. 테트로는 스튜디오에 일정 공간을 표시하여 개인이 이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각자 요가 매트와 물병을 필수로 준비해오고 바이러스 확산이 쉬운 식수대는 폐쇄될 수도 있다. 수업과 수업 사이에는 직원들이 손이나 신체가 닿았던 모든 표면을 소독하고 사용자들도 사용 전후로 깨끗하게 닦아야 할 것이다.
체육관들은 사용자들이 이동하는 동선을 한 방향으로 만드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는 테트로는 처음에는 탈의실이나 샤워실이 없는 상황에서 운영이 될 것이라며, “사람들의 동선을 제한하기가 어려울뿐더러 바이러스가 자라는 공간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체육관들은 운동복을 입은 채로 입장해서 운동을 하고 퇴장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있다. 겨울 시즌이 다시 찾아오면 두꺼워지는 외투로 탈의실을 최대한 개방하게 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관건은 체육관들이 공기 순환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는 점이다. 점점 더 많은 근거가 나오며 공기 순환이 나쁘면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테트로는 “순환이 안 좋은 부분을 찾아 이를 개선하도록 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가장 마지막에 문을 열 가능성이 높은 체육관은 많은 준비가 필요한 공간으로 보인다. 한편으로는 이전과는 다른 운영방식으로 인해 이용료가 높아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다.
문을 열 때까지 체육관들은 온라인 프로그램들을 야외로 옮겨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스스로의 장비를 준비해서 공원과 같은 공간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을 온라인 수업과 병행하는 방법도 있다. 소셜 디스턴싱은 여전히 지켜져야 하지만 적어도 공기 순환으로 인해 일어나는 사고는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남경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55 캐나다 BC주 산불 올해 들어 총 569건 밴쿠버중앙일.. 19.07.31.
2854 캐나다 27일 한국전참전용사의 날 헌화식 거행 밴쿠버중앙일.. 19.07.31.
2853 캐나다 버나비 거주자 홍역 확진 판정 밴쿠버중앙일.. 19.07.31.
2852 캐나다 캘거리 하키장, 시에서 비용 절반 부담하나 file CN드림 19.07.30.
2851 캐나다 캘거리 중대 폭력 범죄 급증 추세 file CN드림 19.07.30.
2850 캐나다 예산 삭감 폭풍 몰아치는 캘거리 공공 서비스 file CN드림 19.07.30.
2849 캐나다 왕코리아불닭봉·BBQ봉 리콜 밴쿠버중앙일.. 19.07.30.
2848 캐나다 '한반도 평화공존이냐, 비타협 전쟁공포냐' 밴쿠버 한인 어느쪽에! 밴쿠버중앙일.. 19.07.30.
2847 캐나다 써리경찰 재규어 타고다니는 성폭행범 수배 중 밴쿠버중앙일.. 19.07.30.
2846 캐나다 써리-랭리 스카이트레인, 확보된 예산 범위까지만 건설 밴쿠버중앙일.. 19.07.27.
2845 캐나다 연방EE 3600명 초청자, 통과점수 459점 밴쿠버중앙일.. 19.07.27.
2844 캐나다 월 전국 평균주급은 1031달러 밴쿠버중앙일.. 19.07.27.
2843 캐나다 5월 누계 밴쿠버 새 영주권자 1만 4075명 밴쿠버중앙일.. 19.07.26.
2842 캐나다 알렉스프레이져대교 속도제한 시속 70KM 밴쿠버중앙일.. 19.07.26.
2841 캐나다 연쇄 살인 실종자에서 핵심 용의자로... BC주 십대에 무슨 일이 밴쿠버중앙일.. 19.07.26.
2840 캐나다 코퀴틀람 센터몰 주차장에 곰이 나타났다!!! 밴쿠버중앙일.. 19.07.25.
2839 캐나다 B라인보다 더 빠르고 편리한 급행버스 내년 본격 운행 밴쿠버중앙일.. 19.07.25.
2838 캐나다 5월 한국 방문객 큰 폭 감소 이어가 밴쿠버중앙일.. 19.07.25.
2837 캐나다 한국산 캐나다라인 새 무인전동차 도착 임박 밴쿠버중앙일.. 19.07.24.
2836 캐나다 캐나다인 "가장 건강하다" 확신 밴쿠버중앙일.. 19.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