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Maxime on Unsplash

퀘벡주 국립공중보건연구소(INSPQ)는 코로나19 변종이 계속해서 확산됨에 따른 추가적인 보호로서 근로자들이 직장에서 항상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권장한다.

이 권고안은 사무실 및 기타 실내 작업장에서 SARS-CoV-2의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며, 단체에 따르면, 마스크는 이제 특정한 작업이나 상황보다는 항상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적용하는 것이 더 간단하다고 한다.

국립공중보건연구소는 화요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퀘벡주의 여러 직장에서 매주 발병 사례가 있으며, 이 변종들은 “더 전염성이 있고 잠재적으로 더 독성이 있다”라고 언급했다.

연구소는 마스크의 지속적인 착용은 작업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른 예방 조치들, 즉 “접촉 최소화, 신체 거리 최소화, 다양한 물리적 장벽, 손 위생 및 적절한 환기”에 더해져 있다고 설명했다.

기관은 데이터가 휴식시간과 식사시간에 더 중요한 전염 사례가 나타냄을 보여주며, 국립공중보건연구소에 따르면 변종이 등장함에 따라 이러한 취약한 순간에 조치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한다.

이 기관은 근로자들이 식사 시간을 조정하거나 가능하면 개별 사무실에서 식사하는 것을 선호하거나 회사가 근로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더 많이 만들 것을 권고하고 있다.

또한 마스크 선택은 매우 중요하며, 의료용 마스크 또는 퀘벡주의 인증기관인 BNQ(Bureau de normalisation du Québec)에서 인증한 마스크를 권장한다.

야외 작업의 경우, 동료와 2미터 미만의 상호작용을 피할 수 없는 경우에도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55 캐나다 밴쿠버, 한국 전통 도자기 우수성 찬양 밴쿠버중앙일.. 18.04.13.
1954 캐나다 에어비앤비에 집 내놓을 때 사업자등록증 필수 밴쿠버중앙일.. 18.04.12.
1953 캐나다 백인우월주의 추종 美한인 체포 밴쿠버중앙일.. 18.04.12.
1952 캐나다 세계한인 언론인, KBS·농촌진흥청·전주 방문 밴쿠버중앙일.. 18.04.12.
1951 캐나다 총영사관, 한국대학 입학 설명회 개최 밴쿠버중앙일.. 18.04.12.
1950 캐나다 세계한인 언론인, 국제심포지엄 개최 밴쿠버중앙일.. 18.04.11.
1949 캐나다 트랜스 마운틴 송유관, 연방정부의 결정은? 밴쿠버중앙일.. 18.04.11.
1948 캐나다 본격적인 크루즈 시즌 개막 밴쿠버중앙일.. 18.04.11.
1947 캐나다 아이스하키 선수단 버스 사고... 사망 15명·부상 14명 (상보) 밴쿠버중앙일.. 18.04.10.
1946 캐나다 밴쿠버 고속버스노선 시민 의견 수렴 밴쿠버중앙일.. 18.04.10.
1945 캐나다 청소년 졸업시즌 교통사고 급증 밴쿠버중앙일.. 18.04.10.
1944 캐나다 한국 관광 자원 알리는 캐나다 온라인 서포터즈 출범 밴쿠버중앙일.. 18.04.10.
1943 캐나다 세계한인언론인, 국민투표법 개정 한목소리 밴쿠버중앙일.. 18.04.10.
1942 캐나다 캐나다 인구 증가 경찰력 증가 능가 CN드림 18.04.10.
1941 캐나다 앨버타, “올림픽 유치 신청에 시민 투표 필요” CN드림 18.04.10.
1940 캐나다 캐나다 이민 남들은 쉽다지만 한인에겐 어려워 밴쿠버중앙일.. 18.04.06.
1939 캐나다 밴쿠버 민주평통 위원 재정비 완료 밴쿠버중앙일.. 18.04.06.
1938 캐나다 "올여름 막히면 돌아가는게 상책" 밴쿠버중앙일.. 18.04.06.
1937 캐나다 세계한인 | 여권의 로마자 성명, 성인이 된 후 ‘1회 변경’ 가능 밴쿠버중앙일.. 18.04.06.
1936 캐나다 봄, 메트로밴쿠버 주택거래 큰 폭 하락 밴쿠버중앙일.. 18.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