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하위 가구와 최상위 가구 소득의 7분의 1

새 이민자일수록 최하위 계층 비율이 높아

 

높아지는 물가에 캐나다 전체 인구 중 절반 가량이 하루 하루 살아가는 것에 대해 걱정을 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통계청이 8일 발표한 조사자료에 따르면 44%의 국민이 일일 지출을 감당할 수 있는 지에 대해 크게 걱정하고 있었다.

 

특히 가장 낮은 저소득층은 높아진 식품비, 주거비, 그리고 다른 생활비 등에 대한 걱정이 최고조에 달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소득 계층을 5분위로 나누었을 때 최저소득층의 63%가 매우 걱정이라고 입장이다. 반면에 최상위소득층은 19%만이 걱정을 하는 것으로 나왔다. 

 

각 소득층의 의식주 지출 비율을 보면 우선 최하위 20% 가구는 주거에 31.6%, 식품비에 15.1%, 그리고 의류에 4.4%를 지출해 필수 의식주 비율이 51.2%였다.

 

반면 최상위 20%는 주거비에 25.6%, 식품비에 11.6%, 그리고 의류에 4.5%로 의식주 지출이 전체 지출의 41.7%였다.

 

이번 조사에서 이민 여부와 최하위층 비율 관련 분석에서 2016년에서 2020년 사이에 이민을 온 경우 24%로 더 오래된 이민자의 14%나 캐나다 출생자의 13%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열악했다.

 

주별로 보면 BC주는 12.7%로 알버타주의 9%에 이어 가장 최저소득층을 보이는 주가 됐다.

 

휘발유 가격이 급등하며 물가를 견인하고 있는데 최하위층은 이에 대한 걱정이 73.3%로 나타났으며, 최상위층도 47%로 다른 어떤 것보다 근심을 주고 있었다.

 

지난 6개월간 가계 지출 항목 중 물가 상승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항목은 식품비였는데 이는 저소득층이나 고소득층이나 모두크게 걱정을 주었다.

 

2019년 기준으로 세후 중간 소득에 있어, 최하위층은 2만 1000달러로 최상위층 14만 6000달러에 비해 겨우 7분의 1에 불과했다.

 

결과적으로 높아지는 물가에 최저소득층의 부담은 커지고 또 상대적으로 필수적인 지출에 대한 걱정도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55 캐나다 '운전 중 핸드폰 사용' 요주의 인물, 일주일 사이 두 차례 더 적발 밴쿠버중앙일.. 16.03.22.
5754 캐나다 클락 수상, "녹색당 발의, 대학 성폭력 예방법 통과시키겠다" 밴쿠버중앙일.. 16.03.22.
5753 캐나다 부동산 시장 과열 공개 미팅, 주민 7백여 명 참석 밴쿠버중앙일.. 16.03.22.
5752 캐나다 포트 무디 주유소 펌프 경고 스티커 프로젝트, 찬반 갈등 속 진행 밴쿠버중앙일.. 16.03.22.
5751 캐나다 성 패트릭의 날, 밴쿠버 녹색 물결로 뒤덮어 밴쿠버중앙일.. 16.03.22.
5750 캐나다 교사연합과 주정부 갈등, 이번에는 아동가족부로 불똥 튀어 밴쿠버중앙일.. 16.03.22.
5749 캐나다 UBC 이사, 탈세 혐의 사임 밴쿠버중앙일.. 16.03.22.
5748 캐나다 20일(일), 밴쿠버와 써리에서 살인사건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3.23.
5747 캐나다 메이플 릿지, 노숙인 보호 시설 반대 대규모 시위 밴쿠버중앙일.. 16.03.23.
5746 캐나다 부동산 정책 '갑론을박'. 다가온 총선 때문? 밴쿠버중앙일.. 16.03.23.
5745 캐나다 소도시 벨카라, '모든 주요 절차 영어로만' 정책 추진 밴쿠버중앙일.. 16.03.23.
5744 캐나다 피트 메도우, 택시 운전사 강도 사건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3.24.
5743 캐나다 버나비 고층 건설 붐, 밴쿠버 뛰어넘는 빌딩 숲 될까? 밴쿠버중앙일.. 16.03.24.
5742 캐나다 밴쿠버, 캐나다에서 교통 체증 가장 심한 도시 밴쿠버중앙일.. 16.03.24.
5741 캐나다 웨이트리스 희롱 건설회사 간부, 자진사퇴 밴쿠버중앙일.. 16.03.24.
5740 캐나다 맥도날드’, ‘홈 디포’… 앨버타에서 3천 명 신규 채용중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5739 캐나다 도서관에서 ‘아동 포르노’ 보다 체포된 42세 남성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5738 캐나다 에드먼턴, 대규모 인프라 건설에 연방 예산 투입 예정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5737 캐나다 에드먼턴 운송 노조, 버스 기사 폭행에 대한 조치 요구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5736 캐나다 ‘밸리 라인 LRT’ 절감 예산, 교통부문에 재투자해야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