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5SVIWPKo_99209816d6c96646

IMF의 경제성장률 그래프

 

올해 한국과 같은 1.5%로 전망

내년 캐나다 1.5%, 한국 2.4%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은 11일(화) 오전 9시(미국 워싱턴 기준)에 4월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WEO)을 발표했다. 세계경제전망은 IMF가 매년 1·4·7·10월 발표하는 대표적인 보고서로 세계경제와 회원국의 경제성장률을 분석·전망하고 정책 방향을 제언하는 보고서이다.

 

여기서 캐나다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1.5%로 내다봤다. 높은 성장률은 아니지만 선진국 전체로 1.3% 경제성장률인 점을 감안하면 평균 이상이다. IMF의 지난 1월 전망에서도 1.5%로 변화가 없었다. 

 

G8국가만 보면 캐나다는 미국의 1.6%에 이어 스페인과 함께 공동 2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1.3%,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0.7%이다. 독일은 -0.1%, 영국도 -0.3%로 마이너스 성장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내년도에 전체 선진국은 1.4%의 성장이 예상되는데, 캐나다는 올해와 같은 1.5%로 전망됐다. G8 국가 중에서는 스페인의 2%에 이어 2번째로 높은 국가이다.

 

IMF는 최근의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시장으로 파급될 가능성을 우려하며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2.8%로 전망하였다. 이는 지난 1월 전망치인 2.9%에 비해 0.1%p 햐향조정된 수치이다. IMF는 또 세계경제 중기성장률(5년뒤 성장률)을 3.0%로 전망하였는데 이는 WEO가 발간된 1990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캐나다와 같은 1.5%로 예상됐다. IMF의 지난 1월 전망에서는 1.7%였지만 0.2% 포인트 하향 조정을 했다. 내년도에는 2.4%로 높아진다는 전망이다. 이 또한 지난 1월 전망치 2.6%에 비해 0.2% 포인트 하향조정한 수치다.

 

 

758783364_o3gj8anr_5bd81bb4c974313020c2c3dac8651dd9984cfed2.png

IMF의 주택시장 위험도 그래프

 

이번 보고서에서 주택 시장 위기 관련 분석도 나왔는데, 캐나다는 주요 국가 중에서 가장 위험한 국가로 나왔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중 세계 주요 국가의 주택 가격이 폭등을 했는데, 작년 2분기부터 하락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모기지 이자 부담도 크게 증가하면서 캐나다의 주택 시장 위험성이 모든 선진국 중에 제일 위험한 상황이라고 본 것이다. 

 

보고서의 소비자물가지수 전망에서 캐나다는 올해 3.9%, 내년에 2.4%로 점차 관리 목표치로 조정될 전망이다. 한국은 올해 3.5%, 내년에 2.3%로 안정화를 예상했다.

 

IMF는 올해 세계경제 여건을 험난한 회복과정(A Rocky Recovery)으로 평가했다. 지난해부터 세계경제를 괴롭혀온 러-우 전쟁, 경제분절화 심화, 인플레이션 등 불안요인이 해결되지 못한 채 최근의 실리콘밸리 은행·크레딧스위스 사태 등 금융시장 불안이 확산되는 상황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IMF는 이 외에도 지나치게 높은 공공·민간부채 수준, 신흥국 및 개도국 그룹 중심으로 나타나는 신용 스프레드 상승 등을 잠재적인 위험요인으로 제시했다. 

 

IMF는 금융시장 불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기대 인플레이션이 충분히 낮아질 때까지 긴축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재정당국에는 통화정책과의 정합성 및 부채관리를 위해 긴축재정을 권고하는 한편, 생계비 완화를 위한 재정지원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재정적자와 부채규모를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관리해야하며 저탄소 경제체제로 빠르게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

 

표영태 기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95 캐나다 YVR 공항에서 충돌 사고 시뮬레이션 훈련 file 밴쿠버중앙일.. 15.05.01.
6194 캐나다 BC주 동북부, 주정부의 '페어 셰어' MOU 파기두고 시끌 file 밴쿠버중앙일.. 15.05.05.
6193 캐나다 버나비, 아파트 건물주와 반려견 입주자 갈등 커져 file 밴쿠버중앙일.. 15.05.07.
6192 캐나다 빅토리아 시의회, 밴쿠버에 이어 마리화나 판매 합법화 지지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2.
6191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40년만에 정권교체 CN드림 15.05.14.
6190 캐나다 앨버타 토리왕조, “장기집권의 몰락” file CN드림 15.05.14.
6189 캐나다 캐나다 석유산업, 유가 폭락에 따라 더 많은 해고를 준비 CN드림 15.05.14.
6188 캐나다 밴쿠버 챕터스, 모회사 인디고 이름으로 재개장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4.
6187 캐나다 환경청, '올해 BC주 여름 무척 더울 것' 예상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5.
6186 캐나다 고등학교 순위, 사립학교들이 상위권 독식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6.
6185 캐나다 프린스 죠지 산불, 계속 악화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6.
6184 캐나다 캐나다 플레이스, YVR 공항과 같은 여권확인 기기 설치 file 밴쿠버중앙일.. 15.05.20.
6183 캐나다 주류판매업계, '주류법 개정 여파로 4월 매출 하락' file 밴쿠버중앙일.. 15.05.22.
6182 캐나다 노틀리 주수상 당선자, “경제가 최우선 과제” file CN드림 15.05.22.
6181 캐나다 총선이 던진 의미, ‘희망보다는 변화’ file CN드림 15.05.26.
6180 캐나다 BC 페리, 주요 노선 축소 계획 철회 밴쿠버중앙일.. 15.05.26.
6179 캐나다 집값 상승 규탄 대규모 집회- '1백만 달러 없다' 밴쿠버중앙일.. 15.05.27.
6178 캐나다 이코노미스트 컬럼, '밴쿠버 살기 좋으나 재미없는 곳' 밴쿠버중앙일.. 15.05.28.
6177 캐나다 NDP 정부 출범, ‘앨버타 정치의 새로운 장을 열다’ file CN드림 15.06.02.
6176 캐나다 캐나다에서 가장 살기좋은 도시, 노스밴 9위 - 밴쿠버 46위 밴쿠버중앙일.. 15.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