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 토론회 마무리, 이젠 시의회 최종 투표 과정만 남아 있어

 

지난 해 4월, BC주 주류법 개정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그로서리에서 주류를 구입할 수 있을 것을 기대했다.

 

그러나 개인 주류 판매업자들의 반대 로비로 지자체 허가가 늦어지면서 개정 1년이 지난 지금도 주류를 판매하는 그로서리는 극히 적다. 

 

지난 25일(월), 코퀴틀람 시의회가 개정 주류법에 맞춰 재정비한 관련 규정을 두고 공개 독회를 열었다.

 

시청 측이 새 규정의 자세한 내용을 공개한 후 참석자들이 의견을 발표했다. 의견을 발표한 사람들은 대부분 기존 주류업계 종사자들로 반대 의견을 내놓았다. 코퀴틀람 역시 ‘마트 내 주류판매’가 기존 업주들의 반대에 부딪힌 것이다.

 

소규모 개인 주류판매점 운영자들은 물론 펍(Pub) 운영자들도 많이 참석했다. 이들은 대형 마트 체인과의 경쟁을 ‘다비드와 골리앗 싸움’에 비유하며 “우리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 중 한 사람은 “공정한 경쟁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다. 대형 마트들은 우리와는 다른 규정을 적용받고 있다. 시작부터가 비공정 경쟁이기 때문에 반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자리에는 1천여 업주들을 대변해 제프 귀냐드(Jeff Guignard) 주류 판매연합회(Alliance of Beverage Licensees) 회장도 자리했다.

 

1975년부터 비즈니스를 시작한 그는 “기존 개인 주류판매업자들은 주류법 개정 이전 규정에 맞추어 오랜기간 사업을 해왔다. 그런데 대형 그로서리 체인은 개정 이후 규정을 적용받는다. 공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거리 규정을 문제삼았다. 주정부는 주류법 개정 당시 ‘기존 판매처로부터 1 km 이상 떨어져 있는 그로서리만이 라이센스를 취득할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코퀴틀람은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해 이 거리를 3백 미터로 축소했다. 또 학교와의 최소 거리는 3백 미터에서 150 미터로 축소되었으며, ‘공원이나 종교 시설로부터 3백미터 거리를 두어야한다’는 내용은 삭제되었다.

 

공개 설명회에 참석한 업주들은 “최소 거리를 기존에 논의되었던 1 km로 유지해달라”고 요청했다.

 

코퀴틀람 시의회가 마련한 새 규정에 반대한 사람은 또 있다. BC 리쿼 스토어 직원들의 조합인 BCGEU(BC Government Employees Union)의 수잔 스키드모어(Sussanne Skidmore) 다. 그는 “리쿼 스토어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크다. 그것은 생존권을 위협하는 중대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 날 공개 논의와 함께 지역 주류법 개정에 대한 코퀴틀람의 모든 독회 및 주민 의견 수렴 과정은 마무리되었다.

 

이제 시의회의 찬반 투표만이 남은 상황이다. 향후 코퀴틀람 시의회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다.[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635 캐나다 캐나다 한인 중심지가 위험하다-코퀴틀람 2명 총격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2.11.25.
5634 캐나다 이비 주수상, 주택 문제 해결 위해 정부 조직에 주택부 신설 file 밴쿠버중앙일.. 22.11.24.
5633 캐나다 경찰, 강도들과 총격 추격전에 트라이시티 대혼란 file 밴쿠버중앙일.. 22.11.24.
5632 캐나다 코로나19에 고등교육기관 재적 학생 수도 감소 file 밴쿠버중앙일.. 22.11.23.
5631 캐나다 OECD, 캐나다 내년 경제성장률 1%로-G7 중 2번째 file 밴쿠버중앙일.. 22.11.23.
5630 캐나다 작년 전국 살인사건 전년에 비해 3% 증가 밴쿠버중앙일.. 22.11.22.
5629 캐나다 취임 초 쏟아진 이비 신임 주수상의 정책들 file 밴쿠버중앙일.. 22.11.22.
5628 캐나다 데비드 이비, BC주 37대 주수상으로 공식 취임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9.
5627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휘발유값 9개월 만에 170센트 대로 급락 밴쿠버중앙일.. 22.11.19.
5626 캐나다 BC자유당에서 BC연합당으로 당명 변경 추진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8.
5625 캐나다 메트로밴쿠버의 2022년도 생계 임금 시급-24.08달러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8.
5624 캐나다 10월 연간소비자물가 지수 6.9% 상승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7.
5623 캐나다 코로나 변이바이러스도 다시 유행하는데 독감도 유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6.
5622 캐나다 코로나 발생 때 결혼 건 수도 대폭 감소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5.
5621 캐나다 코퀴틀람 아이케아에 고액 현금 잃어 버리신 분?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5.
5620 캐나다 올해로 2번째 맞이하는 밴쿠버 김치 나눔축제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1.
5619 캐나다 내년에도 BC 주택 시장 침체 이어갈 분위기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1.
5618 캐나다 높은 물가에 식품비 지출이 겁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1.
5617 캐나다 밴쿠버에서도 오늘밤 붉게 물든 개기 월식 관측될까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9.
5616 캐나다 BC주 유럽계 위주로 아직도 영국 영향력 아래 있으려는 경향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