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5일 선거가 다가오고 있다. 다문화 다민족으로 이뤄진 캐나다 사회에서 각 커뮤니티의 힘은 '선거 참여'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그동안 한인 사회의 투표율은 타 커뮤니티에 비해 낮았다. 조사에 의하면 한인 투표율은 연방 선거는 10 %, 주 선거는 5 %, 그리고 지방 선거는 2 % 미만이다. 정치 무관심, 그리고 그것에서 비롯된 투표 불참이 누적될 수록 한인 사회 위상은 약화될 수 밖에 없다. 한인유권자연합회(Korean-Canadian Voter's Federation)와 밴쿠버 중앙일보는 11월 15일 지방 선거를 맞아 '커뮤니티를 위해 투표합시다' 공동 캠페인을 시작한다. 매주 토요일 마다 캐나다 정치 이해, 그리고 선거 참여를 위한 기획기사를 게재한다. <편집자 주>






교민들에게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 정치활동은 각종 선거 (지방자치주 와 연방)때 투표에 참여하는 것 입니다투표 참여는 캐나다 시민으로서 권리이자 의무입니다잘 아시다시피  어떤 나라에서는 목숨을 걸고 투표를 합니다캐나다의 모든 정당은 유권자 명단을 가지고 있습니다. 투표 참여율을 유권자의 모국을 포함한 여러가지 요인을 분석하여 다음 선거에 대비하고 선거 전략도 세우기 때문에 한국계 캐나다인들의 투표율이 남다르게 저조하면 캐나다 사회에서 정치적으로 소외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른 소수 민족과 똑 같은 정치적 배려를 받기 위해서는 꼭 투표에 참여해야 할 이유입니다.




투표 참여 이상의 정치활동은 정치단체의 회원이나 정당의 당원이 되는 것 입니다 14세 이상의 지역구 거주자는 시민권자가 아니라도 년 회비를 내고 BC 주와 연방 정당 (보수당신민당자유당녹색당 등)에 당원으로 가입이 가능합니다정당에 입당하면 BC 주의원 또는 연방 하원의원 후보 지역구 경선에 참여 할 수도 있고 본잉이 후보로 경선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집니다소수민족이 무더기로 입당해서 후보 선출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 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시 교육위원 또는 시의원 후보들은 정당에 가입되어 있어 같은 당원들 끼리 공동체(Slate)를 구성해서 선거운동에 동참해도 당의 이름은 보편적으로 쓰지 않습니다.




지방자치 선거는 BC주의 경우 11월 세번째 토요일 날에 매 3년마다 치루어 집니다이 선거에서는 시장, 그리고 인구 분포수에 따라 다수의 시의원과 교육위원을 선출합니다유권자가 정원 또는 그 이하의 후보자에게 모두 투표 할 수 있으나 정원 이상을 하면 무효표가 됩니다특정한 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경우는 그 후보에게만 투표하는 것이 좋습니다지방자치제에 선출 된 사람들이 우리 일상 생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재산세상하수도 사용료도시기간 시설 건설 및 유지관리오락시설도서관치안부동산 개발과 건축허가영업면허,대학을 제외한 학교 운영 등 우리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하지마 지방선거는 연방 선거나 주 선거에 비해 투표율은 아주 저조합니다.




BC주 총선은 5월 두번째 화요일에 매 4년마다 시행 됩니다. 다음 총선은 2017년 5월 9일 있을 예정입니다연방 총선은 매 4년마다 세번째 월요일에 하도록 2006년 선거법이 개정 되었습니다다음 연방 총선은 2015 10월 19일 있을 예정입니다주와 연방 정부는 내각 책임제이기 때문에 주의원이나 연방 하원의원은 다수 선출된 당의 당수가 수상이 됩니다하지만 집권당이 불신임을 받거나 또는 집권당이 재 신임을 받기 위해 더 일찍 총선을 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수상이 직책을 계속 수행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다음 총선이 임박하면 새 당수가 수상직을 다음 총선까지 수행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선거를 앞 당겨 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주의 역활은 지방자치법에 의거 지방자치구를 관리하고주의 기간시설 건설 및 유지관리학교와 병원 그리고 다른 후생시설의 예산 배정검찰업무 및 주의 사업체 관리환경보호주 경제 발전등을 관장 합니다주정부가 전혀 관계하지 않고 연방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하는 일은 외교 통상국방안보연방세금 책정 등입니다.




 


이근백  / 한인유권자연합회 이사, 연방 자유당 Burnaby South 지역구 공천심사 후보

  • |
  1. 5.jpg (File Size:11.8KB/Download:4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575 캐나다 스카이트레인 흉기 협박법 수배 밴쿠버중앙일.. 18.01.12.
4574 캐나다 "로메인 상추 먹어도 됩니다" 밴쿠버중앙일.. 18.01.16.
4573 캐나다 프레이저硏 "트뤼도정부 소득세 올렸다" 밴쿠버중앙일.. 18.01.16.
4572 캐나다 BC, 6년내 고교 졸업자 10명 중 7명 밴쿠버중앙일.. 18.01.16.
4571 캐나다 BC PNP 올 첫 초대자 340명 결정 밴쿠버중앙일.. 18.01.16.
4570 캐나다 1억 달러 통 큰 기부 밴쿠버중앙일.. 18.01.16.
4569 캐나다 루니, 미국과 무역마찰로 ‘약세’ 밴쿠버중앙일.. 18.01.16.
4568 캐나다 금메달 3연승 향해 퍽을 날린다 밴쿠버중앙일.. 18.01.16.
4567 캐나다 캐나다·한국·미국 "멕시코 여행 자제" 밴쿠버중앙일.. 18.01.16.
4566 캐나다 한국 근무 加국적자도 연말정산 해야 밴쿠버중앙일.. 18.01.16.
4565 캐나다 "'밴쿠버 회의' 이렇게 열립니다" 밴쿠버중앙일.. 18.01.16.
4564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앞두고 판매점 창업에 관심 커져 CN드림 18.01.16.
4563 캐나다 주말 번화가서 총질...길 가던 소년 애먼 희생 밴쿠버중앙일.. 18.01.18.
4562 캐나다 캐나다의 대북 제재 어느 방향으로 나가나 밴쿠버중앙일.. 18.01.18.
4561 캐나다 밴쿠버에 온 강경화 외교부장관 밴쿠버중앙일.. 18.01.18.
4560 캐나다 온타리오서 개 인플루엔자 확산, 한국서 옮아와 밴쿠버중앙일.. 18.01.18.
4559 캐나다 보훈처, 평창올림픽에 캐나다참전용사 초청 밴쿠버중앙일.. 18.01.18.
4558 캐나다 대한항공 '스마트 가방' 운송 제한 밴쿠버중앙일.. 18.01.18.
4557 캐나다 밴쿠버 교통혼잡 해소 내놓은 안이... 밴쿠버중앙일.. 18.01.18.
4556 캐나다 "북한 비핵화 효과적으로 압박하자" 밴쿠버중앙일.. 18.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