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이민자 34만명으로 확대 

2001년 이후 이민쿼터 증가해도 한인 이민자는 감소​​

 

캐나다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이민자가 캐나다 인구 증가의 유일한 원천이 된다는 발상 하에 연방정부가 2020년까지 이민 쿼터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연방이민부 아메드 후센 장관은 다년간 이민 계획을 통해 내년도에 31만 명, 2019년에 33만 명, 그리고 2020년에 34만 명의 새 이민자를 받아들인다고 1일 발표했다. 정부의 목표는 매년 전체 인구의 1% 정도로 새 이민자로 채우는 결과가 됐다. 

 

과거 보수당 정부에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26만 명 수준을 유지하던 이민자 쿼터가 자유당 정부가 들어선 이후인 2016년 30만 명으로 늘었고 올해도 그 수준을 유지했었다. 후센 장관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감소하고 있는 노동인구를 보충해 국가의 번영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려는 조치"라고 밝혔다.

 

그런데 이렇게 이민 쿼터가 늘었다고 한인 이민자 수도 따라서 증가할 것 같지는 않다. 2000년대 초 새 이민자 쿼터가 24만 명이었을 때 한인 이민자 숫자가 가장 많았다. 1998년 한인 이민자 수가 4917명을 기록하다 외환위기 때인 1999년부터 그 수가 7217명으로 늘었고, 이어 2000년 7639명으로 늘어난 후 2001년 9608명으로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2002년 7334명, 2003년 7089명, 2004년 5337명, 2005년 5819명으로 줄어들었다. 이때 연방이민부의 이민쿼터는 24만 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캐나다 정착에 단지 어학 능력이 중요하다는 관점에 의해 언어 점수와 캐나다에서의 학업 등을 중요시 하며 상대적으로 한인 이민자 희망자의 통과가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결국 이민자 쿼터가 25만 명에서 28만 명까지 늘어난 2009년부터 2014년 사이에도 한인 이민자 수는 4000명대에서 5000명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한인들이 단순 취업만 해도 유리한 600점이나 이민점수를 받을 수 있었던 익스프레스엔트리(Express Entry·이하 EE) 점수 규정이 작년말 변경되면서 연방 이민 통과가 어려워졌다. 그런데 한국의 언론 보도는 2020년까지 3년간 100만 명의 이민자를 받아들인다는 자극적인 헤드라인을 달고 캐나다 이민 쉬워지지 않느냐는 식으로 초점을 맞춰 잘못된 신호를 한국 이민자 희망자에게 주고 있다.

 

현재 캐나다 이민은 캐나다에서 조기유학이나 2년 제 이상 학위를 딴 영어나 불어 능숙자가 아니면 새 이민 쿼터가 늘어도 영주권을 받기가 힘들다. 단 이번 이민 쿼터 확대로 가족초청 이민이 늘어나고 주정부 지명 프로그램에 의한 숫자가 늘면서 상대적으로 통과 점수가 낮아질 수 있지만 캐나다에서 학업이나 직장 경력이 전혀 없이 영어나 불어가 완벽하지 않은 한국의 이민 희망자에게는 이번 새 이민 쿼터가 확대 됐다고 캐나다 이민이 마냥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16년 인구센서스 조사를 기초로 한, 한국 출생의 캐나다 이민자의 5년 단위 통계에서도 2001~2005년이 7880명, 2006~2010년이 7565명, 그리고 2011~2016년이 6635명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어, 이 기간 캐나다 이민 쿼터가 점차 늘어난 것과 반대로 움직였다는 사실을 마음에 새겨둘 필요가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35 캐나다 밴쿠버 차이나타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밴쿠버중앙일.. 17.11.03.
» 캐나다 캐나다 이민 100만명? 사실은... 밴쿠버중앙일.. 17.11.04.
4733 캐나다 가정용 소화기 270만대 리콜 밴쿠버중앙일.. 17.11.04.
4732 캐나다 밴쿠버 차이나타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밴쿠버중앙일.. 17.11.04.
4731 캐나다 렌트 사기범 김범준 밴쿠버서 꾸민 수법은? 밴쿠버중앙일.. 17.11.04.
4730 캐나다 캐나다 차(tea) 시장, 동양 차에 관심 증가 밴쿠버중앙일.. 17.11.07.
4729 캐나다 건설 지속이냐 중단이냐 운명의 기로에 선 사이트C댐 밴쿠버중앙일.. 17.11.07.
4728 캐나다 아마존, 밴쿠버에 1000명 일자리 늘려 밴쿠버중앙일.. 17.11.07.
4727 캐나다 10월 실업률 전달 대비 0.1%포인트 오른 6.3% 밴쿠버중앙일.. 17.11.07.
4726 캐나다 한국엔 신고리원전, 캐나다엔 사이트C댐 밴쿠버중앙일.. 17.11.07.
4725 캐나다 한인 부모, 주정부에 희귀병 치료 지원 청원 운동 밴쿠버중앙일.. 17.11.07.
4724 캐나다 앨버타 이민부 변경된 주정부 이민 프로그램 발표 CN드림 17.11.07.
4723 캐나다 평창 패럴림픽 앞두고 加-韓 치열한 평가전 밴쿠버중앙일.. 17.11.08.
4722 캐나다 부주의 운전 걸리면 보험료 급증 밴쿠버중앙일.. 17.11.08.
4721 캐나다 UBC 인류학박물관에 개량 한복 추가 기증 밴쿠버중앙일.. 17.11.08.
4720 캐나다 써리, BC주 투자 1순위 도시 등극 밴쿠버중앙일.. 17.11.08.
4719 캐나다 밴쿠버 심신건강 BC 평균 밑돌아 밴쿠버중앙일.. 17.11.09.
4718 캐나다 29% 캐나다인 리멤브런스 데이 행사 참석 예정 밴쿠버중앙일.. 17.11.09.
4717 캐나다 밴쿠버 보행문화 한국에 전수한다 밴쿠버중앙일.. 17.11.09.
4716 캐나다 애보츠포드 경찰, 차량절도 막다 순직 밴쿠버중앙일.. 17.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