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전 장관 평화통일 강연회

냉전, 북핵 등 일목요연하게 설명

서독처럼 경제적 조력으로 통일

 

세계적으로 냉전시대가 해체 됐지만 유일하게 세계에서 냉전체재를 유지하고 있는 한반도에 이번에 남북미 정상회담으로 평화의 시대가 도래할 지에 대한 성패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의미있는 강연회가 밴쿠버에서 열렸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밴쿠버협의회(회장 정기봉)는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을 초청해 지난 6일 오후 7시에 SFU 써리 캠퍼스에서 '한반도 냉전구조 이번에는 해체되는가?'라는 주제로 평화 통일 강연회를 가졌다.

 

박정희정부 때인 1977년 국토통일원 연구원으로 통일 관련 업무를 시작해, 2002년에서 2004년까지 통일부 장관을 지냈고, 2007년에는 남북정상회담 자문위원까지 맡았으며 현재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인 정 전 장관은 실무 등을 통해 축적해 온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남북 냉전과 북핵 개발, 그리고 현재 한반도 평화 무드에 대해 설명을 해 나갔다. 

 

우선 해방과 동시에 한반도는 38선으로 갈리며 미국과 소련의 패권싸움의 대리전으로 시작해 북한의 6.25남침 등을 거치면서 서로 미워하는 관계가 70년 넘게 지속됐다. 

 

1988년부터 헝가리 공산 정권이 붕괴하는 것을 시작으로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 붕괴, 그리고 1989년 몰타회담을 통해 미국과 소련이 냉전 종식을 공식선언하면서 세계 냉전시대는 종언을 고했다. 노태우 전 대통령도 북한 ·중국 ·소련에 대한 개방정책을 표명하는 7.7 공동선언을 하고 그 결과로 중국과 소련과 수교를 했다. 하지만 북한의 붕괴를 믿었던 미국은 교차 수교를 거부했다. 

 

냉전 해체 후 공산권의 붕괴로 불안감을 느낀 북한 김일성이 아버지 부시 대통령 기간인 1992년 1월 21일 김용순 국제부장과 캔터 국무부 정무차관 간 뉴욕회담을 통해 미군 철수 요구 없는 수교 요청을 했지만 결국 미국에 의해 거부됐다. 결국 1993년 3월 12일 김일성은 핵개발 선언을 하며 강경한 입장을 선회했다. 클린턴 행정부는 핵폭탄 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북한의 핵발전소 대신 경수로를 건설해 준다는 약속을 했지만 결국 공화당이 의회를 장악하면서 무산됐다. 

 

이후 2002년 아들 부시 정부가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하면서 다시 북한이 핵 개발 강화 등 강경 대응을 하자 미국이 주도해 북경에서 미중북 3자회담이 2003년 열렸고, 6자 회담 등으로 확대 돼, 9.19공동선언으로 북미 수교를 약속했다. 하지만 며칠 후 미국 재무부에서 방코델타아시아(BDA) 은행의 김일성 통치자금에 대한 이차보이콧을 통한 제재를 하면서 다시 북한이 핵개발에 매진하게 됐다. 이후 이명박 박근혜 정부는 북한이 곧 붕괴 된다며, 6자회담을 거부했고, 미국도 소극적인 자세로 나왔다. 다시 북한은 자위권이라는 명목으로 핵개발과 대륙간탄도미사일 ICBC 개발에 매달렸다.

 

정 전 장관은 이번 북미정상회담에서 북미수교, 한반도 평화선언, 비핵화 등을 선언했는데, 북한은 독재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약속을 지킬 수 있지만, 미국은 민주주의 국가로 대통령이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점이 오히려 비효율성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전 장관은 통독이 된 과정에 대해 서독이 경제적으로 앞서며, 동독을 20년 간 경제적으로 지원해, 결국 동독이 경제적으로 서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들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독일처럼 남북한의 완전한 통일은 쉬운 일이 아니고 가까운 시일 내에 이루어지기도 힘들다며, 이번 평화협상으로 남북한 교류가 좀더 자유로워지고 민간인의 방문 등 서로 통(通)할 수 있기 바란다고 말했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15 캐나다 인기 밴드 밴쿠버 공연, 가짜 티켓 사기로 1백명 넘게 피해 밴쿠버중앙일.. 15.04.01.
6214 캐나다 오늘부터 개정 주류법 시행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1.
6213 캐나다 밴쿠버, 캐나다 대도시 중 교통 체증 1위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1.
6212 캐나다 페리 승객 물에 빠지는 사고 발생 밴쿠버중앙일.. 15.04.03.
6211 캐나다 1월, 캐나다 국내총생산 0.1% 마이너스 성장 밴쿠버중앙일.. 15.04.03.
6210 캐나다 홍콩 신문, '퀘벡은 밴쿠버 이민의 뒷문' 보도 밴쿠버중앙일.. 15.04.03.
6209 캐나다 YVR 공항, 위험 인물 적발 위해 SPOT 도입 적용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3.
6208 캐나다 미션 형무소에서 2급 살인범 탈옥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4.
6207 캐나다 BC 주정부 이민, 신청 잠정 중단 밴쿠버중앙일.. 15.04.04.
6206 캐나다 카나코드 레이놀즈 CEO, 하와이에서 철인 3종 경기 중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4.
6205 캐나다 포트 무디, 1차대전 참전 용사 기리는 참호 완성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9.
6204 캐나다 밴쿠버 대표, 캐나다 플레이스와 스탠리 파크 선정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0.
6203 캐나다 잉글리쉬 베이에서 벙커유 누출 사고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1.
6202 캐나다 밴쿠버 아빠밴드, 사랑과 추억을 노래하다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1.
6201 캐나다 UBC 회장 집 부근, 남성 시신 발견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4.
6200 캐나다 잉글리쉬 베이 연료 누출 사고, 정화 작업 마무리 단계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4.
6199 캐나다 기름 오몀 밴쿠버 해변 대부분 재개장, "안전 판단" file 밴쿠버중앙일.. 15.04.22.
6198 캐나다 애보츠포드, 은행 직원 실수 개인정보 도난 범죄로 둔갑 밴쿠버중앙일.. 15.04.22.
6197 캐나다 22일(수), 91번 고속도로에서 초경량 비행기 비상 착륙 file 밴쿠버중앙일.. 15.04.24.
6196 캐나다 의학용 마리화나, 밴쿠버와 BC주 핫 이슈 떠올라 밴쿠버중앙일.. 1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