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0-부자1.jpg

 

 

ONG 옥스팜(Oxfam)의 연례 보고서는 2018년에 전 세계 부(富)의 편중이 가속되었다고 지적했다. 26명의 최대 부호가 전 세계 인류의 하위 50%(38억 명)의 부와 맞먹는 부를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옥스팜의 수치는 포브스(Forbes) 매거진과 스위스 크레디 은행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산된 것인데, 일부 경제학자들은 옥스팜의 계산 방법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한다.

 

2018년에 전 세계 소득 최하위 38억 명(세계 인구의 50%)이 보유하고 있는 부와 맞먹는 부를 최대 부호 26명이 소유하고 있다. 1년 전인 2017년에는 43명이었다. 1년 사이에 부의 집중이 더욱 가속화 된 것이다.

위니 비얀이마(Winnie Byanyima) 옥스팜 회장은 “부자와 빈자 사이의 골이 깊어지는 것은 가난과의 투쟁을 어렵게 만들며, 전 세계인의 분노를 유발시킨다.”고 말했다. 각국 정부는 기업들과 부자들이 세금을 제대로 내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그녀는 주장한다. 

브뤼노 르 매르(Bruno Le Maire) 경제 장관은 지난 12월 중순에 발표한 GAFA (Google, Apple, Facebook, Amazon)에 부과할 세금의 윤곽을 밝혔다. 이들 초대형 기업들이 세금을 더 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중 아마존의 사장 제프 브조스(Jeff Bezos)가 가장 부자다. 브조스의 재산은 작년에 1120억 달러에 달했다.  

 

1060-부자.jpg

 

 

총체적으로 전 세계 억만 장자들의 재산은 작년에 9000억 달러 증가했다. 하루에 25억 달러씩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에 전 세계 인구의 하위 50%의 소득은 11% 감소했다. 

억만 장자들의 수가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두 배로 늘었다. 부자들의 부의 증가뿐만이 아니라 수 십 년 전부터 부유세 수준이 가장 낮아졌다. 이와 반대 현상이 나타났더라면  대부분의 정부는 공공 서비스의 비용을 부담하기에 충분한 재원을 확보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옥스팜의 보고서는 지적한다.

 

옥스팜에 따르면 1달러의 소득세 중 재산세에서 오는 수입은 겨우 4센트라고 비판한다. 부에 대한 세금이 특히 낮다고 한다. 

옥스팜에 따르면 브라질과 영국, 등에서 최고 부자들의 탈세액이 7조6000억에 달하며, 소득 최하위 10%의 인구는 소득에 비례한 세금을 최고 부자들보다 더 많이 낸다고 한다.

 

세계 최고 부자 26명은 다음과 같다 : 

Jeff Bezos (Amazon), Bill Gates (Microsoft), Warren Buffett (investisseur), Bernard Arnault (LVMH), Mark Zuckerberg (Facebook), Amancio Ortega (Inditex), Carlos Slim (magna télécom), Charles Koch, David Koch (famille industrielle), Larry Ellison (Oracle), Michael Bloomberg, Larry Page (Google), Sergei Brin (Google), Jim Walton, S. Robson Walton, Alice Walton (Wal-Mart), Ma Huateng (Tencent), Françoise Bettencourt Meyers (L’Oréal), Mukesh Ambani (Reliance Industries), Jack Ma (Alibaba), Sheldon Adelson (promoteur), Steve Balimer (Ex Microsoft), Li Ka-Shing (promoteur, armateur), Hui Ka Yan (Evergrande), Lee Shau Kee (Henderson), Wang Jianlin (Dalian Wanda Group)

 

이들 중 프랑스인이 2명 (Bernard Arnault, Françoise Bettencourt Meyers)이고, 중국인이 6명, 인도인 1명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미국인들이다. 한국인과 일본인은 한 명도 없다.     

 

 

【프랑스(파리)=한위클리】 이진명 편집위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02 프랑스 프랑스 정년퇴직 75세 ?, 노령화 사회를 대비하는 대기업들의 자세 유로저널 14.03.20.
901 프랑스 시테국제기숙사촌 한국관 건립 약정 서명식 file 프랑스존 14.03.26.
900 프랑스 프랑스 성인 4명 중 1명,이명 증상 시달려 file 유로저널 14.03.31.
899 프랑스 ‘메이드 인 프랑스’ 마케팅전략에 나선 1664 file 프랑스존 14.04.18.
898 프랑스 나폴레옹과 조세핀의 사랑, 말메종 성 프랑스존 14.04.18.
897 프랑스 프랑스, 사회보장제도 대개혁 불가피 file 프랑스존 14.04.18.
896 프랑스 신규 아파트, 특히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파리 지역 부동산 가격 급등 유로저널 14.05.01.
895 프랑스 업무의 연장선...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함정 file 프랑스존 14.05.01.
894 프랑스 아해는 사이코패스? 佛언론의 시각은… [1] file 프랑스존 14.05.01.
893 프랑스 파리, 범죄의 계절이 다가온다 file 프랑스존 14.05.16.
892 프랑스 프랑스 국민 42% “불황에도 바캉스는 떠난다” file 프랑스존 14.05.16.
891 프랑스 세계 속의 김치... 인지도는 상승, 수출량은 감소? file 프랑스존 14.05.16.
890 프랑스 "재외국민들이 눈을 부릅뜨고 직시해야..." file 프랑스존 14.05.16.
889 프랑스 반 EU 정당들, 유럽의회선거 급습으로 EU정책에 역풍불어 file 유로저널 14.05.30.
888 프랑스 국왕들의 대관식이 거행된 샴페인의 도시, 랭스 프랑스존 14.06.20.
887 프랑스 프랑스 엘리제궁의 요리장들 프랑스존 14.06.20.
886 프랑스 한국을 사랑하는 벵자망 주아노씨의 20년 한국기행 프랑스존 14.06.20.
885 프랑스 [성명서] 주프랑스 한국대사관의 오페라한글학교 지원금 공금유용... 프랑스존 14.06.20.
884 프랑스 주불대사관의 무사안일주의에 분개하다 file 프랑스존 14.06.20.
883 프랑스 프랑스 경찰 니캅 두른 여성 검문 과정에서 마을주민들과 갈등 빚어 유로저널 14.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