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8-보잉.jpg

 

 

지난해 10월 29일 승객 189명을 태운채 추락한 인도네시아의 라이언 에어(Lion Air)  소속 보잉 737Max8과 3월 10일 승객 157명(35개국 국적)을 태운 채 추락한 에티오피언 에어라인스의 보잉 737Max8 두 대의 추락 원인이 확실히 동일하다는 사실이 에티오피언 에어 라인스의 항공기 블랙 박스 분석 결과 밝혀졌다. 이 최신 기종의 조종에 근본적인 MCAS라 불리는 안정화 시스템(systeme de stabilisation)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시스템을 변경하도록 요구한 미국의 관계 당국이 너무 신속히 인증한 데 대한 비판도 일고 있다. 월 스트리트 저널은 작년 10월의 라이언 에어 사고 이후 미국의 민간 항공 당국에 의한 보잉 737Max8 기종의 인증 절차에 관해 미국 교통부가 조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데니스 뮬렌버그(Dennis Muilenburg) 보잉 사 사장은 보잉이 수직 강하 방지 소프트웨어(logiciel anti-decrochage) 교정의 개발을 끝내는 단계라고 발표했다. 교정본이 10여 일 후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그는 또 조종사들이 MCAS 캡터의 오류에 대처할 수 있도록 새로 교육을 받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항공기가 속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강했다가 상승하는데, MCAS는 항공기가 수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항공기의 비행을 최적화해 주는 것이다. 이착륙 시 자동 조종이 해제되었을 때 작동한다. 

 

에티오피아 교통부 장관은 3월17일 비행 등록 데이터 분석 결과 두 보잉 기의 사고 원인이 ‘분명하게 비슷하다’고 밝혔다. 

두 번째 사고 발생 후 여러 전문가와 책임자들은 사고 원인의 동일성을 언급했다. 에티오피언 에어라인스 조종사는 이륙 직후부터 혼비백산하여 관제탑에 회항 허가를 요청했다고 한다. 

이 사고 후 세계 각국에서는 이 기종의 비행을 금지했다. 일부 시스템의 변경을 요청한 미국 당국도 Boeing 737Max8의 비행을 금지 시켰다.

 

보잉 사의 천문학적 손실

 

보잉 737Max8 두 대의 추락 때문에 발생한 손실이 천문학적인 금액에 달할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종 한 대의 가격은 1억2100만 달러다.

미국 연방 항공청은 3월 19일 보잉 737Max8의 비행을 잠정 중단시켰으나 한 달에 52대씩 조립 체인에서 생산되어 나오는 이 기종을 저장 장소에 파킹할 수 있도록 조립 장소에서 저장소까지의 비행을 허용했다. 

 

보잉 사는 16일 이 기종의 인도를 중단하지만 생산은 계속한다고 발표했다. 보잉 사는 이 기종 제작 단지인 벤톤(워싱턴 주 남부) 이외에 워싱턴 주 시애틀 부근의 보잉 필드와 시험 비행에 사용되는 그랜트 카운티 국제 공항도 파킹 장소로 사용하고 있다. 이 항공기들이 생산 즉시 인도 되지 않고 파킹되어 있을 경우 한 달에 수 십억 달러의 손실이 발생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보잉737Max8의 비행 금지로 지상 계류 및 이 항공기 개조에 따른 비용이 이미 5억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보잉이 이 기종에 변경을 가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또 추가 비용이 들 것이다. 

 

보잉은 이미 증권 거래소의 주가 하락으로 300억 달러의 손실을 보았다. 이 기종을 임대하여 사용하는 항공사들은 리징(임대) 비용과 은행 비용으로 한 달에 15만 달러를 부담해야 한다. 

이 기종 17대를 보유하고 있는 노르비지안 에어가 처음으로 손해 배상을 청구했다.  다른 항공사들도 손해 배상 문제를 제기할 것이 틀림 없다. 

게다가 희생자 가족들이 소송을 제기하여 손해 배상을 요구하는 것도 불을 보듯 뻔하다. 이렇게 되면 보잉의 신용도에 결정적인 타격을 줄 수 밖에 없다.

 

3월21일 보잉사는 양력 저하(비행 중 항공기 기수가 아래로 향하는 것) 방지 시스템 (systeme anti-decrochage) MCAS이 작동하지 않을 때 알리는 불빛 경보 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네시아 항공사 가루다(Garuda)는 3월 22일 Boeing 737Max8 49대 주문을 취소했다. 이 기종 두 대의 추락 후 최초의 공식적인 주문 취소다.    

 

【프랑스(파리)=한위클리】 이진명 편집위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02 프랑스 프랑스 EURO 2016 카운트다운 프랑스존 15.12.17.
701 프랑스 파리 16구 빅토르위고 대로에 « 한국인 우대 쇼핑거리 » 탄생 프랑스존 15.12.17.
700 프랑스 파리 아랍세계연구소(Institut de Monde Arabe) 급부상 프랑스존 16.01.16.
699 프랑스 프랑스의 예술가 사회보장제도 : 예술가 등록 프랑스존 16.01.16.
698 프랑스 바겐세일의 계절, 그 유래를 찾아서… 프랑스존 16.01.16.
697 프랑스 외국인의 체류에 관한 법률 개정안, 어디까지 와 있나? 프랑스존 16.01.16.
696 프랑스 프랑스 이민자, 사회융화 어려움 심각 유로저널 16.01.19.
695 프랑스 프랑스 전체 도시 절반이 인구 500명 이하로 드러나 유로저널 16.01.19.
694 프랑스 뼈를 바로 잡아 치료하는 오스테오파티 프랑스존 16.01.22.
693 프랑스 프랑스 정부, 단일 국적자에게도 국적 박탈 고려 중 유로저널 16.01.22.
692 프랑스 프랑스 통계청(INSEE)이 발표한 프랑스 인구는? 프랑스존 16.01.28.
691 프랑스 [주간 프랑스 주요뉴스 동향] “프랑스, 국가비상사태 3개월 연장검토” 프랑스존 16.01.28.
690 프랑스 백악의 절벽을 좌우 날개로 달고 출항하는 항구도시 ‘디에프’ 프랑스존 16.01.28.
689 프랑스 프랑스 국가 비상사태 연장, 장기화 조짐 우려 유로저널 16.01.28.
688 프랑스 프랑스의 국가 자치단체 조직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프랑스존 16.01.28.
687 프랑스 커피 대신 시간을 주문하는 안티카페 프랑스존 16.01.28.
686 프랑스 프랑스, 주 35 시간 근무제 수정 전망 유로저널 16.01.30.
685 프랑스 프랑스 정부의 친기업 정책의 상징, 세액 공제(CICE) 폐지 위기  유로저널 16.01.30.
684 프랑스 프랑스, 국가비상사태 연장 반대 시위전국 곳곳에서 열려 유로저널 16.02.04.
683 프랑스 프랑스, 주거복지환경 악화 등  공공보건 문제 심각 유로저널 16.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