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학년 말까지 ‘최선’을 다한 정진, 결국 전교 2등에서 1등으로 ‘역전’

  • SAT 고득점에도 불구, 소신있는 대학 선택 … 부모의 전폭적인 지지

“1등으로 졸업하고 싶었다.”


열망과도 같은 상연 군의 ‘1등’ 꿈에는 이민 초기, 힘겹게 삶의 정착기를 꾸려가던 어머니 김사미의 목소리가 오버랩된다.


“우리 상연이가 미국 학교에서 1등으로 졸업하면 얼마나 좋을까…”


언제, 어디서, 무엇 때문에 이런 말이 나왔는지 엄마는 기억조차 나지 않건만, 아들 상연 군은 그 말을 뇌리에, 아니 가슴에 깊숙히 박아놓았다. 그리고 아들은, 엄마의 바람을 이뤄내고야 말았다.


이민자 가정에게 자녀의 졸업이 지니는 의미는 남다르다.


학생 본인 스스로의 감회도 남다르겠지만, 정들고 안정된 삶을 포기하고 낯선 타향에서 새 삶을 시작한 부모들에겐 더할 나위 없는 감동이다. 
지난 6일(토) 진행된 셔먼고등학교 고등학교 졸업식. 졸업생을 대표해 연단에 선 박상연 군의 모습에 김사미 씨는 가슴이 뭉클했다.
“평소 말이 없는 아들이라 무슨 연설을 할까 마음을 졸였는데 이민 초기, 학교에 적응하지 못해서 ‘크라잉 베이비(Crying Baby)’였다는 농담까지 섞어가면서 좌중을 웃기고, 고마움을 가득 담아 선생님과 엄마 아빠에게 감동을 전하는 아들의 모습을 보면서 눈물이 나왔습니다.”


박상연 군이 셔먼 하이스쿨을 수석으로 졸업하는 영예를 거머쥐었다. 영어를 알아듣지 못해 힘들어했던 이민 초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9년만에 정상에 선 것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미 대학진학이 결정된 12학년 때에는 학교 수업에 큰 공을 기울이지 않는다. 


그러나 상연 군은 달랐다. 마지막 기말고사까지 한 치의 흐트러짐도 없었다. 11학년 말 0.6 포인트 차이로 전교 1등을 놓쳤던 상연 군은 결국 역전을 이뤄냈다.


상연 군은 어려서부터 리더십이 남달랐다. 미국 학교에 입학한 지 1년만인 5학년 때 학년 대표에 출마해서 당선되기도 했다. 물론 한국에서 반장을 지내다 오긴 했지만, 언어 장벽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적응하기도 어려웠을 시기였음을 감안하면, 상연 군의 리더십은 도전이 아닌 능력에 가깝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web03.jpg


 진중한 성격은 학교 생활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상연 군은 그 흔한 수학 과학 경시대회도 학교대표로 출전하는 대회 이외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공부 외의 모든 시간을 ‘밴드’활동에만 투자했다. 글자 그대로 올인(All in)이었던 셈.


밴드 외에 여러 활동에 참가해 커리어를 쌓았다면 대학진학에도 큰 도움이 됐을 법한데 상연 군은 ‘이력서 쌓기’에 그다지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자신이 원하는 고교생활, 자신이 원하는 목표에 대한 확신이 만든 ‘소신있는 학창시절’이었다.


그의 깊은 속내는 대학 진학을 결정하는 데서도 뚜렷이 나타난다. 


“무리하게 사립학교를 진학해 학비와 생활비 부담을 안고 대학공부를 하고 싶지 않다”는 상연 군은 올 가을 UT Austin에 입학할 예정이다. 고교 수석의 이력과 2,300점이라는 SAT 고득점이라면 아이비리그로 일컬어지는 대학들에 입학원서를 내봄직도 한데, 상연 군의 의사는 일찍부터 확고부동했다.


상연 군의 부모 또한 그의 결정을 믿으며 전폭적인 지지를 보낸다. 


“자신에게 주어진 길을 스스로 개척해나가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아들의 결정을 믿어요. 어디서나 TOP이 되기보다는 책임감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더 큽니다.”


어린 시절, 방학 때면 엄마가 시키는대로 성경의 잠언내용을 영어와 한글로 빼곡히 썼다는 상연 군. 그는 “농부처럼 땀 흘리고 열심히 잡초를 뽑으며 정성을 다해 밭을 일구면, 반드시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는 거야”는 엄마의 말을 아직도 기억한다.


 web01.jpg


상연 군은 ‘1등 졸업’이나 ‘명문대 입학’이 ‘좋은 결실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멘토인 아버지와 헌신적인 어머니의 사랑을 거름 삼아 그 스스로가 ‘좋은 결실’이 되기 위한 그의 도전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상연군의 미래가 더욱 기대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뉴스넷] 최윤주 기자 editor@newsnetus.com

  • |
  1. web02.jpg (File Size:330.6KB/Download:3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44 미국 “9시간 달려 투표하러 왔어요” KoreaTimesTexas 17.04.26.
1943 미국 백악관청원성공 美한인들 IHO에 서한 file 뉴스로_USA 17.04.26.
1942 미국 막오른 재외선거, 첫날 달라스 투표자 216명 KoreaTimesTexas 17.04.27.
1941 미국 LA한인사회 4.29폭동 25주년 화합행사 file 뉴스로_USA 17.04.28.
1940 미국 女장애인 돕기 플라워 힐링클래스 성료 file 뉴스로_USA 17.04.28.
1939 미국 뉴욕일원 ‘부처님오신날’ 봉축행사 이어져 file 뉴스로_USA 17.04.28.
1938 미국 탬파 사리원, 힐스버러 선상에 구이식당 열어 코리아위클리.. 17.04.28.
1937 미국 올랜도 순회영사 업무 순조롭게 마쳐 코리아위클리.. 17.04.28.
1936 미국 올랜도한인회, 무료 법률상담-한방 서비스 호응 커 코리아위클리.. 17.04.28.
1935 미국 제19대 대통령 재외선거, 플로리다는 28일~30일 코리아위클리.. 17.04.28.
1934 미국 잇몸 문제는 충치보다 더 심각하다 코리아위클리.. 17.04.28.
1933 미국 트럼프 대통령, 전문직 비자 강화 행정명령 코리아위클리.. 17.04.28.
1932 미국 달라스 한국 여성회, 한국학교에 후원금 전달 KoreaTimesTexas 17.04.29.
1931 미국 달라스 한인회, 울릉군수에 감사패 증정 KoreaTimesTexas 17.04.29.
1930 미국 태극낭자들, 텍사스 슛아웃 “우승 노린다” KoreaTimesTexas 17.04.29.
1929 미국 재외투표 주말 유권자 몰릴 듯 file 뉴스로_USA 17.04.29.
1928 미국 한일위안부합의 파기운동 뉴욕서 출범 file 뉴스로_USA 17.04.29.
1927 미국 알재단, 뉴욕 브루클린 포럼 file 뉴스로_USA 17.04.30.
1926 미국 달라스 한인사회의 미래, KAPN 창립 10주년 행사 ‘성황’ KoreaTimesTexas 17.04.30.
1925 미국 뉴욕서 ‘김재규소설’ 토론회 화제 file 뉴스로_USA 17.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