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_medicare_card.m3-w800-16-9.jpg

메디케어 카드가 신규 발급되면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신종 사기가 늘어나고 있다. 노인인구가 급증하면서 손쉽게 개인신상정보를 알 수 있는 메디케어 카드는 범죄자들의 표적이 되어 왔다.

 

 

 

메디케어 신규카드 발급, 각종 사기 판친다

 

4월부터 메디케어 신규카드 발급 중

수수료 및 개인정보 요구, 자격박탈 협박 등 사기수법 다양

신규카드는 전액 무료 … 추가정보 요구 없다

 

[i뉴스넷] 최윤주 기자 editor@inewsnet.net

sentence_type.png

 

 

메디케어 카드가 신규 발급되면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신종 사기가 늘어나고 있다.

메디케어 카드를 새로 발급하게 된 이유가 사기방지였는데, 역으로 이를 이용한 또다른 사기가 생겨난 셈이다.

 

메디케어·메디케이드센터(CMS)가 신규 카드를 발급하기 시작한 건 4월부터. 기존 카드에 소셜시큐리티 번호가 명시돼 있어 노인들이 신분도용범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실제로 노인인구가 급증하면서 손쉽게 개인신상정보를 알 수 있는 메디케어 카드는 범죄자들의 표적이 되어 왔다.

 

이 때문에 새로운 카드에는 소셜시큐리티 번호 대신 11자리의 메디케어 이용자 고유번호가 적혀 있다.

 

새로운 사기 수법은 신규 카드발급 과정을 악이용한다.

 

신규카드는 2018년 4월부터 시작해 1년동안 진행된다. 당국은 카드 교체가 완벽히 이뤄져 전체 가입자 모두가 새카드를 사용하는 시점을 2020년 1월 1일로 발표한 바 있다. 계도기간이 끝나는 2019년까지는 소셜시큐리티 번호가 적힌 메디케어 카드와 신규 메디케어 카드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가입자마다 신규카드를 돈에 쥐는 시기가 다르다보니 정확한 정보를 얻지 못한 일부 노인들 사이에서 불안이 증폭되는 건 사실이다.

 

사기범들은 이 틈새를 노린다. 가장 많은 피해자가 발생하고 있는 사기수법은 수수료다.

 

신규카드는 무료다. 메디케어 가입자들의 별도 지출없이 전액 무상으로 이뤄진다.

 

그러나 사기범들은 전화로 “새로운 카드가 발급되고 있다. 카드 발급을 위해서는 소정의 수수료가 필요하니 크레딧 카드 번호를 달라”고 요구한다.

수수료로 10달러 내외의 저렴한 가격을 요구하다보니 많은 노인들이 카드 정보를 대수롭지 않게 내주기 일쑤다.

하지만 피해는 10달러에 그치지 않는다. 카드 정보를 얻은 사기범들은 추후 수백 수천달러를 인출하거나 사용해 더 큰 피해를 가져온다.

 

개인정보를 빼내는 수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전화를 걸어 카드 재발급에 필요한 간단한 주소와 이름을 물으면서 자연스럽게 소셜 시큐리티 번호를 요구한다.

새로운 카드 발급을 위해 필요한 추가 정보는 없다. 물론 연방정부는 전화로 개인정보를 구하지도 않는다.

만일 누군가 전화를 걸어 메디케어 카드 재발급을 이유로 소셜시큐리티 번호나 크레딧 카드 정보를 묻는다면 100% 사기다.

 

메디케어 자격에 문제가 있다며 카드 재발급 비용을 요구하기도 한다. 돈을 내지 않으면 메디케어 자격이 박탈된다는 협박도 덧붙인다.

협박에 겁을 먹어 10달러~20달러의 재발급 비용만 내면 된다고 하니 선뜻 크레딧 카드 정보를 지갑에서 꺼내지만 이 또한 100% 사기다.

 

메디케어 당국은 자격박탈이나 혜택 변경시 수수료를 요구하지 않으며 전화 등의 유선으로 카드번호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히 노인들을 상대한 사기범들은 한국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소수민족 언어를 사용하는 직원을 고용해 사기행각을 벌이고 있어, 한국어로 개인정보를 묻더라도 절대 믿어서는 안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64 미국 연말 봉사에 바쁜 한국 여성회 … “따뜻한 이웃나눔” 실천 file KoreaTimesTexas 15.12.22.
2763 미국 AT&T, 한인문화센터와 파트너십 협약 file KoreaTimesTexas 15.12.22.
2762 미국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단어, '찹쌀떡' file 코리아위클리.. 15.12.24.
2761 미국 대학 불합격, 지원서 충실히 작성했나? 코리아위클리.. 15.12.25.
2760 미국 '영양의 보고' 청국장, 겨울철에 제격 코리아위클리.. 15.12.25.
2759 미국 "성탄 소식은 우리에게 임마누엘이 임했다는 것" file 코리아위클리.. 15.12.25.
2758 미국 주 달라스 출장소, 유권자등록운동 전개 file KoreaTimesTexas 15.12.31.
2757 미국 “이 정도면 괜찮아” … 한인타운, 음주운전 심각 file KoreaTimesTexas 15.12.31.
2756 미국 연말범죄 기승 … ‘안전 빨간 불’ file KoreaTimesTexas 15.12.31.
2755 미국 잡지에 오른 스토리, 대령의 마음을 사로잡다 file 코리아위클리.. 15.12.31.
2754 미국 서민호 회장 취임, “한인들을 가족처럼 생각하겠다” file 코리아위클리.. 16.01.01.
2753 미국 “올랜도 한인 2세 ‘Young Kim’을 시의원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16.01.01.
2752 미국 "그렇게 착한 사람이 총격에 가다니…" file 코리아위클리.. 16.01.01.
2751 미국 세월호 다큐멘터리 <나쁜 나라>, 15일(금)부터 상영 KoreaTimesTexas 16.01.09.
2750 미국 우리민족서로돕기, 북한에 의료·식량 및 스포츠 지원 KoreaTimesTexas 16.01.09.
2749 미국 연극 ‘늙은 부부 이야기’ 최종원 씨 합류, 본격 시작 KoreaTimesTexas 16.01.09.
2748 미국 달라스 한인회 2016년 기지개, “함께 하는 한인회 약속" KoreaTimesTexas 16.01.09.
2747 미국 싸움 말리러 갔다가 미군 장교식당 감독관 되다 file 코리아위클리.. 16.01.10.
2746 미국 합격 미확정 학생들, 2학기가 중요 코리아위클리.. 16.01.11.
2745 미국 연말 ‘미친 날씨’에 미국 곳곳 피해 속출 코리아위클리.. 16.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