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gif

한국캐나다학회 회장 이승렬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한반도 평화 정착에 대한 캐나다 역할 점점 중요'

 

Q> 한국 캐나다학회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1992년 4월 1일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소에서 발기인 39명과 Christian Pouyez 국제 캐나다학위원회(International Council for Canadian Studies: ICCS) 사무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되었다. 1994년 5월에 ICCS에 정식으로 가입하였으며, 국내 캐나다학 저변 확대와 국내외 학자들간의 교류증진을 위해 매년 학술회의를 열었다. 또한 많은 캐나다 학자, 언론인, 예술인, 정부관료들을 초청, 세미나를 개최하여 캐나다와 캐나다학에 대한 한국인들의 관심을 높이는 활동을 해왔다.

 

Q>올해 1월 1일부로 새로 취임하셨는데 각오는?

 

사실 지난 4년간 캐나다 정부로부터 지원이 끊겨 학회 활동도 미약했었다. 작년에 회장 제안을 받은 후 다시 학회 활동을 부활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마니토바 대학교에서 석사를 받고 토론토 대학에서 박사를 받은 경기도 이재정 교육감을 상임고문으로 초빙하는 등 새로 분 정도의 캐나다나 캐나다학 관련자 분들을 새로 40 여분을 이사진과 회원으로 모셨다. 내년은 캐나다 건국 150주년이다. 많은 건국 기념행사가 예상된다. 국제학술대회 등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면 학회도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고 이를 통해 활동을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Q>구체적인 올해 활동계획은?

 

우선 잠정적으로 5월이나 6월 중, 충남대학교에서 '평화, 우리가 가야 할 길'이란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학술대회는 충남대학교가 북미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데  북미지역 연구 에서 캐나다에 좀 더 힘을 실어주기 위해 충남대학교에서 열게 됐다. 이외에도 학회 저변확대를 위해 북미지역학 관련 교육기관에 참여하고 또 한국과 캐나다와 공동연구를 통해 북미지역학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분과 모음을 강화하고 해외학자 참여 논문 심사 등 캐나다학에 대한 학문적 토대를 강화하며 동시에 캐나다를 한국에 학문적으로나 실용적으로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데 기여할 예정이다.

 

Q> 언급한 지역학연구란 무엇인가?

 

그 동안은 미국과 일본, 중국 등 특정국가 위주로 학문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들어 북미지역학, 중동지역학 등 광역적인 학문 위주로 연구가 되고 있다. 사실 미국에 대한 관심이 너무나 크기 때문에 한국의 학문이 주로 미국 위주로 편향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북미지역학으로 바뀌면서 점차 캐나다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또 캐나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캐나다에서 공부한 학자들의 입지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Q> 캐나다에 대한 한국의 이해 수준은 어느 정도로 보나

 

한국은 미국에 너무 경도되어 있어 캐나다에 대해 잘 모르는 것이 사실이다. 그냥 조기유학이나 가는 국가 정도로 알고 있는 듯 하다. 학회 회원을 만나보면 캐나다가 얼마나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잘 알 수 있다. 사례를 들어 보자. 오타와에서 학위를 받은 회원의 말을 들어보니 전자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앞서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한국에서 관심을 가질 많은 잠재력이 있지만 제대로 된 캐나다의 가치를 한국이 아직 모르는 것 같다. 한국에서 미국 출신 학자들은 서로 교류도 하고 공식적으로 연구도 하지만 캐나다 출신 학자들은 기계공학 및 환경, 생명공학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갖고 연구를 하지만 캐나다 수학 경력이 관심을 받지 못해 독자적으로 연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문학적으로도 캐나다는 평화를 사랑하고 세계 안전을 지키려는 가치를 갖고 있다는 강점이 있다. 미국에서 안보문제 등으로 제대로 연구할 수 없어 캐나다에서 학문 연구를 하는 학자들이 있을 정도로 캐나다는 자유로운 연구 정신을 가진 나라다. 이것을 한국에서 제대로 알지 못해 안타깝다.

 

Q> 한국에 있어 캐나다 한인들의 의미는?

 

캐나다는 과학기술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앞선 기술들이 많다. 한국의 기술력과 제조기반을 이용해 서로 보완이 될 수 있는 분야가 많기 때문에 학문적으로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을 찾을 예정이다. 제가 항공대학교에 근무하고 있지만 캐나다의 항공기술이 이처럼 발달되어 있는지도 몰랐다.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캐나다의 잠재성을 찾아내서 한국과 캐나다와 학문적 교류협력에 기여하겠다. 이 과정에서 캐나다 한인의 역할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Q> 캐나다에 있어 한국의 의미는 무엇인지.

 

캐나다 전문가와 만난 어떤 자리에서 캐나다가 많은 나라와 교역 면에서 적자를 기록하지만 한국을 대상으로 흑자를 낸다는 얘기를 들었다. 무역에서는 한국이 흑자를 내지만 관광과 유학 분야에서 캐나다가 많은 흑자를 기록하기 때문이다. 한국도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캐나다를 이해할 필요가 있지만 캐나다도 한국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교역에서 흑자, 특히 유학 분야에서 흑자를 기록하는 만큼 한국의 캐나다학 발전을 위해 좀더 많은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캐나다도 학문적으로 한국에 더 많이 알릴 수 있고 한국도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1 캐나다 캐나다 한인여류 문인협회 탄생 CN드림 18.08.21.
520 캐나다 캐나다 한인 연합교회 다문화 목회 소개 file CN드림 15.06.09.
519 캐나다 캐나다 한인 노인회 전국대회, 캘거리에서 열려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5.
518 캐나다 캐나다 한인 3세 노수미양, 미국 청소년 드라마 주연 맡아 file CN드림 23.05.05.
517 캐나다 캐나다 한글학교 연수 몬트리올·토론토서 열려 밴쿠버중앙일.. 18.03.07.
516 캐나다 캐나다 최초 다문화 어머니날 행사 열려 CN드림 18.05.29.
515 캐나다 캐나다 진짜 권총 유사한 모조총 학교 가져가면 체포 밴쿠버중앙일.. 18.02.20.
514 캐나다 캐나다 전역서 모인 한글학교 교사들, '소통과 이해의 한글학교' 토의 밴쿠버중앙일.. 16.06.14.
» 캐나다 캐나다 이해 높이는데 노력하겠다 - 한국캐나다학회 이승렬 회장 인터뷰 밴쿠버중앙일.. 16.03.05.
512 캐나다 캐나다 이민부, 시민권 개정안 발표 밴쿠버중앙일.. 16.02.27.
511 캐나다 캐나다 원주민 선교사들 선교 포럼 열려 CN드림 19.06.25.
510 캐나다 캐나다 외환은행, 중국 은행 캐나다법인과 업무제휴 체결 file CN드림 15.06.02.
509 캐나다 캐나다 에드먼튼 마스크 착용 의무화 예외 카드 발급 - “증거 제출 없이 발부, 오용의 여지 있어” 우려 file CN드림 20.08.17.
508 캐나다 캐나다 에드먼톤 한인회, 시니어를 위한 '하하 프로그램' 성황리에 종료 file CN드림 20.09.15.
507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시민들 25%, 코로나 규제 지나치게 엄격 - 주수상 코로나 대처 만족도도 51%로 떨어져 CN드림 20.08.26.
506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스몰 비즈니스, 줄줄이 문 닫았다. - 경제 전문가들, “자영업, 고난은 지금부터” CN드림 20.08.17.
505 캐나다 캐나다 식품 박람회(SIAL Canada 2018), 5월초 개최 file Hancatimes 18.04.21.
504 캐나다 캐나다 수학경시대회 열려 file CN드림 19.05.22.
503 캐나다 캐나다 수학 경시대회 열려 CN드림 18.05.15.
502 캐나다 캐나다 상원의원 출범 150주년 기념 메달 수여 CN드림 19.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