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gif

 

수용 지역 메트로 지역 유력, 내년 중 1천 5백 명 추가 수용 예상

 

캐나다의 시리아 난민 수용 계획이 구체화되고 있다. ‘올해 안에 1만 명이 캐나다에 도착할 계획’이라고 발표되었고, 이 중 BC 주에는 4백 명으로 확정되었다.

 

지난 25일(수), 연방 이민부가 난민을 수용하게 될 도시 리스트를 발표했는데, BC 주에서는 메트로 밴쿠버를 비롯한 인구 밀집 지역 ‘로우어 메인랜드(The Lower Mainland)만이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이민부는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지역들은 최초 수용 지역이고, 이후 난민들의 정착지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요르단과 레바논, 터키 등지에서 UN 심사와 캐나다 정부 심사를 거친 사람들의 본격적인 이동은 12월 둘째 주(12월 7일 이후)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2만 5천 명을 모두 수용할 마감일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BC 주로 오는 4백 명 중 2백 명은 정부 보조를 받게되고, 나머지 2백 명은 시민단체 등을 통해 주민들이 제공하는 후원(Private Sponsorship)를 받을 예정이다.

 

주민 후원을 받는 난민들은 후원자가 거주하는 지역으로 향한다. 이민자 지원 단체 ISS(Immigrant Services Society of B.C.)는 “아직 후원 등록 정보가 완전히 정리되지 않아 발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일부에서는 ‘BC 주 수용 인원이 예상보다 적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자유당 연방 정부가 2만 5천 명 수용 계획을 발표했을 때 BC 주에는 2천 7백 명이 오게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수치는 캐나다 난민 수용 인구의 BC 주 정착률을 적용한 계산이었다. 앞서 BC 주정부는 “최대 3천 5백명까지 수용 가능하다”는 입장을 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 중 4백 명이 도착할 것으로 확정된 후 ISS는 “내년 1, 2월에는 총 1천 5백 명이 더 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한편, 이민부 발표를 접한 크리스티 클락(Christy Clark) BC주 수상은 “난민 이동 기간이 늘어난 덕분에 이들이 필요로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준비할 시간을 얻게 되었다”고 반겼다.

 

그러나 수용 지역으로 메트로 지역이 지목된 것에 대해서는 “이 지역은 캐나다 전체에서 가장 집 값이 비싼 곳이다. 난민들이 정착하기 어려운 환경이 될 수도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미 올 여름에 ‘1백만 달러 지원’ 계획을 발표했던 그는 “예산 문제에 대해서는 연방 정부와 더 자세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밴쿠버 중앙일보]

  • |
  1. 05.gif (File Size:105.3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1 캐나다 "한국과 다른 취업 환경, 코트라 덕에 자신감 생겨" 밴쿠버중앙일.. 17.12.07.
260 캐나다 "밴쿠버 한인과 함께 행복한 한 해" 밴쿠버중앙일.. 17.12.07.
259 캐나다 음악 통한 문화 공존 가능성 보여준 라온 뮤직페스티벌 밴쿠버중앙일.. 17.12.07.
258 캐나다 주정부, 자유로운 온라인 후기 게시 권리 보장 CN드림 17.12.12.
257 캐나다 캘거리 실업인협회 송년의 밤 행사 열려 CN드림 17.12.19.
256 캐나다 [2018년 새해인사] 밴쿠버 한인회장 밴쿠버중앙일.. 18.01.05.
255 캐나다 평창 평화올림픽 홍보는 계속된다 밴쿠버중앙일.. 18.01.05.
254 캐나다 한인회관 이번엔 매각되나 밴쿠버중앙일.. 18.01.05.
253 캐나다 캘거리 서정진 신임 한인회장 신년사 CN드림 18.01.10.
252 캐나다 노인회 회장단, 회관 매각에 부정적 밴쿠버중앙일.. 18.01.12.
251 캐나다 한인회관 매각 "노인회 뜻 절대로 따르겠다" 밴쿠버중앙일.. 18.01.12.
250 캐나다 한인회관 매각 공청회 취소 밴쿠버중앙일.. 18.01.12.
249 캐나다 로버슨 밴쿠버시장 "4선 불출마" 밴쿠버중앙일.. 18.01.12.
248 캐나다 아직 빈 일자리 넘치는 캐나다 밴쿠버중앙일.. 18.01.12.
247 캐나다 G7 국가 중 캐나다 GDP 최하점...왜? 밴쿠버중앙일.. 18.01.12.
246 캐나다 에드먼튼 한인회 시무식 열려 CN드림 18.01.16.
245 캐나다 오영걸 교육담당 영사 장관상 수상 밴쿠버중앙일.. 18.01.18.
244 캐나다 총영사관 "신사업보다 내실 기하겠다" 밴쿠버중앙일.. 18.01.18.
243 캐나다 서병길 불가리아 명예영사, EU 의장국 축하 리셉션 개최 밴쿠버중앙일.. 18.01.18.
242 캐나다 만나봅시다) 위대태껸 허성식 사범 CN드림 18.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