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6-6.jpg

 

 

 

한불수교 130주년,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를 맞이해 파리에서 한국의 훌륭한 공연을 볼 기회가 많다. 그중에서도 한국을 대표하는 5개 무용단체와 샤이요 국립극장이 함께 주관하는 ‘포커스 꼬레’는 예매 시작하자마자 바로 매진이 될 정도로 프랑스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성공적으로 끝났다. ‘포커스 꼬레’는 샤이요 국립극장의 한국 무용 특집 프로그램으로, 국립무용단, 국립현대무용단, 안성수 픽업그룹, EDx2 무용단과 김판선 등 총 5개 팀의 공연이 6월 6일부터 6월 19일까지 이어졌다.

 

지난주 6월 15부터 17일까지 안성수 안무가가 이끄는 안성수 픽업그룹의 “혼합”공연은 팽창하여 터질듯한 긴장감과 몰입을 이끄는 춤과 음악으로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춤을 추는 무용가와 관객의 자아는 작품에 빠져들면서 사라지고, 그 자리에는 무 상태의 자유로운 영혼만이 남아있었다고 할 정도로 끌어당기는 힘이 폭발적인 무대였다.

공연이 끝난 후에 관객들은 긴 숨을 내쉬면서 열렬한 박수로 안성수 안무가와 무용가들에게 환호를 보냈다. 긴 환호는 관객들이 전율하고, 몰입했던 시간들에 대한 고마움과 감동의 표현이었다.

 

한국 현대무용계를 대표하는 안무가 안성수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이자 안성수 픽업그룹을 이끄는 안무가 안성수는 무용을 늦게 시작했다.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재학 중 영화 일을 하고 싶어 뉴욕으로 유학을 떠났던 그는 우연히 발레 수업에 참가하면서 지금의 안무가가 되었다. 그는 무용에 빠져 줄리어드 대학에서 현대무용과 발레를 정식을 배우며 다국적 무용수들과 안성수 픽업그룹을 만들어 조이스극장, 아메리칸 댄스페스티벌, 센트럴파크 서머스테이지, 링컨센터 야외축제, 댄스시어터 워크숍에서 공연도 가졌다.

 

미국에서의 활동을 끝내고 한국에 귀국했을 때 그는 10년 단위의 계획을 세웠다.

첫 번째 계획은 뉴욕에서 배운 무용을 한국무용계에 뿌리내리는 것과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후진을 양성한다. 두 번째는 자신이 몸으로 익힌 것을 작품으로 만들어 해외로 진출하는 것. 세 번째는 북유럽 혹은 유럽에 있는 공연단의 안무가가 되는 것으로, 현재 그는 10년 단위로 세운 이 모든 계획을 이뤄냈다.

 

안성수 안무가가 국제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09년 세계 무용계의 인사들이 찾는 서울아트마켓(PAMS, Performing Arts Market in Seoul)에 ‘장미’로 쇼케이스에 참여하였고, 이를 계기로 폴란드 실레시안 댄스 컴퍼니가 주관하는 무용페스티발에 초대를 받게 되면서부터이다. 이것을 시작으로 2010년 IPAP가 주관한 코리아 무브즈(Kore-A-moves)를 통해 유럽의 주요 6개 도시를 돌며, 많은 무용관계자들에게 공연을 소개하게 되었다. 이후 작품은 물론 안성수라는 안무가가 유럽에 알려지게 되었고, 작품의 초청과 안무가로서의 초빙에 대한 여러 제안을 받게 되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안성수 안무가는 전통과 서구의 현대적 감각인 결합된 작품을 만든다. 섬세하면서도 정교하고 세련된 안무, 탁월한 음악 선택 그리고 무용수의 장점을 살리는 논리적 움직임을 통해 높은 완성도를 보여준다.

이번 샤이요 극장에서 선보인 ‘혼합’도 이런 그의 작품적 특징이 잘 살아있는 작품이다. ‘혼합’은 하우스 음악, 타악 음악에 한국무용가와 힙합을 추는 춤꾼이 함께하여 한국의 전통음악과 서양음악과 동서양의 다른 춤의 움직임의 혼합을 통한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작품 속의 모든 혼합은 여러 가지 섞인 것이 새로운 예술적 아름다움으로 생성됨을 보여준다.

 

936-6a.jpg

 

 

【한위클리 / 조미진 chomijin@hotmail.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3 프랑스 루이 14세의 피신처였던 쉴리 쉬르 루아르성 프랑스존 15.07.05.
482 프랑스 프랑스 퇴직자 평균 연금 얼마나 받나? 프랑스존 15.07.05.
481 프랑스 2015년 프랑스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플루마나크 프랑스존 15.07.05.
480 프랑스 뜨거운 유럽, 프랑스도 폭염경보 file 프랑스존 15.07.05.
479 프랑스 제17기 민주평통 남유럽협의회 출범회의 프랑스존 15.08.20.
478 프랑스 서울공원서 열린 광복 70주년 파리 한인문화 대축제 프랑스존 15.08.20.
477 프랑스 샤를 7세와 아네스 소렐의 로슈 성 프랑스존 15.08.20.
476 프랑스 프랑스 지방신문에 소개된 한국관광객들 프랑스존 15.08.20.
475 프랑스 파리 시, 주차료 대폭 인상... 시민들 불만 증폭 프랑스존 15.08.20.
474 프랑스 알로카시옹, 그 판도라의 상자를 열다 file 프랑스존 15.08.20.
473 프랑스 프랑스, IS 무장단체의 주요 표적 국가로 드러나 유로저널 15.08.23.
472 프랑스 잊혀졌던 ‘카세트 테이프’, 음악 시장에 복귀? 프랑스존 15.09.07.
471 프랑스 파리의 국제관광 쇼핑구역(ZTI)은 어디? 프랑스존 15.09.07.
470 프랑스 파리-일드프랑스 대중교통 요금의 혁명인가? 프랑스존 15.09.07.
469 프랑스 프랑스, 부동의 관광대국 1위 file 프랑스존 15.09.07.
468 프랑스 프랑스, 국제 사회에 중동지역 소수 민족에 대한 행동 촉구 유로저널 15.09.21.
467 프랑스 황교안 총리, 동포 간담회 주재, 재불교민들과의 만남 프랑스존 15.09.25.
466 프랑스 한-불 수교 130주년, 화려한 개막 프랑스존 15.09.25.
465 프랑스 김다민, 김상윤... 음악은 함께 나누는 것 프랑스존 15.09.25.
464 프랑스 프랑스에서 한국어 열기 확산 계기될까? 프랑스존 15.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