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대통령 비바람속 고개숙여

 

모스크바=김원일 칼럼니스트

 

 

‘새벽 4시 어둠 속에 선전포고도 없었다.’

 

1941년 6월 22일 새벽 4시 독일군은 선전포고(宣戰布告)도 없이 191개 사단을 이끌고 러시아를 공격했다. 독일군이 동원한 군사는 730만 명이었다.

 

소련군 참모들은 무방비 상태에서 자신들을 파괴하는 적군에 대항할 수 없었다. 전쟁은 독일군에 비해 군인과 장비를 10-20배로 적은 상태에서 시작되었다. 소련은 전쟁 첫 날에만 전투기 1136대를 잃었다.

 

소련이 전쟁에서 승리하기까지 1418일이 걸렸다. 이 기간 동안 소련은 2800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RIAN_archive_2153_After_bombing.jpg

www.en.wikipedia.org

 

 

2차세계대전 발발로 희생된 영혼들을 기리는 6월 22일, 러시아 전역에서 애도(哀悼)의 물결이 일었다.

 

이날 푸틴 대통령은 붉은 조화 앞에서 추도의 묵념을 했다. 거센 비바람이 몰아쳤지만 그는 전혀 개의치 않고 경건한 자세로 머리를 숙였다.

 

심야엔 추모행렬이 모스크바 시내를 행진했고, 참가자들은 모스크바 크림 강변에 나치독일과 전투를 벌인 날수를 의미하는 1418개의 초를 밝혔다.

 

 

11.JPG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獨‧蘇 전쟁 인류 역사상 최대의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 사이에서 일어난 4년 간의 전쟁. 그러나 그 규모는 제2차 세계 대전을 제외한 모든 전쟁보다 크다. 1941년 6월 22일, 독일이 소련과의 불가침조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선전포고 없이 소련을 대규모로 침공하면서 발발했으며, 1945년 5월 8일까지 약 4년 간 지속되었다. 전쟁 초반까지는 평화 협상을 할 기회는 여러 번 있었지만 모스크바 공방전 이후 협상 가능성이 사라졌다.

 

벨라루스 초토화작전, 홀로코스트 등 최악의 전쟁 범죄가 횡행한 전쟁이며 수도 근처까지 밀리고도 역전승을 한 전쟁 중 제일 큰 규모로 일어난 전쟁이다.

 

소련군 사상자는 2,962만 명에 달하며, 전사자는 1,128만에 육박한다. 독일군과 추축국은 1,075만의 사상자, 전사자는 510만 명이다. 독일의 동원 인력 중 대부분이 동부전선에 투입되었다.[9] 소련은 독일의 초토화 작전으로 도시 1,710 개와 마을 7만여 개가 파괴되었다. <자료 나무위키 참조>

 

 

 

  • |
  1. RIAN_archive_2153_After_bombing.jpg (File Size:89.0KB/Download:36)
  2. 11.JPG (File Size:36.0KB/Download:3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75 러시아 ‘도핑문제 러시아월드컵 악영향’ 러매체 file 뉴스로_USA 17.11.22.
374 러시아 러시아 평창올림픽 참가 가능할까 뉴스로_USA 17.11.25.
373 러시아 평창올림픽의 희망과 실제 file 뉴스로_USA 17.11.25.
372 러시아 러시아, 내년 北근로자 계약안할 것 file 뉴스로_USA 17.11.27.
371 러시아 중앙아시아로 향하는 한국 file 뉴스로_USA 17.11.29.
370 러시아 러시아, 워싱턴-평양 협상 로드맵제시 file 뉴스로_USA 17.12.01.
369 러시아 러, 북한경유 가스관 사업재개 희망 file 뉴스로_USA 17.12.01.
368 러시아 “북한문제 ‘카우보이식 해법’ 안된다” file 뉴스로_USA 17.12.02.
367 러시아 러시아 기차역 北국적자 행불 file 뉴스로_USA 17.12.03.
366 러시아 “北제재 효력상실..협상해야” 러정계 file 뉴스로_USA 17.12.04.
365 러시아 “北, 핵보유국지위 인정해야 美와 대화” 뉴스로_USA 17.12.06.
364 러시아 러시아선수들 국기 없이 평창에 갈까 file 뉴스로_USA 17.12.10.
363 러시아 “한미, 사상최대 군사훈련 北 격분 유도” 러장관 뉴스로_USA 17.12.10.
362 러시아 “러선수들 명예위해 평창 가야” 뉴스로_USA 17.12.14.
361 러시아 미국은 평창올림픽에 참가할 생각있나? <러매체> 뉴스로_USA 17.12.15.
360 러시아 ‘틸러슨, 北과 전제조건 없는 대화?’ 러 미디어 file 뉴스로_USA 17.12.16.
359 러시아 러-중, 한-미-일 군사훈련에 공동 대응 뉴스로_USA 17.12.25.
358 러시아 평창올림픽 러시아 상징 ‘게으로그 리본’ 될까 file 뉴스로_USA 17.12.25.
357 러시아 “러관광객 평창올림픽관심 커질 것” 러 방송 file 뉴스로_USA 17.12.27.
356 러시아 스포츠와 푸틴 대통령 file 뉴스로_USA 17.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