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회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참가자들의 국가별 분포도는 14회 때와 비슷하다. 미국과 캐나다, 남미, 유럽,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의 44개국에서 참가신청서가 도착했다. 물론 러시아 참가자의 신청서가 압도적으로 많고(216명) 다음으로 아시아의 음악 강국인 한국(89명)과 중국(54명), 일본(38명)의 신청서가 많다. 유럽연합국 가운데에서는 주로 프랑스(16명)와 독일(12명), 이탈리아(12명), 스페인(6명) 연주자들이 참가를 신청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14명)와 그루지야(3명), 벨라루스(9명), 카자흐스탄(7명), 라트비아(6명) 연주자도 콩쿠르에 참가한다.


이와 관련 게르기예프 총감독은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이번 콩쿠르에서는 한국과 중국 연주자들 못지않게 러시아 연주자들이 두각을 나타낼 것이다. 그런데 한국과 중국, 일본의 젊은 음악가들 수십 명이 유럽과 특히 미국에서 수학한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니 그들 중 유수의 미국 및 유럽 음대 졸업생이나 재학생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부문마다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나라가 있다. 첼로 부문에서는 프랑스가, 성악 부문에서는 한국이 그랬다. 그래도 최근 15~20년 사이 세계 주요 극장에서 러시아 성악가들이 보여주는 존재감에 이견이 없는 만큼, 러시아 성악가들도 이번 콩쿠르에서 좋은 실력을 보여주리라 기대한다. 제15회 차이콥스키 콩쿠르는 현재의 세계 음악계를 보여주는 거울이 될 것이다."


< 사진: 모스크바프레스, 기사:모스크바프레스 협약사-러시아포커스 제공>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5 러시아 러 국민 62% 평창올림픽 참가지지 file 뉴스로_USA 17.12.31.
354 러시아 “남북이 모두 회담의 승자”러 전문가 file 뉴스로_USA 18.01.12.
353 러시아 “전광석화같은 남북한의 해빙” 타스통신 뉴스로_USA 18.01.13.
352 러시아 “남북회담 과도한 기대말아야” 러 전문가 뉴스로_USA 18.01.13.
351 러시아 “남북문제는 동족문제다” 러북한대사 뉴스로_USA 18.01.13.
350 러시아 “北선수단 경비 한국이 부담” 러매체 뉴스로_USA 18.01.15.
349 러시아 “러시아 아이스하키 금메달 딸 것” 야쉰 전망 file 뉴스로_USA 18.01.15.
348 러시아 “북한 미녀들을 기다리는 남한” 러매체 file 뉴스로_USA 18.01.16.
347 러시아 “미국, 대북투쟁연합 부활시켜” 러매체 뉴스로_USA 18.01.19.
346 러시아 ‘美국무부 북한구상은 해악’ 러장관 file 뉴스로_USA 18.01.19.
345 러시아 “북한, 고속도로 유료화 시행” 주북한 러대사관 file 뉴스로_USA 18.01.19.
344 러시아 북한 에어컨장착 자동차 생산 시작 뉴스로_USA 18.01.21.
343 러시아 “4월 한미군사훈련 남북대치상황 재개될 것” 러 전문가 file 뉴스로_USA 18.01.21.
342 러시아 “미, 러-중 분열 시도” 러 매체 file 뉴스로_USA 18.01.22.
341 러시아 ‘한국은 북한 편? 야당 불만’ 뉴스로_USA 18.01.22.
340 러시아 “북한에 칼가는 미국” 러 매체 file 뉴스로_USA 18.01.22.
339 러시아 “북핵 美대륙 위협은 시기상조” 러 전문가 뉴스로_USA 18.01.24.
338 러시아 “이란핵협상 파기되면 난투극될 것” 라브로프 러 장관 file 뉴스로_USA 18.01.26.
337 러시아 “韓정부 평창올림픽 정치적 이용 비난” 뉴스로_USA 18.01.28.
336 러시아 ’IOC징계 러선수들 득 될것’ 뉴스로_USA 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