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roh=로창현기자 newsroh@gmail.com

 

 

북한과 러시아가 청년교류 프로그램을 확대하기로 합의(合議)했다고 타스통신이 평양발로 보도했다.

 

타스통신은 알렉산드르 부가예프 러시아 청년업무청장이 지난 19일 평양사범대 학생들과 만난 자리에서 박천민 북한청년동맹위원장과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 지도부에게 북러 청년 교류프로그램 확대에 적극적인 입장을 표명한 것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고 전했다.

 

부가예프 청장은 “최근 수년간 북러 청년 교류가 계속 활성화되고 있다”며 “청년들의 노력이 양국 국민들의 규합과 전통적인 우호 관계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며 러시아 청년들은 북한 청년들의 믿음직한 친구이며 공동 활동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강조했다.

 

평양사범대 관계자들은 부가예프 청장에게 평양사범대 강의실을 안내하고 북한의 교사양성 체계를 소개했다. 또한 이 대학교의 특별한 자랑거리인 원격 교육수업, 멀티미디어 애니메이션과 가상현실 스튜디오, 로봇공학랩을 참관 시켰다. 사범대 콘서트홀에서 있었던 사범대 음악 및 무용단의 공연에서 북한 청년 예술인들은 ‘평양이 가장 아름다워’, ‘백학’, ‘카츄샤’, ‘검은 몰다비아 여인’ 등 러시아와 북한의 가곡(歌曲)들을 선보였다.

 

러시아 청년업무청 대표단은 사흘간의 평양방문 동안 북한 지도층과 여러 차례 회합을 갖고 청년 교류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 러시아와 북한이 더 광범위하게 서로 협력하는 문제를 협의했다. 특히 부가예프 청장은 북한 내 청년정책을 담당하는 박철민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 제1서기, 김영대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등과의 만남을 가졌으며 이 자리에는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도 함께 했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하산-라진 프로젝트 성사 여부는 대북 제재 해제가 관건

 

 

하산-라진 프로젝트의 성공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및 미국의 독자적 대북제재 해제에 달려있다고 우윤근 러시아 주재 한국대사가 타스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그는 “하산-라진 프로젝트는 중심 프로젝트 중의 하나로 거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 프로젝트의 성공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와 미국의 독자제재 해제 문제와 관련이 되어 있다”며 “프로젝트는 북한 비핵화 과정과 병행하여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엔 안보리 결정안이 규정한 특별 예외 규정에도 불구하고 2018년초 북한의 라진 항을 통한 러시아 석탄 수출이 중단되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정안은 유엔 회원국이 북한산 석유를 수입하지 못하도록 금지하고 있지만 작년 12월에 통과된 최종 문서에서는 하산-라진 프로젝트에 따른 러시아산 석탄 공급에는 제재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조항이 포함되었다.

 

러시아의 하산역에서 북한의 라진 항까지 철도를 복구하는 프로젝트는 2008년 –2014년 간 러시아 철도공사가 참여한 러북 합작 기업에 의해 실행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총 투자금액은 106억 루블이었다. 라진항의 석탄 터미널은 2014년 6월 개소했으며, 2년 후인 2016년 시범 프로젝트로 러시아산 석탄이 라진 항에서 한국으로 해운을 통해 보내어졌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76 러시아 “백두산 등정으로 종료된 남북정상회담” 러일간지 file 뉴스로_USA 18.09.24.
375 러시아 “북미, 하노이회담후 인내심 더 많아질 것” 뉴스로_USA 19.03.14.
» 러시아 “북한-러시아 청년교류 확대 합의” 타스통신 뉴스로_USA 18.12.05.
373 러시아 “빠르면 올해안 한반도철도 연결추진” 러매체 뉴스로_USA 18.09.25.
372 러시아 “새 북미협상 획기적 진전 어려워” 러 전문가 뉴스로_USA 19.11.14.
371 러시아 “세계를 사로잡는 한류” 러 일간지 뉴스로_USA 19.02.19.
370 러시아 “숙청되었다던 김영철 공식석상 등장” 러 통신 뉴스로_USA 19.06.07.
369 러시아 “실망한 정상들” 러 일간지 file 뉴스로_USA 19.03.18.
368 러시아 “안현수 고맙다” 러시아 쇼트트랙 한국서 선발전 file 뉴스로_USA 17.10.26.
367 러시아 “연해주 화물을 기다리는 북한의 크레인” 러매체 뉴스로_USA 18.12.23.
366 러시아 “영일만 남북러 물류거점 될것” 文대통령, 뉴스로_USA 18.11.18.
365 러시아 “외국인들이 평창에 오지 않는 이유” 러 매체 file 뉴스로_USA 18.02.06.
364 러시아 “전기차로 갈아타는 한국” 러TV file 뉴스로_USA 18.04.30.
363 러시아 “주한미군 한국안보 보장” 韓교수 file 뉴스로_USA 18.12.12.
362 러시아 “코로나속 한국총선 역사상 가장 극적인 선거” 러언론 뉴스로_USA 20.04.19.
361 러시아 “태극기는 있는데 선수는 없네” file 뉴스로_USA 17.02.24.
360 러시아 “트럼프와 김정은에 노벨상 수여 제안” 러 상원의원 뉴스로_USA 19.02.28.
359 러시아 “평창, 소치비용 4분의1 하지만..” 러매체 file 뉴스로_USA 18.02.17.
358 러시아 “한-러 문학교류의 첫 발” 러매체 뉴스로_USA 17.10.15.
357 러시아 “한국 ‘스푸트닉 라이트’ 천만회분 수출가능” file 뉴스로_USA 21.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