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세관 자료에 따르면, 연료 수요 증가로 인해 2023년 중국의 수입 원유 구매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1월 13일 발표된 중국 세관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2023년부터 원유 매장량을 늘려 예년에 비해 기록적인 수입량을 기록하였다. 부분적으로는 코로나19 제한 조치가 해제된 후 연료 수요가 회복된 데 따른 것이다.

같은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2023년 원유 수입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1,128만 배럴을 기록했으며, 이는 중국이 유가 하락을 틈타 값싼 원유를 대량으로 비축했던 2020년 기록한 일일 1,081만 배럴을 넘어선 수치이다.

대유행 시대 봉쇄가 해제된 후 국내 관광이 급증하면서 연료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지난해 석유 수입이 늘어났습니다. 특히 중국에서는 제트유와 휘발유 소비량이 높다. 그러나 건설경기 둔화와 제조업 경기 전망 불투명 등으로 경유 수요가 연평균 대비 상대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다.

중국의 연료 수요는 3년 전보다 훨씬 높아졌는데, 이는 주로 러시아로부터의 석유 공급 증가에 힘입은 것이다. 중국 세관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는 지난해 11월 중국이 하루 220만 배럴을 수입하면서 중국 최대 원유 공급국이 되었다.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중국의 러시아로부터 석유 수입은 20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22.2% 증가하였다.

경제학자들은 항공유 수요와 석유화학산업의 태양광 패널, 전기차 등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고급 제품에 대한 수요가 석유 수요와 수입을 늘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Wood Mackenzie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24년까지 수요가 하루에 거의 200만 배럴씩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 석유 수요 증가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중국은 2024년 정유소에 대한 대규모 원유 수입 할당량을 발표해 지난해 초부터 할당량을 약 60%로 늘리고 연간 할당량을 여러 석유 공장에 할당하였다.

수입 쿼터가 많아지면서 중국의 독립 정유업체들은 2024년 내내 원유를 구매하겠다는 계획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Nhập khẩu dầu của Trung Quốc đạt mức cao nhất mọi thời đại (vtc.vn)

 라이프 플라자 외정대학 인턴 기자 Ngọc Anh (나리) – 번역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 중국 시나 닷컴 "중국인이 봉인가?" 평창올림픽 비난 file 코리아위클리.. 17.10.26.
34 중국 중국 추석연휴 7억명 대이동 file 뉴스로_USA 17.10.06.
33 중국 ‘북미전쟁? 중국때문에 불가능’ file 뉴스로_USA 17.08.13.
32 중국 쓰촨성 7.0 지진... 19명 사망... 247명 부상 홍콩타임스 17.08.10.
31 중국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2371호' 채택 홍콩타임스 17.08.10.
30 중국 북핵 문제...미국과 중국 입장 뚜렷한 차이 [1] 홍콩타임스 17.08.04.
29 중국 중국인민해방군 창군 90주년... 이례적 열병식 홍콩타임스 17.08.04.
28 중국 노동당, 의문의 중국계 담배수입자로부터 거액의 정치자금 수령 톱뉴스 17.08.01.
27 중국 “중미 사이에 낀 문재인, 실용적 대외전략으로 전환” 코리아위클리.. 17.07.26.
26 중국 연변민족교육 발전 추진 연변방송국 17.03.13.
25 중국 홍콩 중국 주권반환 19주년 대규모 거리행진… 비교적 평화로운 분위기로 마무리 홍콩타임스 16.07.05.
24 중국 홍콩, 중국 주권 반환 19주년 기념일인 내일 대규모 시위 예정 홍콩타임스 16.07.05.
23 중국 세계에서 가장빠른 컴퓨터 file YTN_인도 16.06.22.
22 중국 대마초 협의 받은 성룡 아들 ‘방조명’ 컴백 준비해 홍콩타임스 16.06.17.
21 중국 송중기, 상하이 팬미팅 돌연 취소돼 홍콩타임스 16.06.17.
20 중국 한국 유명배우들, 中 진출 준비 박차 홍콩타임스 16.05.19.
19 중국 중국, 세계 기업인수합병(M&A) 역대 최대 기록해 유로저널 16.04.15.
18 중국 중국 10년간, '1인당 소비액 3배 증가 집값 연평균 18%씩 상승' 유로저널 16.04.15.
17 중국 中 리커창 총리,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6.5-7.0% 제시 유로저널 16.04.15.
16 중국 중국, 1인당 소득 지역 ‘1만달러 클럽’ 증가 속 총GDP는 하락 전망 유로저널 16.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