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png

▲스카이 라인이 내려다 보이는 홍콩 고급 호텔의 옥상 수영장. (사진=Shutterstock)

 

씨티은행이 4,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홍콩 내 1,000만 홍콩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백만장자의 수가 전년대비 1.5% 증가해 약 6만 9천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씨티은행은 미중 무역전쟁, 아시아 주식 시장 침체 등 요인으로 홍콩의 백만장자 수가 2014년 이래 가장 낮은 증가폭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유동 자산 중 은행 예금, 펀드, 주식으로 1,000만 홍콩 달러 이상의 자산가가 6만 9천명인 반면 부동산까지 포함해 1,000만 홍콩 달러 이상의 자산가는 51만 1천명으로 전년대비 3% 증가했다. 이는 홍콩 전체 인구인 748만 명에서 약 7%이다.

 

작년 홍콩은 아시아 주식 시장 중 최악의 실적을 기록한 시장 중 하나였다. 작년 한해 항생 지수가 약 14% 하락하면서 최근 7년 이래 최악의 연간 수익률을 기록했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 중국 경기 침체, 금리 인상 인상에 대한 우려 등 이유로 수익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홍콩의 부동산 시장 또한 작년 상반기 호황을 보이다가 8월부터 12월까지 시장 가격이 9.2% 하락해 수많은 부동산 투자자들이 손해를 봤다. 부동산 시장은 2019년부터 다시 회복세를 보이면서 1월 ~ 2월 기간 가격이 1.6% 상승했다.

 

씨티은행의 설문조사에서 백만장자들은 평균 3.2개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절반 이상이 투자 목적이라고 말했다. 홍콩 백만장자들의 전체 자산 중 부동산의 비중은 73%로, 부동산이 이들의 주요 자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의 72%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은 향후 12개월 이내에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반면 단 8%만이 지금이 부동산 투자하기 좋은 시기라고 답변했다. 응답자 중 20%는 해외 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있다고 답변했으며 10%만이 홍콩 부동산 투자에 관심있다고 답변했다.

 

또한 홍콩 백만장자들은 조세피난처 등에 자신의 자산을 배분하고 고정적인 수익이 보장되는 금융상품과 안전 자산인 보석류 등의 투자를 늘리는 경향을 보였다.

 

씨티은행의 로렌스 램(Lawrence Lam) 소비자 금융사업 전문가는 “과거의 홍콩 백만장자들은 주식 투자를 늘리는 경향을 보였으나 지금은 자녀와 자신들의 은퇴생활을 위해 보유 중인 자산들은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작년 씨티은행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백만장자들의 전체 자산 중 현금 14%, 주식 7%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현금의 비중은 동일한 수준이나 주식의 비중은 2% 줄어들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9-2.png (File Size:328.5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33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4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4.07.
332 홍콩 MPF 조기 인출 총액, 전년 대비 21.9%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4.07.
331 홍콩 팬데믹·이민 물결로, 유치원 10곳 중 7곳 교사 감원 file 위클리홍콩 21.04.07.
330 홍콩 홍콩 월 평균 임금 HK$18,400, 전년 대비 1.5% ↑ file 위클리홍콩 21.04.07.
329 홍콩 홍콩 증권거래소, 2차 상장 요건 완화 예정 file 위클리홍콩 21.04.07.
328 홍콩 웨강아오 대만구, 홍콩인 부동산 투자 40%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1.04.07.
327 홍콩 홍콩, 백신 접종률 낮아...1차 백신 접종자 6.3%에 불과 file 위클리홍콩 21.04.07.
326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4월 3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4.13.
325 홍콩 올해 하반기 사무실 가격 반등 전망 file 위클리홍콩 21.04.13.
324 홍콩 홍콩 천만장자 사상 최고치, 지난해 51만 5천 명 file 위클리홍콩 21.04.13.
323 홍콩 3세 이하 어린이 확진자 40% 이상이 무증상 file 위클리홍콩 21.04.13.
322 홍콩 홍콩 대졸생 취업문, 올해도 여전히 좁아 file 위클리홍콩 21.04.13.
321 홍콩 ‘혈전 논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도입 연기 file 위클리홍콩 21.04.13.
320 홍콩 소셜 네트워크 잇따라 개인 정보 대량 유출 file 위클리홍콩 21.04.13.
319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4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4.20.
318 홍콩 부동산 시장 예상보다 빠른 반등, 1분기 거래량 79.2% ↑ file 위클리홍콩 21.04.20.
317 홍콩 지난해 장바구니 물가 1.9% ↑, 인플레이션율보다 높아 file 위클리홍콩 21.04.20.
316 홍콩 홍콩 은퇴자 생활비는 1만1500 달러 file 위클리홍콩 21.04.20.
315 홍콩 홍콩, ‘경제적 자유’ 누리기 위해 400만 달러 필요 file 위클리홍콩 21.04.20.
314 홍콩 백신 안 맞은 직원 해고, 차별법에 위반될 수 있어 file 위클리홍콩 21.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