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JPG

▲의료계 의원 인 피에르 찬 (Pierre Chan) 박사는 환자 데이터 유출 건에 대하여 홍콩병원당국의 해명을 요구하였다. (사진=scmp)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자가 공립 병원 치료 후 병원에서 경찰에게 체포되면서 병원 당국이 경찰 당국에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지난 17일(월), 의료 부분 의원인 페에르 챈(Pierre Chan) 박사가 지난 12일과 13일 기간 공립 병원의 응급병동을 찾은 환자 76명의 목록 사본을 공개하면서 붉어졌다. 페에르 챈 박사가 병원 관계자로부터 받았다는 환자 목록에는 ‘입법회 시위자’와 ‘경찰용’이라는 메모가 적혀 있었다. 페에르 챈 박사는 병원 유니폼을 입고 있는 응급 병동 직원이라면 누구든 쉽게 로그인 없이도 컴퓨터의 환자 데이터 시스템에 접근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고 밝혔다.

 

페에르 챈 박사의 발표 당일 저녁, 병원 당국은 공식 기자회견을 열어 환자의 데이터를 출력해 경찰에게 제출한 바 없다고 이번 사태의 의혹을 일축했다. 병원 당국은 “오직 의료진만이 응급 병동의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으며 제 3자에게 환자의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 병원 당국이 경찰 당국에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이다. 첫 번째는 경찰이 사상자나 실종자의 정보를 조사하기 위해 도움을 요청하는 때이고 두 번째는 병원에서 환자의 가족에게 연락을 취하기 위해 경찰에 도움을 요청할 때이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앞서 두 가지 경우에 모두 해당되지 않기 때문에 시위자의 정보를 경찰에게 제공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로그인 관련하여 병원 당국은 다른 공립 병원의 환자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직원은 제한적이며 반드시 로그인 절차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각 병원 소속의 응급 병동 직원의 경우, 소속된 병원의 환자 기록을 로그인 없이 확인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스테판 뤄(Stephen Lo Wai-chung) 경찰청장은 공립 병원 내 경찰 출장소는 응급 병동의 환자가 범죄와 연루되었는지 조사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을 뿐 체포의 권한은 없다고 전했다. 그렇기 때문에 경찰들이 시위자를 쫓고 이들의 치료를 방해하려고 병원에 있었다는 주장에 전면 반대한다고 반박했다. 또한 이들이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는 병원의 시스템과 연결되지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지난 6월 12일, 홍콩 입법회 주변에서 시위자와 경찰 간의 물리적 충돌이 발생했다. 경찰 당국은 최루가스, 고무탄환, 물대포를 발사하는 등 무력 진압에 나섰으며 이 과정에서 최소 81명의 시위자와 22명의 경찰관이 부상당했다. 또한 ‘폭동’을 명목으로 32명의 시위자를 체포했다. 이들 중 병원 치료를 거부하고 도망갈 것을 우려해 병원에서 체포된 시위자도 있다.

 

개인정보보호 위원회는 공립병원의 응급 병동에서 환자의 개인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로그인 필요 여부에 대한 조사를 착수했다고 밝혔다. 또한 병원 당국이 이러한 의혹이 발생하게 된 것에 대하여 공개 사과하고 권한이 없는 자가 환자의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것을 촉구했다. 찰스 목(Charles Mok) IT 산업 부문 의원 또한 페에르 챈 박사가 언급한 의료 정보 시스템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며 병원당국과 개인정보보호 위원회에 즉각적으로 관련 사태에 대하여 조사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퀸 메리 병원(Queen Mary Hospital)은 환자 데이터 시스템의 네트워크가 차단되어 있는데다 아무나 접근할 수 없고 접근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을 해야 한다며 이번 개인 정보 침해 사태에 대하여 부인했다. 병원은 시위와 관련된 환자들의 정보를 경찰당국에 제공하지 않았으며 환자 목록 리스트에 ‘경찰용’이라고 메모된 것은 병원이 환자의 가족과 연락을 취해야할 경우를 대비해 준비된 자료라고 말했다.

 

16일(일), 홍콩 의대생 단체 3곳이 지난 두 차례의 시위에서 ‘양측의 충돌 과정에서 공공안전과 공공보건의 인권 침해’에 제기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병원당국과 정부가 환자의 비밀 보장 권리를 존중하고 모든 병원은 중립적인 입장을 취할 것을 촉구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2.JPG (File Size:72.7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13 홍콩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홍콩 소매 판매 및 관광객 수 감소 국경 간 이동 쉬워져 숙박비가 싼 인근 도시에 머물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12 홍콩 골드 사기 피해 중국인 신고자, 조직 폭력배 13명에게 폭행 당해 피해자 3년 간 약 USD 2억 상당 피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11 홍콩 공공 아파트에도 베란다, 다용도실 생겨…변모하는 공공 아파트 도시 소음 차단을 위한 정부의 해결방안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10 홍콩 의료 사보험 가입자 10명 중 4명, 여전히 공립 병원 선호, 의료 사보험에 대한 신뢰 부족 시사… 개선 촉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009 홍콩 주택 담보 대출 월 소득 70% 차지… 감당 안 되는 부동산 가격, 부동산 붐이던 1997년 수준 넘어서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8 홍콩 1월 ~ 5월 부동산 거래규모, 22년래 최고 수준..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로 하반기에는 둔화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7 홍콩 미중 무역전쟁에 폐지 가격 하락… 저소득층 생계 위협, 12월 대비 쓰레기 수출 가격 45% 하락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6 홍콩 홍수 피해로 빅 웨이브 베이 해변 임시 폐쇄, 자연 강 관활 부서 없어 피해 복구 더뎌져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5 홍콩 홍콩, 세계 IPO 시장에서 뉴욕와 나스닥에 밀려 3위 차지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4 홍콩 HK택시, 고급 택시 운행 입찰 계획 있어… HK$ 1억 투자 의향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3 홍콩 단오절 맞아 곳곳에서 용선 경기…즐거움과 열기로 가득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2 홍콩 세금 감면과 노후 저축,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다... 새로운 연금 보험 제도 소비자에게 큰 인기 얻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1 홍콩 홍콩 전통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000 홍콩 홍콩으로 돌아온 역 이민자들 다시 캐나다로 발길 돌려, 홍콩 정치적 불안·개인적 사유·인구 고령화… 여러 주장 엇갈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9 홍콩 홍콩 생활 물가, 작년 7위에서 4위로 껑충 뛰어.. 홍콩 달러 강세·높은 인플레이션이 주요 원인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8 홍콩 홍콩 생산가능 인구 감소…2027년 약 17만 명 노동력 부족 전망, 주부와 은퇴자 재취업 방안 모색 시급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7 홍콩 TSA 학업평가시험, 학업 부담 논란 속에서 작년보다 응시율 높아, 작년보다 난이도 하향…학생 부담 줄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6 홍콩 홍콩의 건축양식 발전 역사와 현재… 통라우의 흔적, 영국 식민지 시대부터 이어진 사회정치적 영향 속에서 변모 file 위클리홍콩 19.06.18.
995 홍콩 간호학 학생 37.3% 환자로부터 폭력 경험.. 부족한 간호 인력난 심화 우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
» 홍콩 공립병원 내원 시위자 정보 유출 의혹… 병원 당국 전면 부인, 시위 환자 목록·병원 현장 체포 등 유출 정황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