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JPG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높이는 트랜스 지방이 홍콩내 유명 제빵에서 다량 함유되어 있음이 조사되었다. (사진=scmp)

 

홍콩 소비자 위원회는 홍콩 유명 제빵 상품들에 다량의 트랜스 지방이 함유되어 있으며 과다 섭취할 경우 관상 동맥경화와 같은 심장 질환 발병의 위험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소비자 감시원의 총 75개 샘플링 케이크와 퍼프 페이스트리 중 약 4분의 1인 19개 샘플에서 트랜스 지방 함유량이 세계보건기구(WHO)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권장 트랜스 지방 섭취량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WHO와 FAO는 트랜스 지방 섭취량을 1일 섭취 열량의 1% 이하로 제한하고 있으며 이는 성인 일일 섭취 열량 2,000㎉ 기준, 2.2g 이하가 된다.

 

식품 안전처는 “트랜스 지방을 과잉 섭취할 경우, 혈관 내 ‘나쁜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높이는 반면 ‘좋은 콜레스토롤’의 수치를 낮춘다. 장기적으로 과잉 섭취할 때, 관상 동맥경화와 같은 심장 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 위원회는 퍼프 페이스트리 크림 스프, 타르트, 파이, 비스킷 과자, 중국식 페이스트리 등 75종 현지 제빵들을 대상으로 트랜스 지방 함유량을 조사했다. 그중 퍼프 페이스트리 크림 수프의 트랜스 지방 함유량이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 트랜스 지방이 빵 부분인 퍼프 페이스트리에 집중되어 있었다. 8가지 샘플 퍼프 페이스트리 크림 스프의 트랜스 지방 수치가 100g당 0.75g ~ 3.4g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스킷과 치킨 파이에도 상당히 높은 수치의 트랜스 지방 함유량이 나타났다.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사이잉푼(Sai Ying Pun)에 위치한 세인트 로란 베이커리(St Lolan Bakery)의 버터 케이크 1조각과 카페 360(Cafe 360)의 퍼프 페이스트리 크림 수프의 트랜스 지방 함유량이 일일 섭취량의 84%에 달해 가장 높은 것을 나타났다. 페이스트리 크림 수프의 경우, 가공 과정에서 발생된 트랜스 지방이 11%를 차지했다.

 

중국식 페이스트리 샘플 중 팟신 베이커리(Pat Sin Bakery)의 라오풔빙(wife cake)의 트랜스 지방 함유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팟신 베이커리는 이번 조사 결과에 순응하며 다른 식재료를 이용하여 트랜스 지방 함유량을 30% 감소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페 360은 판매 상품 중 트랜스 지방 함유량이 높은 상품은 대부분 퍼프 페이스트리 제품이라고 전했다. 카페 360은 “퍼프 페이스트리 공급업체에서 반조리 상태로 공급받고 있으며 공급업체와 소통하여 트랜스 지방의 함유량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고 말했다.

 

유명 뉴욕 케이크 체인점 레이디 M(Lady M)의 시그니처 메뉴 밀크 크레페의 경우, WHO의 트랜스 지방 일일 권장 섭취량을 27% 초과했다. 레이디 M은 “밀크 크레페를 제과하는 주요 식자재인 버터, 식물성 기름, 크림 등 유제품의 천연 트랜스 지방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말했다.

 

식품안전처는 “홍콩은 트랜스 지방 함유량에 대한 규제가 아직 없지만 정부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참고하여 연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제빵을 할 때, 주로 사용되는 식자재의 천연 트랜스 지방 외에도 액상의 기름을 수소화하는 식품 가공 과정에서 트랜스 지방이 생성된다. 소비자 위원회는 일부 샘플 제빵 중에는 이러한 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트랜스 지방이 낮은 경우가 있다며, 이러한 제빵들은 식자재나 기름을 바꾸는 등 조리법을 수정하면 충분히 트랜스 지방 함유량을 낮출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5.JPG (File Size:106.5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93 홍콩 HSBC,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등 각종 은행 수수료 폐지 예정.. 가상 은행 출현으로 고객 유지를 위한 조치로 분석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2 홍콩 HKMA, 미 Fed 금리 인하 예고에 시장 변동성 주의할 것 당부.. 2015년부터 9차례 인상된 금리, 4년 만에 인하하나? file 위클리홍콩 19.06.25.
» 홍콩 제과제빵 25%, WHO 권장 트랜스 지방 함유량 웃돌아.. 과다 섭취 시, 심장 질환 발병 위험성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0 홍콩 도시재개발청 재정 흑자 5분의 1로 감소, 지속 가능성 우려 제기.. 판매가 대비 높은 부동산 매입가·낮은 입찰가 등 이유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9 홍콩 QS 세계대학순위, 홍콩 소재 대학 5개 100위권 진입... 홍콩과기대(HKUST)는 32위, 홍콩중문대(CUHK) 46위, 시티대(City U)는 45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8 홍콩 케네디타운 MTR 역에 멧돼지 출현으로 여성 1명 부상, 야생 멧돼지 목격 제보 건수 꾸준히 증가로 골머리... 멧돼지를 만났을 시, 절대 침착해야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7 홍콩 작년 삶의 터전 잃은 난민 전 세계 7천만 명 달해 아시아에는 약 770만명.. 중국에서는 2018년 말 기준, 약 32만명 난민 수용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6 홍콩 홍콩 수출입 규모 6개월 이상 연속 감소…‘잿빛’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5 홍콩 중국인 관광객 급감으로 홍콩 소매 판매 5% 하락... 소매업자 ‘울상’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4 홍콩 카우룽 파크 지하공간 개발 프로젝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3 홍콩 일할 수 없는 망명 신청자들, 생계 곤란으로 더욱 피폐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2 홍콩 홍콩 부모 재정적 압박에도 성인 자녀에게 흔쾌히 재정적 지원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1 홍콩 스탠다트 차타드,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폐지...HSBC, BOCHK에 이어 세 번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0 홍콩 7월 17일부터 7일 간 홍콩 북 페어 개최, 사상 최대 참가 업체 기록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9 홍콩 中, 港, 臺 등 해외 자본이 밴쿠버 부동산 가격 끌어올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8 홍콩 NGO, 카페와 손잡아 시민들의 ‘정신 건강 지킴이’로 나서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7 홍콩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투쟁 열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6 홍콩 홍콩은행 간 금리 상승, 홍콩 달러 강세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5 홍콩 올해 상반기 동안 MPF 작년 손실 모두 회복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4 홍콩 공립 아파트 빈 공간, 임대 아파트로 재공급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