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전쟁 발전 형세 예측되지 않아 정확한 규모 전망 어렵다

 

1.jpg

 

경제전문가들은 미중 무역전쟁의 장기화로 5월 홍콩 수출 및 수입 규모가 더욱 감소했으며 수많은 경제학 전문가들은 홍콩의 수출입 산업이 아직 최악의 상황에 다다르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대미 수출 및 홍콩을 경유한 대미 수출은 전체 홍콩 수출 규모의 약 9%를 차지한다. 무역 및 물류는 홍콩의 4대 주축 산업 중 하나이다.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인하여 홍콩 수출입 산업에 지대한 타격을 입히고 있다.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홍콩 5월 수출량은 전년 대비 2.4% 하락했으며 7개월 연속 하락했다. 한편 5월 수입량은 전년 대비 4.3% 하락했으며 6개월째 연속 하락했다.

 

경제학 전문가들은 작년부터 이어진 미중 무역전쟁 협상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면서 홍콩은 미국과 중국이라는 대형 경제 체제 사이에서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는 격으로 경제적 타격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심지어 뱅크 오브 이스트 아시아(Bank of East Asia)는 폴 탕 사이온(Paul Tang Sai-on) 수석 경제학 전문가는 “아직 홍콩은 최악 상황에 도달하지 않았다. 미국 수입업자들조차도 과세 품목이 아닌 중국산 수출 상품을 감히 주문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미중 무역전쟁이 언제 종식될지 아무도 예감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지난 5월, 미중 관세 맞보복으로 미중 무역전쟁이 급격하게 격화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5월 10일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10%에서 두 배 이상인 25%로 인상했다. 이에 맞서 중국도 6월 1일부터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부과하는 보복조치를 연달아 내놓았다. 중국의 맞보복 관세조치에 미국은 관세 적용하지 않고 있는 3천억 미 달러 규모의 소비재, 전자제품 등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여부에 대한 공청회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홍콩 수출 규모가 작년 동기 대비 2.5% 감소했으며 수입 규모는 3.8% 감소했다. 이로 인한 무역 적자는 1,888억 홍콩 달러에 달한다. 폴 탕 사이온 경제학 전문가는 “이번 7월 수출 규모의 경우, 동기 대비 5 ~ 10%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작년 7월 무역 전쟁 발발로 인하여 대부분 수출입 업체들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둘러 중국산 제품들을 선적하여 수출했기 때문에 홍콩 수출량이 유난히 높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폴 탕 사이온 경제학 전문가는 글로벌 수출입 공급망이 촘촘하게 얽혀있기 때문에 홍콩 수출입량 감소로 인하여 일부 아시아 국가들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5월 대아시아 홍콩 수출 규모가 2.6% 하락했으며 태국 14% 하락, 말레이시아 11.6%, 싱가포르 9.5% 하락했다. 한편 대미 홍콩 수출 규모는 15% 하락했다.

 

게다가 미중 무역전쟁을 둘러싼 불확실성 증가로 올해 연간 홍콩 수출 실적을 전망하기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대변인은 홍콩 5월 수출 규모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동일하게 감소했다며 홍콩 수출에 대한 단기적 전망은 미중 관계 발전 형세를 비롯한 수많은 외부 불확실성으로 당분간 잿빛 기류가 가득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미중 무역전쟁의 형세를 지속적으로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jpg (File Size:263.3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93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2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2.09.
992 홍콩 홍콩 신생 항공사, 100여 개 노선운항권 신청 file 위클리홍콩 21.02.02.
991 홍콩 홍콩 기업 5개 중 1개, ‘1분기 사업 전망 악화’ 예상 file 위클리홍콩 21.02.02.
990 홍콩 홍콩 ‘외국인 주재원이 가장 살기 좋은 도시’, 93위→58위 상승 file 위클리홍콩 21.02.02.
989 홍콩 지난해 홍콩 사망자 수, 출생아 수 처음 넘어서 file 위클리홍콩 21.02.02.
988 홍콩 서비스 아파트 임대료, 7분기 연속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1.02.02.
987 홍콩 범죄의 온상 ‘선불 심카드’ 실명제 입법 제안 file 위클리홍콩 21.02.02.
986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2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2.02.
985 홍콩 팬데믹에 불 꺼진 영화관, 지난해 극장 매출 72%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1.01.26.
984 홍콩 팬데믹 이후 가족 갈등 심화…이혼 부부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1.01.26.
983 홍콩 올해 소비자 트렌드 ‘재택근무’, 일상생활 전면에 영향 미쳐 file 위클리홍콩 21.01.26.
982 홍콩 야침몽 집단 감염, 남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차별 붉어져 file 위클리홍콩 21.01.26.
981 홍콩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미중 관계 재편 기대 file 위클리홍콩 21.01.26.
980 홍콩 확진자 ‘제로’ 목표 국가, 2022년에나 국경문 개방할 수도 file 위클리홍콩 21.01.26.
979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1년 1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1.01.26.
978 홍콩 코로나 피해 산 찾는 사람 늘어, 컨트리파크 ‘몸살’ file 위클리홍콩 21.01.19.
977 홍콩 디지털 도어락 인기 ↑, 민원도 ↑ file 위클리홍콩 21.01.19.
976 홍콩 화이자 백신 부작용 보고에 전문가 ‘접종 연기 고려해야’ file 위클리홍콩 21.01.19.
975 홍콩 쇼핑몰 영업시간 단축 발언에 소매 산업 ‘들썩’ file 위클리홍콩 21.01.19.
974 홍콩 가격 더 떨어진 ‘흉가’, 내 집 마련의 기회일까? file 위클리홍콩 21.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