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제품·럭셔리 제품 부진 – 뷰티·건강보조 제품 완만한 성장

 

2.jpg

▲ 회계법인 PwC는 홍콩 소매 판매가 2019 년 전체 5% 하락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글로벌 회계법인 PwC에 따르면, 경제 불확실성의 증가와 중국 본토 관광객 수 감소로 인하여 홍콩 5월 소매 판매 규모가 5% 하락한 4,600억 홍콩 달러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는 1분기 소매 판매가 작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결과에 따라 5월 소매 판매 성장률을 3% 감소로 전망했지만 PwC는 이보다 낮은 5%로 예측했다.

 

PwC 아태 소비자 시장의 마이클 챙(Michael Cheng) 전문가는 “현재진행형인 미중 무역전쟁, 주식 시장 둔화, 중국 위안화 변동성 등이 소비자 심리와 이들의 소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소매 판매는 일반적으로 경제성과 지표로 사용된다. 지난 5월 정부는 데이터를 통해 미중 무역전쟁이 소비자 지출에 영향을 미치면서 홍콩 경제 성장 둔화를 야기하고 있음을 보였다.

 

2월 소매 판매가 10.1% 감소했으며 이는 3년 반이래 최악의 하락폭이다. 1분기 국내총생산 성장률의 경우, 2009년 3분기 이후 가장 낮은 증가폭인 0.6% 성장을 보였다. 한편, 민간소비지출은 약 3년래 최저 수준인 0.2%로 집계되는 등 최악의 경제성과를 보였다.

 

마이클 챙 전문가는 최근 정치 및 사회적 불안정, 보수 공사로 인한 피크 트램 운영 중단, 새로운 관광명소 개발 부족 등 복합적 요인들이 중국 본토 관광객들의 홍콩 여행을 가로막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본토 관광객이 전체 홍콩 방문 관광객의 약 80%에 달하기 때문에 2월 이후 3개월 연속 중국 본토 관광객 수가 하락하면서 소매업자들의 주름살이 깊어만 간다.

 

반면 작년의 경우, 9월 홍콩-광저우 고속열차 개통과 10월 웨강아오 해상 육교 개통 등으로 중국과 홍콩을 연결하는 교통 인프라들이 운행되면서 최고 관광객 수를 기록했다. 작년 중국 본토 관광객 수만 총 5,100만 명에 달했다.

 

특히 전자제품과 럭셔리 상품의 판매량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해 전 제품 분야 중 가장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보조 제품, 뷰티 제품과 같은 소비재들은 완만한 성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동산 서비스 업체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ushman&Wakefield)은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관리와 미용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면서 화장품과 건강 보조 제품이 전 세계적으로 소비를 이끌고 있는 제품등과 같은 소비재들이다. 또한 해당 제품들은 전자제품과 럭셔리 제품과 비교했을 때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홍콩을 방문하는 당일치기 중국 본토 관광객들의 소비를 끌어내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1분기 당일치기 중국 본토 관광객 수는 1,180만 명으로 집계되었으며 같은 기간 전체 중국 관광객 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2.jpg (File Size:379.3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93 홍콩 HSBC,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등 각종 은행 수수료 폐지 예정.. 가상 은행 출현으로 고객 유지를 위한 조치로 분석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2 홍콩 HKMA, 미 Fed 금리 인하 예고에 시장 변동성 주의할 것 당부.. 2015년부터 9차례 인상된 금리, 4년 만에 인하하나?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1 홍콩 제과제빵 25%, WHO 권장 트랜스 지방 함유량 웃돌아.. 과다 섭취 시, 심장 질환 발병 위험성 높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90 홍콩 도시재개발청 재정 흑자 5분의 1로 감소, 지속 가능성 우려 제기.. 판매가 대비 높은 부동산 매입가·낮은 입찰가 등 이유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9 홍콩 QS 세계대학순위, 홍콩 소재 대학 5개 100위권 진입... 홍콩과기대(HKUST)는 32위, 홍콩중문대(CUHK) 46위, 시티대(City U)는 45위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8 홍콩 케네디타운 MTR 역에 멧돼지 출현으로 여성 1명 부상, 야생 멧돼지 목격 제보 건수 꾸준히 증가로 골머리... 멧돼지를 만났을 시, 절대 침착해야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7 홍콩 작년 삶의 터전 잃은 난민 전 세계 7천만 명 달해 아시아에는 약 770만명.. 중국에서는 2018년 말 기준, 약 32만명 난민 수용 file 위클리홍콩 19.06.25.
986 홍콩 홍콩 수출입 규모 6개월 이상 연속 감소…‘잿빛’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2.
» 홍콩 중국인 관광객 급감으로 홍콩 소매 판매 5% 하락... 소매업자 ‘울상’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4 홍콩 카우룽 파크 지하공간 개발 프로젝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3 홍콩 일할 수 없는 망명 신청자들, 생계 곤란으로 더욱 피폐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2 홍콩 홍콩 부모 재정적 압박에도 성인 자녀에게 흔쾌히 재정적 지원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1 홍콩 스탠다트 차타드,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폐지...HSBC, BOCHK에 이어 세 번째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80 홍콩 7월 17일부터 7일 간 홍콩 북 페어 개최, 사상 최대 참가 업체 기록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9 홍콩 中, 港, 臺 등 해외 자본이 밴쿠버 부동산 가격 끌어올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8 홍콩 NGO, 카페와 손잡아 시민들의 ‘정신 건강 지킴이’로 나서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7 홍콩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투쟁 열려 file 위클리홍콩 19.07.02.
976 홍콩 홍콩은행 간 금리 상승, 홍콩 달러 강세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5 홍콩 올해 상반기 동안 MPF 작년 손실 모두 회복 file 위클리홍콩 19.07.09.
974 홍콩 공립 아파트 빈 공간, 임대 아파트로 재공급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