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이상 입주 연기돼 계약 파기되기도

 

1.png

▲ 로하스 파크(Lohas Park)지역에서 신축 건설 중인 아파트(사진=scmp)

 

코비드19 영향으로 아파트 건설 진행이 타격을 받으면서 90% 이상의 건설 프로젝트가 완공 시기를 연기됐다. 최소 1,900개 이상의 아파트 공급이 지연된 가운데 수억 홍콩 달러 손실을 본 건설업체들도 발생했다.

 

디자인 컨설팅 업체 아카디스(Arcadis)는 춘절 연휴 기간 중국을 방문했던 직원들이 중국 봉쇄령으로 돌아오지 못하거나 중국 공장들이 가동을 중단하면서 원자재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등 코비드19 발발로 인한 영향으로 2월과 3월 동안 90% 이상의 건설 프로젝트가 지연됐다고 말했다.

 

위록 프로퍼티스(Wheelock Properties)의 로하스파크 말리부 프로젝트(Malibu project), 엠파이어 인터내셔널(Emperor Internationa)의 튠문 씨사이드 캐슬(Seaside Castle), 슈발리에 그룹(Chevalier Group)과 도시재개발부(Urban Renewal Authority)가 공동으로 시공 중인 카우룽의 아파트 프로젝트 등이 모두 완공 시기를 2개월에서 6개월 연기했다.

 

싱크탱크 아워 홈 재단(Our Hong Kong Foundation)에 따르면, 현재 건설 중인 민영 아파트 프로젝트는 100여개로, 총 3만5천개 아파트에 달한다.

위록 프로퍼티스는 코비드 19로 인한 건설 작업 진행에 영향을 받으면서 말리부 프로젝트 완공일을 5월에서 8월 초로 연기했다. 말리부 아파트를 매입한 입주자들의 입주일이 예정보다 최소 2개월 연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위록 프로퍼티스 대변인은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말리부 아파트 건설을 최대한 빨리 완공하여 완공증(完工证, Certificate of Compliance) 발급을 신청할 것이다”고 말했다. 2018년 3월 이후, 총 1,600개 아파트 중 1,575개 아파트가 거래되어 146억 홍콩 달러 이상의 매출을 거뒀다.

신축 주거 부동산 매매 조례(Residential Properties (First-hand Sales) Ordinance)에 따르면, 건설업체가 계약된 입주일로부터 6개월 이상 입주가 연기된다면 구매자는 법적으로 아파트 거래를 취소하고 이자와 함께 전액 환불을 받을 수 있다.

 

튠문의 레아쿠아틱(L'aquatique)의 경우, 건설업체 MCC가 입주 시기를 작년 6월에서 올해 6월 또는 7월로 두 차례 연기하면서 구매자 19명이 계약을 취소했다.

MCC는 “건설 진행 상의 문제, 점용허가(Occupation Permit) 등과 같은 정부 승인 지연, 중국 공장으로부터 바닥재 배송 지연 등 문제로 지연되었다”고 설명하며 계약을 취소한 19명에게 이자와 함께 전액 환불했다 밝혔다.

 

튠문 씨사이드 캐슬 고급 아파트도 완공 시기가 작년 12월에서 올해 6월로 6개월 연기됐다. 엠파이어 인터내셔널 대변인은 “코비드19 영향으로 아직 정부로부터 완공증 발급 승인 대기 상태라서 연기할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구룡 폭 착 스트리트(Fuk Chak Street)에 위치한 슈발리에 그룹의 건설 프로젝트 완공일 또한 2021년 9월에서 같은 해 11월로 2개월 연기했다.

지난 달 27일(월)에 발표된 옥우서(屋宇署, Buildings Department)의 통계에 따르면 올해 첫 두 달 동안 진행된 신규 아파트 건설 프로젝트가 단 한 건도 없었으며 이는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2년 이후 처음이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png (File Size:732.6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3 홍콩 홍콩정부, COVID-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적색여행국가 확대 조치 file 위클리홍콩 20.03.17.
652 홍콩 신종 코로나에 화장지 사재기 전 세계로 확산 진풍경 file 위클리홍콩 20.03.10.
651 홍콩 교통경찰, 불법주차·불법적재 단속 위클리홍콩 20.03.10.
650 홍콩 지난 2개월 동안의 연이은 폭발장치물 사건 위클리홍콩 20.03.10.
649 홍콩 노숙자 폭행한 경찰관 결국 체포돼 file 위클리홍콩 20.03.10.
648 홍콩 1만 홍콩 달러 지원, 영주권자에서 저소득 이민자로 확대 file 위클리홍콩 20.03.10.
647 홍콩 영국교육전문회사 QS, 전공별 세계대학 순위, 홍콩 줄줄이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3.10.
646 홍콩 건축단체, 텐트 격리시설 제안 file 위클리홍콩 20.03.10.
645 홍콩 MTR社, 홍콩 시위 여파로 작년 매출 약 45% 감소 file 위클리홍콩 20.03.10.
644 홍콩 홍콩보건당국, 코비드19는 심각한 유형의 독감형태로 '몇 년 동안 지속적인 영향 미칠 수 있다'고 경고 위클리홍콩 20.03.10.
643 홍콩 홍콩대학 전염병 전문의들, 코비드19 실제 사망률은 1.4%에 가까워 file 위클리홍콩 20.03.10.
642 홍콩 홍콩 시민 단체, “노란색, 검은색 마스크 구매금지” 통지받아 file 위클리홍콩 20.03.03.
641 홍콩 홍콩정부, 1천2백억 홍콩달러 경제 활성화를 위한 보조패키지 발표 file 위클리홍콩 20.03.03.
640 홍콩 경찰 범죄 해결률 37%, 19년래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20.03.03.
639 홍콩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소비재 가격 최고 200% 급등 file 위클리홍콩 20.03.03.
638 홍콩 COVID-19, 사스 아닌 HIV와 유사한 변이 관찰돼 file 위클리홍콩 20.03.03.
637 홍콩 정부, 경제 성장 촉진 위해 세율 개정도 고려 file 위클리홍콩 20.03.03.
636 홍콩 휴교·자택근무에 북적이는 야외 바베큐장 file 위클리홍콩 20.02.25.
635 홍콩 홍콩, 전 세계 집값 최고 상승 도시 50위 밖 file 위클리홍콩 20.02.25.
634 홍콩 홍콩 정·경계 인사들, 코로나바이러스 방호용품 기부 file 위클리홍콩 20.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