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자산 투자에 관심 높아져

 

5.png

(사진=scmp)

 

홍콩 6월 주택 가격 지수가 10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다시 올랐다. 이는 코비드19 사태로 전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부동산에 대한 투자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됐다.

 

홍콩 부동산가치평가국(RVD, Rating and Valuation Department)의 통계에 따르면, 6월 중고 주택 가격 지수가 0.1% 상승한 386.1로 집계됐으며 이는 지난해 8월의 388.3 이후 가장 높다. 한편 지난해 동월 대비 1.9% 낮다.

 

일각에서는 주택 공급이 감소하면서 가격 상승을 초래했다고 분석했다. 교통주택부 데이터에 따르면, 코비드19 사태로 홍콩 주택 건설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향후 3, 4년간 신축 민간 주택 수가 3천 채 감소한 92,000채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센타라인 프로퍼티(Centaline Property Agency)의 웡 령싱(Wong Leung-sing) 수석 연구책임자는 “코비드19 사태로 전반적인 주택 건설 완공이 지연되었다. 올해 완공 예정이었던 아파트들도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완공 시기가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3, 4년간 신축 민간 주택 공급 수가 9만 채 미만으로 감소할 수도 있다. 신축 주택 공급 감소와 분양 부진으로 주택 가격이 당분간 계속 조정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2분기 동안에 미분양된 완공 아파트 수가 1천 개 늘어나 총 11,000개로 13년래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코비드19로 인한 전 세계 경제가 침체된 가운데 홍콩의 신축 및 중고 아파트 가격은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통화국의 저금리 유동성 공급이 투자자들로 하여금 더 높은 수익성을 보장해주는 고정 자산과 귀금속에 투자를 유도하면서 최근 신축 아파트 매입을 부추기고 있다.

 

그러나 나이트 프랭크의 토마스 람(Thomas Lam) 이사는 이번 6월 최신 통계는 최근 코비드19 3차 확산세에 따른 시장 변화를 반영하지 않았다며 올해 주택 가격이 5%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 가격 소폭 반등이 역자산 부동산 감소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6월 기준 역자산 상태에 빠진 주택 수는 약 127개이며 3월 말의 384개보다 감소했다. 이는 2003년 사스와 1997년 동아시아 금융 위기 때보다 적으며 그때만큼의 심각한 부동산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을 것으로 보인다. 2003년, 사스 발발로 인해 10만5천 개 이상의 부동산이 역자산 상태에 빠졌다.

 

에릭 초(Eric Tso) 엠레퍼럴 코퍼레이션(MReferral Corporation) 부회장은 “2003년 때와 비교했을 때 역자산 부동산 수가 적다. 최신 주택 가격 지수 반등이 역자산 부동산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7월 초부터 코비드19 3차 확산이 발생하면서 3분기 부동산 시장은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고 덧붙였다.

 

반면 리카코롭 프로퍼티스(Ricacorp Properties)의 데렉 챈(Derek Chan) 연구책임자는 6월 주택 가격 지수 상승 폭이 코비드19 확산이 주춤했던 5월의 2.2%와 비교했을 때 낮아졌다며 그는 7월과 8월에 주택 가격 지수가 각각 0.5~1%와 2% 이상 하락을 전망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5.png (File Size:721.9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3 홍콩 '세계 인권의 날' 기념집회, 홍콩시민 80만 명 다시 거리나와 file 위클리홍콩 19.12.10.
572 홍콩 지난 5년간, 야생동물 불만신고 75%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71 홍콩 시민들 최루가스 장기 노출 두려움에 떨어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70 홍콩 美, 中 반발에도 홍콩 인권법 서명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69 홍콩 신계 브라운필드 재개발, 이주·보상 등 문제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68 홍콩 10월 홍콩 수출 9.2% 하락, 약 10년래 최악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67 홍콩 10월 HK$ 예금 증가, 반면 외환보유고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66 홍콩 CEPA 한층 더 개방해, 홍콩 기업의 중국 진출 용이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65 홍콩 홍콩 사회불안으로 홍콩인들 '영국 거주권' 얻기 원해 위클리홍콩 19.11.26.
564 홍콩 대학 교내에서 사라진 화학물질, 공공안전 위협 우려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63 홍콩 병원 당국, 독감철 대비 개선된 비말감염 검사 도입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62 홍콩 초소형 아파트 붐 사실상 ‘끝물’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61 홍콩 투자 심리 위축, 3분기 상업용 부동산 거래 약 30%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60 홍콩 지연되는 소득세 고지서, 곧 발부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59 홍콩 홍콩 지방의회 선거, 압도적인 범민주 진영 승리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58 홍콩 춘절 축제 부스 가격, 전년 대비 70%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11.19.
557 홍콩 前 공항 부지, 인근 부지보다 약 27% 저렴 file 위클리홍콩 19.11.19.
556 홍콩 中 인민해방군, 도로 청소 위해 거리로 나와 file 위클리홍콩 19.11.19.
555 홍콩 불법 시위 참여했다 체포된 공무원, 징계 처분 경고 file 위클리홍콩 19.11.19.
554 홍콩 관광객수 감소로 호텔산업 ‘몸살’ file 위클리홍콩 19.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