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비드19 감염 우려에 원격진료 문의 증가

 

8.png

 

코비드19 확산으로 비응급 환자들에 대한 의료 서비스가 축소된 가운데 홍콩텔레콤(Hong Kong Telecom, HKT)이 병원 내원 없이 온라인으로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앱을 새롭게 출시했다.

 

HKT가 지난 27일(월)에 출시한 닥터고(DrGo) 앱을 통해 환자가 원하는 시간에 의사 원격진료 상담 예약을 잡고, 영상통화로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원격 진료 상담 이후, 환자는 4시간 안으로 등록된 주소지로 진단서, 처방 약, 의사소견서, 영수증을 배송받을 수 있다. 환자들은 언제든지 앱에서 진단 내역과 처방 약 복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원격 진료 서비스 비용은 398 홍콩달러 ~ 450 홍콩달러로, 의사 상담, 3일분의 처방약, 1회 배송비가 포함되었다.

 

원격 진료 시간은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이며, 8월 말부터 공휴일 포함 월요일부터 일요일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간까지로 진료 시간이 확대될 예정이다.

 

HKT는 사립병원 글렌이글스 병원(Gleneagles Hospital)과 가장 먼저 파너트쉽을 맺고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수산나 후이(Susanna Hui) HKT 그룹 이사는 “더 많은 사립병원 및 진료소들과 파트너쉽을 체결할 것이다. 추후 전문의 상담 등 서비스를 확대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공립병원 이용 환자들에게까지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HKT는 “닥터고 앱을 통해 환자들이 더 빠르고 쉽게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환자들은 휴대전화만 있으면 어디에서든 화상으로 의사 진료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병원이나 진료소에 직접 내원해야 할 물리적 번거로움을 줄여준다”고 밝혔다.

 

HKT가 지난 1월에 실시한 ‘아프거나 몸이 좋지 않을 때 어떻게 하느냐’라는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70%가 ‘휴식을 취하고 비타민C와 수분 섭취량을 늘린다’고 답변했다. 이어 응답자 중 20%가 ‘집에 남아있는 약을 복용하거나 약국에서 약을 사 먹는다’고 응답했다.

 

특히 코비드19 전염병 유행이 극심한 현재,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병원 당국이 비응급 환자 진료 서비스를 축소하면서 원격진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병원 내원을 통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두려움도 원격진료 수요 증가의 또 하나의 요인이다. 지난 5월 홍콩의사연맹의 헨리 영(Henry Yeung) 회장에 따르면, 최근 원격진료에 대한 문의가 약 10% 증가했다고 밝혔다.

 

일부 유럽 국가, 미국, 중국 본토 등에서 원격의료가 활성화되고 있다. 의료비가 비싸기로 악명 높은 미국은 1990년대부터 원격의료가 시작돼 지금은 상당히 정착된 단계다. 조사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진료 6건 중 1건이 원격으로 이뤄졌다. 반면 홍콩은 원격진료 인프라가 아직 구축되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코비드19 사태가 발발하면서 전염병 감염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할 수 있는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부 사립병원에서는 코비드19 사태 이후 비응급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미 원격진료를 하고 있다. 퀸 엘리자베스 병원(Queen Elizabeth Hospital), 마틸다 인터내셔널 병원(Matilda International Hospital), 홍콩양화병원(Hong Kong Sanatorium and Hospital) 등이 원격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png (File Size:194.1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3 홍콩 '세계 인권의 날' 기념집회, 홍콩시민 80만 명 다시 거리나와 file 위클리홍콩 19.12.10.
572 홍콩 지난 5년간, 야생동물 불만신고 75%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71 홍콩 시민들 최루가스 장기 노출 두려움에 떨어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70 홍콩 美, 中 반발에도 홍콩 인권법 서명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69 홍콩 신계 브라운필드 재개발, 이주·보상 등 문제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68 홍콩 10월 홍콩 수출 9.2% 하락, 약 10년래 최악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67 홍콩 10월 HK$ 예금 증가, 반면 외환보유고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12.03.
566 홍콩 CEPA 한층 더 개방해, 홍콩 기업의 중국 진출 용이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65 홍콩 홍콩 사회불안으로 홍콩인들 '영국 거주권' 얻기 원해 위클리홍콩 19.11.26.
564 홍콩 대학 교내에서 사라진 화학물질, 공공안전 위협 우려 제기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63 홍콩 병원 당국, 독감철 대비 개선된 비말감염 검사 도입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62 홍콩 초소형 아파트 붐 사실상 ‘끝물’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61 홍콩 투자 심리 위축, 3분기 상업용 부동산 거래 약 30%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60 홍콩 지연되는 소득세 고지서, 곧 발부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59 홍콩 홍콩 지방의회 선거, 압도적인 범민주 진영 승리 file 위클리홍콩 19.11.26.
558 홍콩 춘절 축제 부스 가격, 전년 대비 70%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11.19.
557 홍콩 前 공항 부지, 인근 부지보다 약 27% 저렴 file 위클리홍콩 19.11.19.
556 홍콩 中 인민해방군, 도로 청소 위해 거리로 나와 file 위클리홍콩 19.11.19.
555 홍콩 불법 시위 참여했다 체포된 공무원, 징계 처분 경고 file 위클리홍콩 19.11.19.
554 홍콩 관광객수 감소로 호텔산업 ‘몸살’ file 위클리홍콩 19.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