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거주용 부동산 수요·가격 하락

세금 부달 덜어

 
9.png

 

미중 무역갈등과 코비드19 여파로 홍콩 비거주용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정부가 상업 부동산에 대한 이중 인지세(Double Stamp Duty, DSD) 제도를 폐지했다.

 

11월 25일(수), 캐리 람 행정장관이 연례 정책 보고에서 상업 부동산에 대한 이중 인지세 제도를 폐지한다고 밝혔으며 다음날 26일(목)부터 적용되었다. 캐리 람 장관은 “코비드19 팬데믹 여파로 인한 경제 침체와 불확실성으로,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과 수요가 하락했다. 정부는 현 상황을 고려해 비거주용 부동산에 대한 이중 인지세 제도를 즉시 폐지한다”며 현금 유동성 확보를 위해 부동산을 매각해야 하는 사람들의 세금 걱정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지속적으로 상업 부동산 가격을 모니터링할 것이며 시장 개발 안정화를 위해 필요에 따라 조치를 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정부는 주거용 부동산 시장의 공급 부족과 여전히 높은 가격이 형성되어있는 만큼 주거용 부동산에 대한 이중 인지세 폐지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중 인지세 제도는 2013년 2월, 부동산 시장 과열과 가격 급등으로 냉각 조치 일환으로 도입되었다. 2백만 홍콩달러 이상의 비거주용 부동산 매입자와 매각자는 부동산 가치에 따라 기존보다 최고 두 배의 인지세를 지불해야 하며, 2,180만 홍콩달러 이상의 부동산의 경우 최고 8.5%의 인지세를 지불해야 한다.

 

스탠리 푼(Stanley Poon) 센타라인 커머셜(Centaline Commercial) 전무는 이중 인지세 폐지로 상업 부동산 거래량이 단기적으로 20~30%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

 

조셉 창(Joseph Tsang) JLL홍콩 대표는 “1억 홍콩달러 이하의 상업 부동산들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자본 가치가 급격하게 하락한 소매 부동산들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이다. 부동산 투자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조셉 창 대표는 “지난 8월, 최소 담보인정비율(loan-to-value ratio, LTV)를 완화한 이후 3분기 상업 부동산 거래량이 전분기 대비 22%(자본가치 2천만 홍콩달러) 이상 증가했다”고 전했다.

 

홍콩 중소기업협회 또한 “투자 목적 등으로 상업 부동산을 보유하던 일부 기업들이 부동산을 매각해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라며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반면 헨리 람(Henry Lam) 나이트 프랭크(Knight Frank) 전무는 현재 경제 상황 속에서 이중 인지세 폐지는 부동산 가격 안정화에만 도움이 될 뿐 단기간에 가격이 회복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올해 상업 부동산 판매가 작년 4,666건에서 19% 하락했다.

 

9월 현재 공실 상태인 A급 사무실 총 면적이 21년래 최고 수준인 약 780만sqft에 달했으며, CBRE는 올해 A급 사무실 임대료 3분기까지 이미 13.8% 하락했으며 올해 말까지 15~20%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침사추이, 센트럴, 코즈웨이베이, 몽콕 등 핵심 상업 지구 4곳의 3분기 점포 공실률이 전분기 대비 4.8% 포인트 상승한 18.3%로 집계되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9.png (File Size:765.7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53 홍콩 퀸즈 메리 병원, 새로운 응급서비스 전용센터 개설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8.13.
452 홍콩 美, 홍콩 여행주의보 2단계 발령 file 위클리홍콩 19.08.13.
451 홍콩 AI 기술 이용해 온라인 범죄 수사 확대 file 위클리홍콩 19.08.13.
450 홍콩 다수 슈퍼마켓, 과도하게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해 file 위클리홍콩 19.08.13.
449 홍콩 관광객 수·호텔 객실 이용률 두 자리 수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08.13.
448 홍콩 캐리 람 행정부 장관, ‘시위가 홍콩 경제 악화 초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447 홍콩 외환 보유액 사상 최고 file 위클리홍콩 19.08.13.
446 홍콩 홍콩국제공항, 전례 없는 비상상태 file 위클리홍콩 19.08.13.
445 홍콩 혼돈, 혼란의 홍콩 - 교통대란, 최루가스, 폭력, 체포로 얼룩진 월요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444 홍콩 홍콩정부, 암퇴치를 위한 새로운 7가지 정책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8.06.
443 홍콩 홍콩근로자들, 과로에 노출 돼 file 위클리홍콩 19.08.06.
442 홍콩 가상은행, 과연 홍콩 금융시장 판도 바꿀까 file 위클리홍콩 19.08.06.
441 홍콩 주가 상승률보다 높은 홍콩 CEO 연봉 인상률 file 위클리홍콩 19.08.06.
440 홍콩 입법회 건물 복구 비용 최소 HK$ 4천만 추정 file 위클리홍콩 19.08.06.
439 홍콩 ‘범죄인 인도개정 반대’ 시위, 지난 6월 이후,500명 검거 file 위클리홍콩 19.08.06.
438 홍콩 소매 판매에 이어 소매 임대업 타격 file 위클리홍콩 19.08.06.
437 홍콩 홍콩 연간 경제성장률 전년대비 0.6% 머물러 file 위클리홍콩 19.08.06.
436 홍콩 중고아파트 가격 5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서 file 위클리홍콩 19.08.06.
435 홍콩 홍콩 최대 합창 공연 성공리 끝나 ‘경쟁 없는 화합’ file 위클리홍콩 19.07.30.
434 홍콩 불법체류 도운 가사도우미 에이전시, 2년형 선고 file 위클리홍콩 1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