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면적, 2024년 600sqft로 줄어

 

4.png

 

싱크탱크 최신 연구에 따르면, 부동산 개발 속도 지연으로 정부가 10년 장기 주택 공급 계획 공급량을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더 나아가 홍콩 아파트 평균 면적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로 시민들의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

 

싱크탱크 아워 홈 재단(Our Hong Kong Foundation, OHKF)에 따르면, 신축 아파트의 평균 면적이 2010년부터 계속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4년까지 평균 연면적이 600sqft 미만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정하며, 연면적의 80%를 실사용멱적으로 잡았을 때, 실사용면적이 480sqft 미만이 된다. 이는 2012년 평균 민간 아파트 연면적의 3분의 1 수준이다.

 

보고서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민간 아파트 중 클라스A 아파트가 43%를 차지해, 이는 2015년~2019년 기간의 34%와 2005년~2009년의 10%보다 훨씬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라이언 입(Ryan Ip) OHKF 토지·주택 리서치 책임자는 “주택 공급 부족으로 많은 사람들이 더 작은 평수에 거주하면서 더 비싼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현상이 빚어져 시민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고 밝혔다. 홍콩 정부는 실사용면적 430sqft 미만의 아파트를 ‘클라스A 아파트’로 정의하며, 클라스A 아파트는 표준 주차공간 3개를 합친 크기로 매우 작은데다 대부분 방 1개 또는 2개로 이뤄져 있다.

 

그러나 215sqft 미만의 초소형 아파트인 나노 아파트(nano flat)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시장 공급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까지 매년 1,200채의 나노 아파트가 완공될 것으로 전망하지만 2024년에는 연 600채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라이언 입 책임자는 주택담보대출 요건 완화로 인하여 나노 아파트의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가 2019년에 고부가가치 부동산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요건을 완화하면서 평수가 더 큰 아파트를 구매할 능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나노 아파트는 표준 주차장의 1.6배 크기로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수요가 더 줄어들 거지만 클라스A 아파트는 여전히 수요가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4-1.png

 

한편 향후 토지 부족으로 인하여 향후 시장에 공급될 아파트 수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홍콩은 지난 20년 동안 주택 공급을 위한 양질의 토지 개발이 부족했으며, 기존 신도시 개발로 공급된 아파트들의 재고는 점차 고갈되고 있다. 3년 전 시장에 공급된 민간 아파트가 25,500채에 달했지만 올해 13,020채로 줄어들었다. 향후 5년간 완공될 민간 아파트가 연 평균 15,000채로 전망했으며, 이는 지난해에 완공된 아파트 20,900채보다 28% 줄어든다.

 

보고서는 지금과 같은 개발 속도를 이어간다면 정부가 장기 주택 공급 목표량을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11월 연례 정책 보고에서 캐리 람 행정장관은 아파트를 공급할 충분한 토지를 찾았다며 향후 10년 간 430,000채를 공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30/31년까지 민간 아파트와 공공 아파트 공급량을 30%와 70% 비율로 공급할 것이며, 공공 아파트 약 316,000채를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OHKF는 같은 기간 공공 아파트 단 277,400채만 완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향후 4년 동안 연 평균 21,800채의 공공 아파트가 완공될 것이며 이는 정부의 장기 주택 공급 계획(Long Term Housing Scheme, LTHS)에서 제시한 공급 목표량보다 28% 부족하다. 민간 주택의 경우 2026~2030년 기간 연 평균 12.000채가 완공될 것이며, 2020~2025년 연 평균 15,000채보다 20% 줄어들 것이다. 그 결과 정부가 계획했던 공급량보다 12,900채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정부가 장기 주택 공급 목표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발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축 개발 지역 및 교통 인프라스트럭쳐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속도를 높여야 하며, 복잡한 행정절차를 간소화하면서 부서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공공 주택 개발 일정을 단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목표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공 아파트 완공 일정을 2년을 앞당기고 민간 주택은 1년을 앞당겨야 한다고 덧붙였다.

 

OHKF는 개발업체 분양 판매 브로셔, 옥우서 데이터, 부동산가치평가국(RVD, Rating and Valuation Department)의 통계를 기반으로 연구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4.png (File Size:947.8KB/Download:20)
  2. 4-1.png (File Size:277.8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3 홍콩 지역 의원 겸직하는 입법 의원, 내년부터 급여 약 10%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4.26.
312 홍콩 춘절 단속 기간 HK$ 1억 3천만 상당 밀수품 적발.. 멸종 위기종, 마약, 담배, 술 종류도 다양해 file 위클리홍콩 19.04.26.
311 홍콩 ‘유엔 제재 위반 의심 혐의 건수’ 5년 새 13배 급증.. 화웨이 CFO 유엔 제재 위반 혐의로 체포로 유엔 제재 주목 file 위클리홍콩 19.04.26.
310 홍콩 美국무부, 중국 여행주의 경보 ‘2단계’ 발표 …홍콩 제외 file 위클리홍콩 19.04.26.
309 홍콩 강주아오 대교 홍콩세과, 신형 e-채널 100대 이상 설치 file 위클리홍콩 19.04.26.
308 홍콩 2019년도 날씨 전반적으로 ‘강수량이 많고 습할 것’으로 예상 위클리홍콩 19.04.23.
307 홍콩 홍콩교통부장관, 항구터널료 개편 제안 위클리홍콩 19.04.23.
306 홍콩 홍콩 백만장자 증가폭 1.5%로, 2014년 이래 최저 수준.. 작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침체가 주요 요인 file 위클리홍콩 19.04.23.
305 홍콩 택시 공식 어플 e택시 정식 출시, 우버 대항마로 나서.. 옥토퍼스 결제, 분실물 신고 등 우버가 없는 기능 지원 위클리홍콩 19.04.23.
304 홍콩 시중에서 판매되는 참치회 절반 이상 수은 함량 기준치 초과, 수산물 ‘안전’ 비상… 임산부, 영유아 활어 섭취 주의 위클리홍콩 19.04.23.
303 홍콩 하루 6명 온라인 쇼핑 사기 당해, 2018년 대비 35% 증가.. 신원 인증을 통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거래할 것 당부 위클리홍콩 19.04.23.
302 홍콩 70% 이상 공중 화장실 청소원, 식사 공간조차 없어, 화장실 내부 한 켠에서 끼니 때우는 경우도… 열악한 근무환경 위클리홍콩 19.04.23.
301 홍콩 피크 트램, 승객 수용력 높여 승객 탑승 대기 시간 대폭 단축 예정.. HK$ 6억 이상 투입해 보수 진행 위클리홍콩 19.04.23.
300 홍콩 심화되는 도로 체증, 전자식 도로통행료 도입 시급.. 1980년대 최초 도입 제안 이후 6번째 도입 시도 위클리홍콩 19.04.23.
299 홍콩 중국의 야심찬 대만구 프로젝트를 주목해야 하는 10가지 이유 위클리홍콩 19.04.23.
298 홍콩 하늘에는 영광! 땅에는 평화 – About Easter 위클리홍콩 19.04.16.
297 홍콩 센트럴-완차이 바이패스, 개통 한 달여 만에 공기 정화 시스템 고장 위클리홍콩 19.04.16.
296 홍콩 2018년 중독 사고 총 3,960건, 전년대비 사망자 수 줄어들어.. 문어독, 쥐약, 청소세재, 독초 등 중독 경로 다양해 위클리홍콩 19.04.16.
295 홍콩 원치 않는 텔레마케팅 전화, 규제 강화… 최고 HK$ 100만 벌금형 위클리홍콩 19.04.16.
294 홍콩 인구 1천 당 의사 단 1.9명, 국제 표준보다 낮아.. 해외 의사 면허 소지자에 대한 의료 활동 제한 완화 촉구 위클리홍콩 19.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