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안전성에 대한 우려 해소·다양한 유인책 마련 필요

 

6.png

 

 

최신 설문조사에 따르면, 정부가 백신 버블, 여행 버블 등 다양한 백신 접종 인센티브 카드를 내놓고 있지만, 시민 10명 중 9명이 이러한 유인책에도 백신 접종에 대한 동기 부여가 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환자 및 보건 전문의 권리 협회(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Rights Association)가 지난 4월 26~29일 기간 성인 718명을 대상으로 코비드19 백신 접종에 대한시민들의 의식 및 선호 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 중 88%가 사회적 거리두기 규칙 완화만으로는 백신 접종 동기부여가 안 된다고 답변했다. 정부는 지난 4월 말부터 ‘백신 버블’ 제도에 따라 가라오케 바, 사우나, 파티룸 등 사업장의 모든 직원과 방문 고객들이 최소 1차 백신 접종을 마쳤다면 사업을 재개할 수 있다. 식당의 경우, 백신 접종자들을 수용할 특정 구역을 설정해 테이블당 더 많은 인원수를 앉힐 수 있다.

 

응답자 29%만이 백신을 접종할 의향이 있다고 답변했다. 백신 접종 의향이 있다고 답변한 응답자 중 70%가 더 많은 사람들이 백신을 접종해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조금 더 관망하다가 백신 접종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답변했으며, 50%가 더 좋은 백신이 개발될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답변했다. 응답자 중 44%가 지금 당장 백신 접종을 해야 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고 말했다.

 

반면 34%가 백신을 맞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의사가 백신 접종을 권장하지 않기 때문에 접종하지 않는다고 답변한 사람은 단 6%뿐이었으며, 대부분은 백신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약 80%가 백신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고 생각했으며, 약 3분의 2의 응답자들은 백신 접종 이후 나타난 부작용 및 사망 사례로 인하여 백집 접종을 주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5%는 아직 백신 접종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변했다.

 

또한 응답자 중 24%만이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지만, 76% 이상이 만성질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혹여나 자신이 부작용이 나타날까봐 걱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프리 펑(Jeffrey Pong) 협회장은 “많은 시민들이 백신 부작용에 대하여 지나치게 걱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보고된 사례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흉부 압박, 두통, 미열 등 가벼운 신체적 반응을 보였을 뿐이다”라고 지적하며 “홍콩 전염병 상황이 다른 국가보다 심각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시민들이 백신을 접종하지 않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게다가 백신 접종 시작 이후 발생한 사망 사례 소식에 백신 접종을 더욱 주저하게 만들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제프리 펑 회장은 변이 바이러스가 지역 사회에 확산이 된다면 팬데믹 상황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며 이 같은 시민들의 관망 태세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이러스가 계속 변이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을 감염시킬 수 있다. 어쩌면 지금도 무증상 또는 최소한의 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여전히 거리를 활보하고 있을 수 있다”라고 경고하며 신체적 조건이 양호한 시민들은 가능한 빨리 백신을 접종할 것을 독려했다.

 

또한 그는 백신 안전성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를 해소해주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 후 사망 사례들에 대한 조사를 신속하게 진행해 시민들에게 공개해야 하며, 백신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백신 접종날 유급 휴가를 허용하는 등 다양한 유인책들을 마련해 시민들의 백신 접종 욕구를 향상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대기업에 백신 접종 의료팀 파견, 접종센터 영업시간 연장, 접종 센터 수를 늘리는 등 다양하고 유연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418.5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3 홍콩 지역 의원 겸직하는 입법 의원, 내년부터 급여 약 10%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4.26.
312 홍콩 춘절 단속 기간 HK$ 1억 3천만 상당 밀수품 적발.. 멸종 위기종, 마약, 담배, 술 종류도 다양해 file 위클리홍콩 19.04.26.
311 홍콩 ‘유엔 제재 위반 의심 혐의 건수’ 5년 새 13배 급증.. 화웨이 CFO 유엔 제재 위반 혐의로 체포로 유엔 제재 주목 file 위클리홍콩 19.04.26.
310 홍콩 美국무부, 중국 여행주의 경보 ‘2단계’ 발표 …홍콩 제외 file 위클리홍콩 19.04.26.
309 홍콩 강주아오 대교 홍콩세과, 신형 e-채널 100대 이상 설치 file 위클리홍콩 19.04.26.
308 홍콩 2019년도 날씨 전반적으로 ‘강수량이 많고 습할 것’으로 예상 위클리홍콩 19.04.23.
307 홍콩 홍콩교통부장관, 항구터널료 개편 제안 위클리홍콩 19.04.23.
306 홍콩 홍콩 백만장자 증가폭 1.5%로, 2014년 이래 최저 수준.. 작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침체가 주요 요인 file 위클리홍콩 19.04.23.
305 홍콩 택시 공식 어플 e택시 정식 출시, 우버 대항마로 나서.. 옥토퍼스 결제, 분실물 신고 등 우버가 없는 기능 지원 위클리홍콩 19.04.23.
304 홍콩 시중에서 판매되는 참치회 절반 이상 수은 함량 기준치 초과, 수산물 ‘안전’ 비상… 임산부, 영유아 활어 섭취 주의 위클리홍콩 19.04.23.
303 홍콩 하루 6명 온라인 쇼핑 사기 당해, 2018년 대비 35% 증가.. 신원 인증을 통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거래할 것 당부 위클리홍콩 19.04.23.
302 홍콩 70% 이상 공중 화장실 청소원, 식사 공간조차 없어, 화장실 내부 한 켠에서 끼니 때우는 경우도… 열악한 근무환경 위클리홍콩 19.04.23.
301 홍콩 피크 트램, 승객 수용력 높여 승객 탑승 대기 시간 대폭 단축 예정.. HK$ 6억 이상 투입해 보수 진행 위클리홍콩 19.04.23.
300 홍콩 심화되는 도로 체증, 전자식 도로통행료 도입 시급.. 1980년대 최초 도입 제안 이후 6번째 도입 시도 위클리홍콩 19.04.23.
299 홍콩 중국의 야심찬 대만구 프로젝트를 주목해야 하는 10가지 이유 위클리홍콩 19.04.23.
298 홍콩 하늘에는 영광! 땅에는 평화 – About Easter 위클리홍콩 19.04.16.
297 홍콩 센트럴-완차이 바이패스, 개통 한 달여 만에 공기 정화 시스템 고장 위클리홍콩 19.04.16.
296 홍콩 2018년 중독 사고 총 3,960건, 전년대비 사망자 수 줄어들어.. 문어독, 쥐약, 청소세재, 독초 등 중독 경로 다양해 위클리홍콩 19.04.16.
295 홍콩 원치 않는 텔레마케팅 전화, 규제 강화… 최고 HK$ 100만 벌금형 위클리홍콩 19.04.16.
294 홍콩 인구 1천 당 의사 단 1.9명, 국제 표준보다 낮아.. 해외 의사 면허 소지자에 대한 의료 활동 제한 완화 촉구 위클리홍콩 19.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