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그린슬립 1).jpg

2017년 12월1일부로 시행된 ‘CTP Green Slip 개혁’으로 CTP 납부금액이 하향 조정됨에 따라, NSW 주 정부가 2017년 11월30일 자정 이후 등록한 차량의 소유주에 한해 자동차 그린슬립 개정법 이전과 이후 납부금의 차액을 환급금으로 지급한다. 사진은 Service NSW 홈페이지의 환급신청 안내 화면.

 

2017년 12월 8일 이전 등록한 개인 및 상업용 차량 해당

 

2017년 12월1일부로 시행된 ‘CTP Green Slip 개혁’으로 CTP 납부금액이 하향 조정됨에 따라, NSW 주 정부가 2017년 11월30일 자정 이후 등록한 차량의 소유주에 한해 자동차 손해보상책임보험(Compulsory Third Personal Injury Insurance. CTP) 납부금의 일부 금액을 환급금으로 지급한다.

환급 대상은 모든 등급의 개인 및 상업용 차량이 포함되며, 다만 모터바이크는 제외된다. 환급금은 차량등급과 그린슬립이 시작된 날짜(월)를 기반으로 12개월 동안의 CTP 납부 금액에 따라 각기 다르게 계산된다.

예외적으로 중고차량을 2017년 11월30일 이전에 구매하고 이전서류(transfer papers)가 그해 12월8일 이전에 제출됐다면 해당 차량의 전 소유주는 환급금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2017년 말 가까이에 차량을 등록했을 경우 6개월간 납부금액을 기준으로 환급금이 지급된다. 작년 구매한 6개월짜리 CTP 그린슬립이 그해 12월 1일 이전에 만료된 경우에는 이번 환급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나, 만약 이후 그해 12월1일 이전 6개월짜리 그린슬립을 다시 구매했거나 갱신했다면 환불금액을 신청할 수 있다. 환급금은 오는 9월30일까지 Service NSW에서 신청할 수 있다.

개인차량 소유주의 환불금액은 대부분 10~120 달러 사이로, 그린슬립 등록일과 차량등급 및 차량이 등록된 장소에 따라서 다른 비율로 계산된다.

먼저 이번 환급금은 자신의 CTP 그린슬립 개혁 이전 납부금액과 개혁 이후 새로 변경된 납부 금액에서 발생된 차액을 지급하는 것으로, 한 차량의 그린슬립 시작일이 정책개혁 시행일과 얼마나 가까운지에 따라 다른 비율로 계산된다. 즉 그린슬립 시작일이 2017년 12월1일과 가까운 차량 소유주일수록 과거 정책에 따라 더 높은 금액을 납부했기 때문에 더 높은 환불 비율이 적용된다.

또한 지역별로 다른 비율이 적용되는 이유는 메트로 지역에 비해 외곽지의 그린슬립 납부금액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평균적으로 NSW 주 외곽지의 CTP 납부금액은 481달러인 반면 시드니 메트로 지역은 710달러이다.

시드니와 메트로 영역 밖에서 6개월짜리 그린슬립을 구매했다면 시작일이 2017년8월 이후인 경우에, 외곽지의 경우에는 시작일이 작년 11월 이후인 경우 환급액 신청이 가능하다. 또한 환급금액이 10달러 미만인 차량의 경우 행정비용으로 인해 환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소유주 본인의 차량이 이번 환급정책에 적용되는지의 여부는 Service NSW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환불 신청은 올해 9월30일까지이며, 주중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Service NSW의 CTP 환급 전용전화(1300 287 733)를 이용하거나 가까운 Service NSW를 방문해서 직접 신청할 수 있다.

환급금액은 개인의 은행계좌를 통해 지급되므로, 신청시 BSB 및 계좌번호를 알려줘야 한다. 이번 환급은 주 정부가 이미 보험사로부터 금액을 돌려받아 지급하는 것이므로 자신의 보험사에 따로 연락할 필요는 없다. 환급금의 계좌 입금은 신청일로부터 최대 10일까지 소요될 수 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그린슬립 1).jpg (File Size:66.4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뉴질랜드 강창희 국회의장 주최 동포 초청 간담회 굿데이뉴질랜.. 14.03.11.
6800 뉴질랜드 더니든 남성 99글자짜리 이름으로 개명 성공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9 뉴질랜드 주오클랜드분관 청사 이전 안내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8 뉴질랜드 2014 한인의날 Korean Day 안내 (3월 15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7 뉴질랜드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오리엔테이션 및 문제해설 특강 (4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6 뉴질랜드 총선 끝난 후 ‘뉴질랜드 국기 교체 여부’ 국민투표 굿데이뉴질랜.. 14.03.12.
6795 뉴질랜드 청소년 백일장 우리말 글쓰기 예선 합격자 굿데이뉴질랜.. 14.03.13.
6794 뉴질랜드 A형 간염 주의보 ‘감염자 접촉 사과, 복숭아 리콜’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3 뉴질랜드 대한민국 하키 여자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하키 여자국가대표팀과 공식 경기 예정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2 뉴질랜드 다음 정권은 9월 20일에 결판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1 뉴질랜드 기업체, 고유식별번호로 통합 관리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0 뉴질랜드 뉴질랜드, OECD중 단연 경제 성장률 높아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9 뉴질랜드 웰링턴 박지관 교수, 여왕메달(QSM) 수여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8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7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6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5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4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3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2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1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0 뉴질랜드 2014 오클랜드 한인의 날 성공리에 개최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9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매매중 1/4은 중국인이 사들였다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8 뉴질랜드 뉴질랜드 낮은 실업률, 고용시장 안정화 국면 file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제 상승곡선위에서 주춤주춤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6 뉴질랜드 교육부, 학생성적에 따라 학교운영비 지원 추진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5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4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3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2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1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0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69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8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공동위, 양국간 협력 강화 합의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7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6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5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4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3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2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1 호주 AFC 아시안컵축구, 북한 중국 우즈베키스탄 C조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0 호주 애보트 총리 “봉쇄 작전 큰 효과” 선언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9 호주 합참의장 출신.. 애보트 총리 측근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8 호주 2.5%.. 호주달러 미화 93센트 육박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1.
6757 뉴질랜드 국민 3분의 1 "수입 격차 점점 벌어지고 있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2.
6756 호주 여야, 군소정당 총력전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5 호주 바이키단체 변호사 ‘명예훼손’ 보상 청구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4 호주 스트라스필드시 연방, 주정부 입장 청취 후 처리 방침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3 호주 BP, 필립모리스 "호주 생산 중단" 발표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2 뉴질랜드 유아교육은 뉴질랜드가 미국보다 앞서 굿데이뉴질랜.. 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