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퇴직연금(superannuation)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는 한 밀레니얼 세대(Millenials)는 은퇴 이후 빈곤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들의 경우 이전 세대(베이비부머)에 달리 주택 소유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진단이다.
‘Centre for Independent Studies’ 지적, ‘퇴직연금’ 점검 필요
현재 호주의 퇴직연금(Superannuation. ‘수퍼’)을 바꾸지 않는다면 밀레니얼 세대(Millennials) 세대들은 은퇴 이후 빈곤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에 따라 정책 연구원들이 왕실위원회(Royal Commission)의 최근 금융 청문회를 계기로 현 연금 시스템의 개혁을 촉구했다고 금주 화요일(7일) ABC 방송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 은퇴자 가운데 3분의 1정도만이 안정적인 소득을 유지하고 있으며 65세 이상 고령층의 절반은 여전히 고령연금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낮은 수준이 퇴직연금 잔고는 은퇴 이후의 삶을 보장하지 못하며 특히 재정적으로 안정된 퇴직의 핵심 기반이 되는 주택 소유 기회가 거의 없는 밀레니얼 세대에게는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밀레니얼 세대라는 말은 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이들을 일컫는 말로, 미국 작가인 윌리암 스트라우스(William Strauss)와 닐 하우(Neil Howe)가 내놓은 ‘Generations: The History of America's Future’라는 책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정책 연구원들은 일부 ‘밀레니얼’들에게 의무적인 ‘수퍼’ 적립이 퇴직 이후의 삶을 위해 어느 정도 자금을 비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은퇴 이후 이에 의존하게 되면서 빈곤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 같은 의견은 호주 사회문제 싱크탱크인 ‘Centre for Independent Studies’(CIS) 연구원들이 제기한 것으로, 이들은 현 은퇴자의 생활비용과 이후 세대의 은퇴 비용 차이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CIS는 퇴직 연령의 사람들 및 그 연령대에 해당하는 이들 절반이 ‘수퍼’를 비축하지 못했음을 확인했다. CIS는 은퇴한 이들의 중간 ‘수퍼’ 잔액이 ‘제로’(O) 상태라는 것이다.
밀레니얼과 이전 세대인 베이비붐 세대의 가장 큰 차이는 베이비부머들 대다수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CIS의 사이먼 코완(Simon Cowan) 연구원은 “현재 은퇴한 이들의 경우 지난 2002년에서 2014년 사이, 이미 소유한 부동산을 통해 61%의 자산 증가를 일궜다”며 “현재 25세에서 34세 사이 세대 가운데 주택 가격 증가로 자산을 늘린 이들은 3%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밀레니얼과 베이비붐 세대간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이라는 점이다. 호주 정책연구소인 ‘그라탄 연구소’(Grattan Institute) 조사에 따르면 소득 수준이 낮은 현 25-34세 사이의 밀레니얼들이 주택을 소유할 확률은 5명 가운데 1명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코완 연구원은 현 ‘수퍼’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연방 정부에 촉구했다. 그는 “현재의 ‘수퍼’ 제도는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이들 중심이며, 기본적으로 본인의 주택을 갖고 있는 이들은 빈곤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면서 현 퇴직연금의 시스템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완 연구원은 이어 “이 제도가 새로이 구축되지 않을 경우 젊은 세대의 경우 은퇴 이후에도 적립된 연금이 거의 없거나 극히 적은 연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우리가 확인한 한 가지 명확한 사실은, 자기 주택을 소유한 이들은 그렇지 못한 이들에 비해 은퇴 이후 보다 윤택할 삶을 누리게 되리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대다수의 밀레니얼들은 이전 세대들이 가졌던 귀중한 투자 기회를 갖기 어려워 퇴직 이후의 안정적 재정 확보에 큰 우려를 갖고 있다는 진단이다.
금융 서비스 직종에 종사면서 젊은이들의 고용을 지원하는 사회단체 ‘ThinkForward’를 조직한 소냐 아라칼(Sonia Arakkal. 26)씨는 지난 수년 동안 자신이 적립한 ‘수퍼’ 밸런스가 적어 이를 확인하는 것조차 꺼릴 정도라고 말했다.
그녀는 “나는 물론 다른 많은 젊은이들이 고려하는 재정적 우선 순위에 퇴직을 대비한 준비는 고려할 상황이 못 되는 형편”이라며 “이는 우리 세대의 모든 이들이 안고 있는 고민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