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담배반입 1).jpg

호주는 전 세계에서 담배가격이 가장 높은 국가로, 이로 인해 담배 밀수 시도 또한 끊이지 않고 있다. 현재 호주 내무부가 규정한 무관세 반입 허용 기준은 한 명당 담배 25개피(25g)로, 이를 초과해 소지한 상태에서 신고를 하지 않고 반입하다 적발될 경우 세금과 벌금, 징역형 및 영주비자를 포함한 합법적 호주 체류 비자가 취소될 수 있어 반드시 규정을 지켜야 한다. 사진은 시드니 공항 세관 검색대.

 

높은 범칙금에 비자 취소까지 가능... 공항 내 세관, 단속 강화

25개피 또는 25g까지만 무관세 반입 가능, 규정 준수 ‘중요’

 

호주의 담배가격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아 1갑(20개피에서 50개피) 구입 가격은 약 25~50달러에 이른다. 전 세계 생활물가 지수 데이터베이스인 ‘눔비오’(Numbeo)의 담뱃값 순위에 따르면 호주에서 말보로(Marlboro) 담배 20개피 한 갑 가격은 미화 기준 19.95달러로, 세계 1위 가격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연방 재무장관이 2017년 9월부터 향후 4년간 담배에 부과되는 관세를 12.5%로 올리겠다고 발표함에 따라 호주의 담배가격은 갈수록 높아질 전망이다.

호주와 달리 ‘눔비오’의 담뱃값 차트에서 한국은 48위를 기록, 말보로(20개피 한 갑, 미화 기준)가 4.01달러에 판매되고 있어 담배 가격이 낮은 국가에 속한다.

이렇다 보니 담배가격이 저렴한 한국을 포함, 타국에서 많은 양의 담배를 구매해 귀국하려다 적발되는 사례가 빈번하며 이들 가운데는 상당량의 담배를 몰래 들여와 호주 내에서 불법으로 판매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어 관세청이 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한인동포 A씨는 최근 한국을 방문했다가 귀국하는 길에 담배 열 보루(100 갑)를 소지한 채 신고도 없이 시드니 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도중 세관 검사에서 담배 초과 소지가 적발돼 밀수 행위로 조사를 받고 5,000달러의 벌금을 물게 됐다. A씨는 지인들에게 저렴하게 판매해 항공권 비용을 상쇄하려 했다가 벌금으로 더 큰 돈을 날리게 됐다.

 

종합(담배반입 2).jpg

지난 7월 말, 중국계 범죄조직이 어린이 완구 수입품 속에 담배를 숨겨 반입했다가 적발된 사례(사진) 등 밀수 행위가 끊이지 않으면서 연방 경찰 및 세관이 단속을 한층 강화하고 있으며 공항 입국시의 담배 초고 반입에 대해서도 검색 수위를 높이고 있다.

 

범죄조직들의 대규모 담배 밀수 사례는 끊이지 않고 있다. 가장 최근인 지난 달에는 중국계 밀수 조직이 대량의 어린이 완구를 수입하면서 각 장난감 안에 담배를 숨겨둔 것을 세관이 적발했다. 한인 관련 사례로는 지난 2014년에는 한국산 담배 약 9만5천 개피를 밀수입하려던 한인 2명이 세관에 적발돼 관세법 위반 등 혐의로 징역 20개월에 추징금 10만332달러를 선고받은 일도 있다.

이런 대규모 밀수뿐 아니라 해외로 출국했다가 귀국하면서 담배를 무관세 이상 반입하다 적발되는 일도 끊이지 않는다.

호주 내무부(Department of Home Affairs)는 지난 2017년 7월 1일부터 승객이든 항공사 직원이든 상관없이 18세 이상 성인 한 명당 담배 25개피 또는 말아서 피우는 흡연용 토바코(tobacco) 25g까지만 무관세 반입을 허용하고 있다.

내무부는 호주 정부가 설정한 이 면세 제한 범위를 넘기게 될 경우 적발시 모든 품목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며, 벌금과 징역 또는 영주비자를 포함한 모든 합법적 체류 비자가 취소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제한된 규정량을 넘긴 물품은 반드시 세관에 신고해야 한다고 공지하고 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담배반입 1).jpg (File Size:72.7KB/Download:21)
  2. 종합(담배반입 2).jpg (File Size:51.8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51 호주 무서운 10대들, 대낮 길거리서 패싸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50 호주 야데나 쿠룰카, 올해 ‘Blake Art Priz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9 호주 NSW 노동당 의원, ‘Lockout Laws’ 재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8 호주 불법 마약 ‘택배’로 2주 만에 15만 달러 챙겨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7 호주 과격 테러리스트 샤로프 아내, 시리아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6 호주 호주 국민당, 바나비 조이스 의원 새 대표 선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5 호주 시드니 경기 호황, 호주 국가 경제 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4 호주 연립 여당 지지도 ‘시들’, 말콤 턴불 인기도 식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3 호주 호주 인구 빠르게 늘어, 16일 새벽 2400만 명 돌파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2 호주 NSW 아핀 로드(Appin Road), 호주 최악의 위험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1 호주 전문가들, “시드니는 여전히 좋은 부동산 투자 지역”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40 호주 시드니 마약 조직, 하루 120명에 마약 판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9 호주 수천의 저소득 가정, 원활한 인터넷 사용 어려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8 호주 “새 슈퍼감염 모기, ‘지카’ 바이러스 치료에 도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7 호주 호주 젊은이들에게 ‘평생 직업’ 개념 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6 호주 “시드니 ‘Lockout Laws’, ‘라이브 업소’에도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5 호주 ‘Sydney, 1788-2014, Taken before its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4 호주 ‘앵무새 죽이기’ 저자 하퍼 리, 8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3 호주 동성애자 탄압... NSW 정부, 38년만에 공식 사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2 호주 “100달러 고액권, 범죄자들의 탈세로 이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1 호주 호주 프리랜서 보도사진가, ‘세계 보도사진 대전’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0 호주 주말 시드니 경매, 일부 지역 낙찰가 폭등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9 호주 “호주인들, 비만 관련해 탄산음료 업계에 불만 제기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8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둔화, “성급한 전망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7 호주 고령자 케어-보건 분야, 향후 새 직업군 창출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6 호주 AFP, 향후 10년 내 경찰 인력 절반 ‘여성’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5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4 호주 의료 목적의 대마초 재배 법안, 연방의회 통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3 호주 원주민 출신 정치인 린다 버니의 ‘역사 만들기’는 진행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2 호주 다량 유통 50달러 위조지폐, 은행도 속을 만큼 정교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1 호주 전 세계 ‘Powerful Passports’ 순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0 호주 NSW, VIC에 비해 주정차위반 벌금액 3배 비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19 호주 The books that changed 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18 뉴질랜드 *(사)재외동포언론인협회 제공 고국방문 시 ‘가볼만한 곳’ 정보: ‘꽃과 호수, 신한류 예술의 합창’ 2016고양국제꽃박람회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6217 뉴질랜드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2.25%로 인하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6216 뉴질랜드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항에서 지카 바이러스 매개 모기 유충 발견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621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대 화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4 호주 시드니 자산가 늘어, 초호화 저택 수요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3 호주 NSW 주, 모든 공무원에 탄력근무제 적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2 호주 시드니 남서부 잉글번서 총기 난사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1 호주 파라마타 카운슬, 시드니 CBD까지의 직행기차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0 호주 시드니 최고 부유층 거주 지역서 마약 파티?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9 호주 IS는 어떻게 젊은이들을 세뇌시키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8 호주 은퇴 정치인 연금으로 올 4천만 달러 예산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7 호주 ‘에어비앤비’, 75년 전통의 ‘백패커 숙소’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6 호주 호주, ‘파리 테러’ 이은 IS의 다음 테러 목표 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5 호주 Top 10 most underrated place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4 뉴질랜드 웰링턴 부동산 시장 활발, RV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돼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1.
6203 호주 열기구에서 본 멋진 켄버라 file 한호일보 16.03.14.
6202 호주 서호주 순경의 애틋한 ‘캥거루 사랑’ file 한호일보 16.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