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민권).jpg

호주 시민권 승인을 기다리는 이들이 지난 3년 사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턴불(Malcolm Turnbull) 집권 당시 4만6천 명이던 시민권 심사 대기자는 올해 2월 현재 24만 명을 훌쩍 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계 거주자 승인 비율이 크게 하락했다.

 

2015년 턴불 집권 이후 425% 증가, 중국계 거주자 승인비율 낮아져

 

최근 수년 사이 연방 정부가 승인한 시민권 비율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던 중국계 거주자에 대한 시민권 신청 승인 비율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근래 호주 사회의 주요 이슈로 부각된 호주-중국간 정치 및 외교적 갈등의 영향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가 입수, 보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회계연도(2017-18년) 첫 8개월(2017년 7월부터 2018년 2월) 동안 중국계 시민권 신청에 대한 승인은 1,559명으로, 이는 2016-17년 한해 6천500명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이다.

이전 회계연도(2015-16년) 중국계 거주민의 시민권 신청은 약 1만 명에 달했으며 이들 중 8천 명이 넘는 이들에게 시민권이 승인됐다.

지난 2012년에서 2016년 사이, 호주 전체 시민권 신청자 가운데 중국계 거주민은 6%, 승인 비율 또한 6%에 달했다. 호주 내부무(Department of Home Affairs) 자료에 따르면 지난 수년 사이 중국계 거주민의 시민권 취득 비율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됐지만 지난해 회계연도 시작(2017년 7월1일) 이후 올 2월까지 승인율은 전체의 3% 미만으로 급격하게 줄었다.

이는 비록 2017-18년 회계연도 중 8개월의 수치이지만 이전 연도와 같은 수준이 되기 위해서는 올 2월 이후부터 6월30일까지 대부분 신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같은 기간(2017년 7월1일부터 2018년 2월까지) 인도계 거주자의 시민권 신청 비율은 이전 년도 15%에서 18%로, 영국계 거주자는 14%에서 16%로 증가했다. 남아공계 거주민 승인 비율 또한 3%에서 5%로 늘어났다.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는 최근 의회 연설에서 중국 당국의 호주내 정치-학술-군사적 이익에 대한 영향력 증가로 손상된 호주-중국간 관계 회복을 위한 방안을 거론한 바 있다.

그런 가운데 호주 내 중국계 커뮤니티는 중국 당국의 영향력이 현지 거주민의 시민권 승인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지 않는 분위기이다.

연방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에서 수석 약사로 근무했던 홍콩 출신의 샘 웡(Sam Wong)씨는 “지난 45년간 호주에서 거주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년여 기간은 내가 경험한 최악의 해였다”라면서 “호주와 중국간 정치적 긴장이 호주내 중국계 거주자에 대한 시민권 승인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중국계 기업인들의 호주 정계에 대한 로비와 지나친 정치 후원,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중국계 인사의 호주 주요 대학 기금 지원 등이 정치-사회적 이슈로 등장했으며 사회 일각에서 반중국 정서가 대두된 것을 언급한 것이다.

웡씨는 지난 1999년 호주 다문화에 이바지한 공로로 ‘Order of Australia’ 메달(민간 및 군사 부문에서 수여하는 시민 대상 훈장 메달로,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에게 수여한다)을 수훈한 바 있다.

자유-국민 연립 정부의 주요 공직을 맡고 있는 보수 정치인들은 특히 올 들어 호주가 수용하는 이민자 수를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한 시민권 승인 요건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이는 상원에서 연기된 바 있다.

호주 정계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행사 시도는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지난 5월, 서부 호주 캐닝(Canning, WA)을 기반으로 하는 자유당 소속 앤드류 해스티(Andrew Hastie) 하원의원이 의회 면책 특권을 사용해 중국계 호주 기업인들의 정치 뇌물을 고발(본지 5월25일 자-1294호 보도)하면서 큰 파장을 몰고 온 바 있다.

지난 주 금요일(17일), 페어팩스 미디어가 입수한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중국계 시민권 신청 및 승인에 대해 연방 시민권 및 다문화부의 알란 텃지(Alan Tudge) 장관은 구체적인 언급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다만 내부무 대변인은 “연방 정부는 특정 국가 출신 거주민(영주비자)의 시민권 심사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고 말했다.

멜번에 거주하는 중국계 조 마(Zoe Ma)씨는 시민권을 신청한 이후 17개월째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시민권 신청 중 해외로 나갈 경우 이의 심사가 중단될 것을 우려한 그녀는 할머니를 보기 위해 중국을 방문하는 것조차 미뤄 왔고, 지난 7월 그녀의 할머니는 사망했다. “너무 슬프고 화가 났다”는 그녀는 “그것(시민권)이 언제 승인될런지 누구도 말해주지 않았다”고 하소연했다.

호주에서 시민권을 취득하지 않은 거주자는 공무원 직종에 신청하거나 정부 지원의 학비 융자(HECS-HELP)가 불가능하다. 또한 외국에 거주하는 가족의 호주 거주 비자 스폰서 역할을 할 수도 없으며 호주 내에서 투표권도 부여되지 않는다.

페어팩스 미디어에 따르면 시민권 신청에 대한 연방 정부의 심사 건수는 300%까지 늘어난 상태이다. 하지만 내무부의 새 자료는 ‘심사대기’가 더 심각해 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시민권을 신청한 뒤 승인을 기다리는 이들은 올 2월 18만8,848명이었지만 6월에는 24만1,606명으로 늘어났다. 이 수치는 턴불이 집권하던 2015년 4만5,985명에 비해 425%가 늘어난 것이다.

호주 시민권 신청자에 대한 보안 검사는 내부무에서 진행된다. 연방 정부는 이처럼 시민권 수여 심사가 지연되는 것에 대해 노동당 정부 당시 받아들인 5만 명의 난민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 난민 가운데는 서류 하나 없이 호주에 발을 디딘 이들도 많다는 것이다.

한편 호주 감사원(Australian National Audit Office)은 내년 1월 연방 정부의 시민권 심사 절차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 일부 국가 출신 시민권 승인 수

(2012-17년 사이. 국가 : 2017-18 / 2016-117 / 2014-15 / 2012-13년-명)

-India : 10,168 / 22,006 / 21,853 / 18,271

-UK : 9,195 / 19,617 / 19,229 / 19,056

-South Africa : 2,617 / 5,219 / 6,384 / 7,989

-Philipines : 2,399 / 8,745 / 8,753 / 8,757

-Sri Lanka : 1,962 / 4,282 / 3,533 / 2,646

-China : 1,559 / 6,513 / 6,841 / 8,016

Source: Department of Home Affairs, 2018. *Figures as of February 28, 2018.

 

■ 2018년 2월 현재 시민권 승인 대기자 수

2012-13년(노동당 집권 당시) : 33,634명

2013-14(Abbott 정부 / 자유-국민 연립) : 26,920명

2014-15(Abbott 정부/ 자유-국민 연립) : 22,952명

2015-16(Turnbull 정부 / 자유-국민 연립) : 45,985명

2016-17(Turnbull 정부/ 자유-국민 연립) : 106,383명

2017-18(Turnbull 정부 / 자유-국민 연립) : 241,606명

Source: Department of Home Affairs, 2018.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시민권).jpg (File Size:64.5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51 호주 호주 실업률 6.4%, 12년래 최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0 호주 ‘Islamic State’의 소셜 미디어, 호주 내 테러 위협 높여 호주한국신문 14.08.14.
6449 뉴질랜드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오클랜드 통일강연회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8.15.
6448 호주 시드니 부동산, 전년 동기간의 ‘활황기’ 돌아오나...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7 호주 스트라스필드 봄 축제, 한국계가 메인 무대 장식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6 호주 한국관광공사, 명예 홍보대사로 임다미 위촉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5 호주 이휘진 총영사, 한인 워홀러들 작업장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4 호주 한국 ‘장애청년드림팀’, 한인회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3 호주 외곽 오지 지역 센터링크에서도 시민권 시험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2 호주 “모든 고용주, 차별금지법 숙지해야...”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1 호주 ‘나플란’ 시험 쓰기 과목, “너무 어렵다” 지적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0 호주 이민부, 난민 아동에 임시보호비자 발급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9 호주 그린필드 파크서 칼에 찔린 남성 사망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8 호주 캔버라 지역, 호주에서 평균 임금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7 호주 ‘국제적 비난’ 칼레드 샤로프, 그는 누구인가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6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가담 관련 법안 추진 설명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5 호주 부동산 투자 비자 정책으로 주택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4 호주 취재수첩-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총회?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3 호주 텔스트라 ‘콜센터’, 5년 이내 사라질 것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2 호주 클리브 팔머 대표, 중국 정부에 대한 ‘막말’ 사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1 호주 시드니 시티, ‘인종차별 규탄안’ 만장일치로 통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0 호주 “아시안컵 성공 개최 위해 한인사회 적극 협력...”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9 호주 “이너 시드니 아파트, 공급 과잉 불러올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8 호주 ‘크리스마스 섬 난민신청자 처우’에 집단소송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7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 억제 위해 6천400만 달러 배정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6 호주 정부법률가, 총기소지 및 마약거리 혐의로 기소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5 호주 “마리화나, 젊은 층 정신질환 치료 이용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4 호주 NSW 새 음주법 도입 6개월, 뚜렷한 변화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3 뉴질랜드 아시아권 언어교육에 1천만 달러 투자 굿데이뉴질랜.. 14.09.01.
6422 뉴질랜드 국민당, 소득 중하층 첫 집 구매 시 최고 2만 달러 지원 예정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1.
6421 뉴질랜드 슈퍼마켓 주인, 3년간 매주 유치원에 과일 상자 기부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6420 뉴질랜드 남극지하 생태계는 외계 생명체 존재 시사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6419 뉴질랜드 NZ언론 초청- 공중보건 협회 주관 포럼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3.
6418 호주 올 겨울 기간, 시드니 부동산 가격 5% 급등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7 호주 소비자 보호기관, 휴가예약시 주의사항 권고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6 호주 한국문화원, 2014 한국어도서 독후감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5 호주 캐나다베이 카운슬 ‘페라고스토 축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4 호주 어번 카운슬, ‘Festival of All Abilities’ 공동 주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3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낙찰률, 올 들어 최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2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1840년대 코티지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1 호주 시드니 주말시장의 상징, ‘로젤 마켓’ 종료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0 호주 시드니 도심 초등학교, 교실 부족 사태 직면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9 호주 네드 켈리 수감됐던 빅토리아 주 감옥, 매물로 나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8 호주 올해 멜번컵, 예상치 못한 ‘Prince Of Penzance’ 우승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7 호주 NSW 주 정부, 강화된 대테러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6 호주 노틀담 대학 시드니 캠퍼스, IB 교수 과정 도입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5 호주 50세 이상 호주 고령층,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4 호주 카운슬 합병, “확고한 계획 없다는 게 이상하다”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3 호주 턴불 수상의 세제개혁안에 일부 자유당 의원들 ‘반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2 호주 투자의 귀재, 호주판 ‘워렌 버핏’은 누구일까 호주한국신문 15.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