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태회장, 정관위반 행위 등 분쟁 조정 끝내 거부

분쟁조정위, “심의 종결”…내무부, “조정결과 기다리고 있다”

오클랜드 한인회 박세태회장의 정관위반 행위 등에 관한 분쟁은 결국 한인사회 내부에서 해결되지 못하고 뉴질랜드 정부 등 외부의 힘에 넘어가게 됐다.

 

2015년 한인회를 조사한 내무부가 한인회 내부의 분쟁을 자체적으로 해결할 조직과 과정을 갖추라는 지시를 내려 설치된 분쟁조정위원회가 첫 사례에서 한인회장의 ‘몽니’로 제 기능을 못하게 된 것이다.  <관련 기사 -43면>

 

오클랜드 한인회를 상시 감시단체로 지정한 내무부가 한인회의 분쟁조정위원회 무력화 사태를 어떻게 처리할 지 우려된다.

 

한인회 분쟁조정위원회(이하 분조위)는 16일 분쟁조정의 피신청인인 박회장이 분쟁 조정 참여를 거부하여 심의를 종결한다고 발표했다.

 

분조위는 결정문을 통해  “지난6월 25일 조정신청서를 접수, 한인회 정회원 40인 이상의 서명으로 제기된 분쟁인지의 여부를 판단 후, 조정절차를 개시했다”며  “박세태회장의 조정신청서 및 반박문 언론공개와 분조위를 향한 2차례의 공개경고문 언론 게재 등의 공격적인 행위에도 불구하고 내규의 비밀유지 조항을 준수하며 교민사회의 평안과 원만한 분쟁조정을 위하여 여러 차례 공문과 만남을 통해 박세태회장에게 게 분쟁조정에 참여하도록 권유했다”고  설명했다.

 

 

분조위는 “박세태회장의 분쟁조정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이 변경되지 않은 부분, 한인회 정회원이 정당한 절차를 거쳐서 제기한 분쟁을 분쟁이 아니라고 자체 판단 한 부분, 자격있는 분쟁조정위원들이 적절한 절차를 걸쳐 만든 내규를 인정하지 않은 부분 등의 적절하지 못한 이유를 들어 분쟁조정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전달한 박세태회장의 입장에 유감을 표명하며, 박세태회장이 분쟁조정을 거부하여 심의를 종결하기로 결론을 지었다”고 밝혔다.

분쟁조정 정관 규정.jpg

 

분조위는 또 “현 분쟁조정위원들은 일정기간 동안의 추천과 총회를 통해 승인된 구성원”이라며 “2차 경고를 표시한 8월 4일자 한인회 공문을 철회하고 근거없는 내용에 기반해 경고를 보낸 것에 대해 사과하라”고 한인회장에게 요청했다.

 

한인회 분쟁조정위원회는 2015년 오클랜드 한인회를 조사한 내무부의 지시로 정관에 관련 조항이 삽입됐다.

 

이후  2017년 총회에서 심재현 위원장과 이중열(공인회계사) 최유진(변호사)김현욱(오클랜드 시티 카운슬) 이준영(변호사) 등 5인의 위원이 선임돼 한인회의 독립 특별위원회로 발족했다.

 

한편  한인회 분쟁상황을 주시하고 있는 내무부 관련부서는 분쟁조정위원회의 결론을 파악한 뒤 조사방향을 정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분쟁 조정위 입장 비교표.docx

  • |
  1. 분쟁조정 정관 규정.jpg (File Size:125.4KB/Download:12)
  2. 분쟁 조정위 입장 비교표.docx (File Size:20.4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63 뉴질랜드 노스코트 도로계획 새로 손본다 file 굿데이뉴질랜.. 15.06.06.
962 호주 철광석 재벌 지나 라인하트, 최고 부자에 호주한국신문 15.06.04.
961 호주 ‘MyMaster’ 에세이 부정, 조사 결과 속속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5.06.04.
960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최소임금 2.5% 인상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6.04.
959 호주 지나 라인하트, 50억 달러 가족신탁기금 운영권 잃어 호주한국신문 15.06.04.
958 호주 오는 10월 시드니 도심 경전철 공사 시작 호주한국신문 15.06.04.
957 호주 호주인 150만명, 자신의 신부전증 자각 못해 호주한국신문 15.06.04.
956 호주 NSW 주 정부의 ‘전력민영화’ 법안, 상원 통과 예상 호주한국신문 15.06.04.
955 호주 NSW 경찰, 수백 개 마약 제조실 수사 밝혀 호주한국신문 15.06.04.
954 호주 어번 카운슬, ‘Refugee Camp in my Neighbourhood’ 추진 호주한국신문 15.06.04.
953 호주 맥콰리대학 한국어 강좌, ‘시드니 세종학당’으로 호주한국신문 15.06.04.
952 호주 한국문화원, ‘Korean Language Week’ 계획 호주한국신문 15.06.04.
951 호주 한국문화원, 캠시 음식축제서 ‘한국 알리기’ 호주한국신문 15.06.04.
950 호주 시드니한인회-한국소비자원, 업무협약 체결 호주한국신문 15.06.04.
949 호주 선관위, 백-방 후보에 당선증 수여 호주한국신문 15.06.04.
948 호주 주택가격 ‘버블’?... 상승세 멈추게는 못할 것 호주한국신문 15.06.04.
947 뉴질랜드 야당 “정부 부처 건물 앞 표지판에 4만여 달러 투자돼” 비난 file 굿데이뉴질랜.. 15.06.04.
946 뉴질랜드 인도 레스토랑 오너 부부 매출 100만여 달러 미신고로 8개월 가택구금형 file 굿데이뉴질랜.. 15.05.29.
945 호주 마틴 플레이스 린트 카페 인질범 사생활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5.05.28.
944 호주 ‘악명’ IS 칼레드 샤로프 가족, 호주 귀국 모색 호주한국신문 1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