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원료 밀수혐의로 구속된 20대 한국인 여성 A씨가 수감 212일만에 무혐의 처분을 받고 석방됐다.

A씨는 2017년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호주에 입국했으며, 2018년 1월 18일 영문도 모른체 집으로 들이닥친 호주 경찰에 의해 마약원료 밀수혐의로 체포됐다.

지인의 부탁을 받아 의심하지 않고 수화물을 전달해 주기로 했을 뿐 내용물이 마약원료인 것을 전혀 몰랐다고 주장해 왔다.

A씨의 친오빠 B씨는 “호주에서 워킹 홀리데이 중인 여동생이 마약 미수로 구속됐다”라는 제목으로 2월 11일 청와대 게시판에 청원글이 게재한 바 있다.

당시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친오빠 B씨는 여동생에게 우편을 보낸 김씨가 같은날 다른 사람들에게 동일 내용의 도움을 요청한 정황이 있다며, 착한 동생이 이를 수락해 피해자가 됐을 뿐, 동생이 아니었어도 다른 피해자가 나왔을 것이라 호소했다.

김씨는 제보자 C씨에게도 아는형이 제약회사를 운영중으로 샘플을 30박스 정도 호주에 보낼 예정인데 도와달라 요청했다. 구속 수감된 A씨 이외도 여러명에게 같은 요구사항을 했었던 것.

A씨는 수감된지 212일만인 지난 8월 17일 무혐의로 판명났다.

주호주한국대사관은 “호주사법당국에 의해 신속‧공정한 처리가 되도록 호주 당국과 교섭해 왔으며, 본인 및 가족과 접촉해 필요한 영사 조력을 제공해 왔다”며, “앞으로도 호주에 체류하고 있는 재외국민의 안정과 권익을 위해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며, A씨는 조만간 한국으로 귀국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A씨는 호주 정착 과정에서 지인을 통해 한 여성을 소개받았고, 그녀의 남자 친구인 김씨가 한국으로 돌아가면서  호주로 직원이 가기 전까지 한국에서 택배로 보내는 물건을 받아주면 소정의 사례를 하겠다며 부탁을 했다. A씨는 별 의심없이 자신의 주소를 알려주었는데 A씨 앞으로 배달된 수화물 안에는 다량의 마약원료인 슈도에페드린(Pseudoephedrine)이 있었던 것.

이 수화물은 배송 도중 인도네시아 세관에서 적발돼 호주 당국에 통보됐다. 총 6박스 안에 100병이 들어있었고, 각 병당 1000정으로 총 10만정의 알약이 담겼다. 무게는 약 109kg으로 시가 약 120억원의 마약 원료로 추산됐다.

http://topdigital.com.au/node/6323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283 호주 토니 애보트 정부, 국내 자생 테러 대책 강화 호주한국신문 15.05.28.
2282 호주 “확대되는 빈부격차, 고소득자 세금 높여야...” 호주한국신문 15.05.28.
2281 호주 “호주, 교통 혼잡으로 연간 530억 달러 손실” 호주한국신문 15.05.28.
2280 호주 ‘악명’ IS 칼레드 샤로프 가족, 호주 귀국 모색 호주한국신문 15.05.28.
2279 호주 마틴 플레이스 린트 카페 인질범 사생활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5.05.28.
2278 뉴질랜드 인도 레스토랑 오너 부부 매출 100만여 달러 미신고로 8개월 가택구금형 file 굿데이뉴질랜.. 15.05.29.
2277 뉴질랜드 야당 “정부 부처 건물 앞 표지판에 4만여 달러 투자돼” 비난 file 굿데이뉴질랜.. 15.06.04.
2276 호주 주택가격 ‘버블’?... 상승세 멈추게는 못할 것 호주한국신문 15.06.04.
2275 호주 선관위, 백-방 후보에 당선증 수여 호주한국신문 15.06.04.
2274 호주 시드니한인회-한국소비자원, 업무협약 체결 호주한국신문 15.06.04.
2273 호주 한국문화원, 캠시 음식축제서 ‘한국 알리기’ 호주한국신문 15.06.04.
2272 호주 한국문화원, ‘Korean Language Week’ 계획 호주한국신문 15.06.04.
2271 호주 맥콰리대학 한국어 강좌, ‘시드니 세종학당’으로 호주한국신문 15.06.04.
2270 호주 어번 카운슬, ‘Refugee Camp in my Neighbourhood’ 추진 호주한국신문 15.06.04.
2269 호주 NSW 경찰, 수백 개 마약 제조실 수사 밝혀 호주한국신문 15.06.04.
2268 호주 NSW 주 정부의 ‘전력민영화’ 법안, 상원 통과 예상 호주한국신문 15.06.04.
2267 호주 호주인 150만명, 자신의 신부전증 자각 못해 호주한국신문 15.06.04.
2266 호주 오는 10월 시드니 도심 경전철 공사 시작 호주한국신문 15.06.04.
2265 호주 지나 라인하트, 50억 달러 가족신탁기금 운영권 잃어 호주한국신문 15.06.04.
2264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최소임금 2.5% 인상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