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7년 간도동포의 생활실태 큰 의미” 윤창희위원장
Newsroh=노창현기자 newsroh@gmail.com
“1927년도의 간도지방 답사는 도산의 위대한 면을 보여줍니다.”
미주흥사단 윤창희 위원장은 도산 안창로가 지금으로부터 91년전인 1927년 우리 민족의 땅 간도에 있는 동포들의 참상을 생생하게 기록한 시찰담(視察談)에 대한 역사적 측면을 강조했다.
최근 ‘독서동맹 운동’을 통해 안창호의 재발견을 조명하고 있는 미주흥사단에 따르면 간도 시찰담은 도산이 1927년도에 간도에 거주한 한민족의 상황을 직접 보고 상해로 돌아와서 8월 16일 오후 8시에 프랑스의 관할 지역인 삼일당에서 시찰 보고를 한 것이다.
간도는 지리적으로 한반도와 만주 사이에 낀 땅이다. 이 땅은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땅으로 한민족이 오랫동안 살았던 땅이었다. 일본은 간도를 청나라로 넘기고 만주에 괴뢰국을 창설하였다. 간도의 지리적 현황으로 보면, 이 땅이 수천년동안 한반도와 같은 운명의 선상에 있다는 것을 한눈에 볼 수가 있다. 일제의 식민지 지배로 한민족은 간도 땅을 잃어 버렸다.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만주에서는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기 시작하고 수많은 독립군 양성기관이 설립되고 무장한 독립군 부대가 편성되었다. 이들은 국경을 여러 번 넘어 국내의 일제 식민통치기관을 타격하였다. 일제는 만주의 중국 군벌까지 그들 편으로 끌어들여 합동으로 독립군 토벌작전을 벌였다. 그러나 만주 거주 조선 민중의 저항과 중국 군대의 비협조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1920년 10월 일제는 중국 마적을 사주하여 혼춘현 일본 영사관을 고의로 습격하게 하고 이를 빌미로 일본군을 대거 만주로 출병 시켰다. 일본군은 정규군 3개 사단, 25,000명에 달하는 막강한 관동군 병력을 동원하였다. 독립군을 추격하던 일본군은 청산리전투와 봉오동 전투에서 오히려 독립군에게 패하자 이에 보복으로 조선인을 무차별로 학살하는 작전을 전개하였다. 10월 9일에서 11월 5일까지 27일간 간도 일대에서 학살된 조선인은 확인된 수만 해도 3,500 여명에 이르지만 3~4개월에 걸쳐 만행이 자행된 숫자를 합치면 피해 조선인은 적어도 수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은 러시아령 연해주에 살던 조선인들에게도 똑같은 만행(蠻行)을 자행하였다.
윤창희 위원장은 “도산이 간도를 방문한 1927년도는 간도참사가 일어난지 약 6, 7년 정도 지난 후의 일이었다. 도산이 본 간도 지역의 동포들의 참상(慘狀)은 말로 표현하기가 힘들다. 나라없는 피난민(refugee) 신세였다. 현재 시리아, 리비아 같은 내전을 겪는 난민들과 그 참상이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도산은 간도지역의 동포들의 생활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하루 세끼 먹는 것, 자는 것, 입는 것이 부족한 동포들의 생활을 보았고, 이 처참한 환경을 1927년 8월 16일에 상해에서 보고하는 것이었다.
시찰담에 따르면 당시 피난민 신세의 한민족은 의식주를 해결할 수가 없었다. 도산은 가슴이 메어져서 연설이 중단되곤 했다. 간도 지역의 동포들은 정착하여 살만하면, 빚만 늘어가는 삶이었다. 한해가 지나면 빚이 두배로 불어나는 장리 빚이다. 중국인의 차별, 일본인의 이간질 등으로 한민족은 설 땅이 없어졌다.이것이 일본이 원하는 것이었다. 독립운동의 후방기지를 철저히 파괴함으로써 무장 투쟁의 근원지를 없앴다.
윤창희 위원장은 “도산을 흔히 실력양성론가 혹은 교육독립운동가로 좁은 의미의 인물로 묘사하는 데 그렇지 않다. 도산은 항상 일본과는 피할 수 없는 전쟁을 해야한다고 믿었다”고 밝혔다.
당시 도산은 만주지역의 무장독립운동 단체의 대표로 추대됐다. 간도 지역의 시찰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1907년 비밀 결사조직인 신민회(新民會)의 대표적인 사업이 무장투쟁이었다. 실제로 도산은 신민회 시절 망명하였을 적인 1909년도에 만주와 시베리아 근처에 무장독립운동을 할 거점을 두루 살펴보았다.
윤창희 위원장은 “1927년도의 간도지방 답사는 도산의 위대한 면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도산은 책상에 앉아서 독립운동을 지휘한 사람이 아니었다. 그는 항상 백성의 생활로 들어갔다. 1917년 1918년도의 도산이 멕시코를 방문하여 약 10개월 동안 동포들과 생활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도산은 가는 곳마다 백성들의 생활을 챙겼다. 1905년도의 공립협회도 마찬가지이다.
윤창희 위원장은 “8월 16일은 도산이 상해 삼일당에서 1927년 8월 16일에 연설한지 꼭 91년째 되는 날이다. 이날 도산은 백성들의 삶과 고통을 이야기 하면서 울었다. 당시에도 민족주의자 사회주의자 등으로 독립운동 중에서도 이론 및 사상 투쟁이 심각한 수준이었던 모양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도산은 분열을 경고하였다. 지금의 한국 사회의 진보와 보수의 분열과 똑 같다. 도산은 이론적으로 독립운동을 한 것이 아니라, 생활로, 자신을 본보기로, 실천으로 독립운동을 하였다. 행동하다 보니, 도산의 생각과 말들이 사상이 되고 철학이 된 것이다. 그는 백성과 항상 함께 있었다. 이 사람이 바로 도산이다”라고 강조했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