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머독).jpg

턴불 총리의 사퇴와 모리슨 전 재무장관의 대표직 선출 및 총리 취임으로 일단락된 ‘자유당 내전’과 관련해 케빈 러드(Kevin Rudd) 전 총리가 턴불 축출의 핵심 배후 인물로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전 총리와 루퍼트 머독(Rupert Murdoch) 뉴스 코퍼레이션(News Corp) 회장을 지목하면서 “호주 민주주의를 훼손시키는 인물들”이라고 비난을 쏟아냈다. 사진은 호주, 미국, 영국 등에서 미디어를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루퍼트 머독.

 

케빈 러드 전 총리, ‘자유당 내전’ 배후 핵심 인물로 두 보수인사 지목

 

집권 자유당의 내부 분열로 지난 8월24일(금)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가 사퇴하고, 스콧 모리슨(Scote Morrison) 재무장관이 집권 여당 대표로 새 총리 자리를 차지한 가운데 케빈 러드(Kevin Rudd) 전 총리(노동당)가 턴불을 밀어낸 ‘자유당 내전’의 배후 인물로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전 총리와 루퍼트 머독(Rupert Murdoch) 뉴스 코퍼레이션(News Corp) 회장을 지목하면서 비난을 쏟아냈다.

금주 월요일(27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러드 전 총리는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에 직접 의견서를 전달해 “호주 민주주의를 훼손시키고 정치폭력 소동을 일으키고 있다”며 이들을 비난했다.

이번 자유당 당권 경쟁은 지난 8월21일(화), 턴불 총리와 피터 더튼(Peter Dutton) 내무장관의 1차 대결(48대35로 턴불이 앞섰음)에 이어 24일(금)다시 자유당 의원 전체 투표가 진행되면서 턴불이 사퇴한 가운데 최종적으로 스콧 모리슨 전 재무장관과 더튼의 대결로 압축, 모리슨이 45대40으로 더튼을 꺾고 새 대표로 선출됐다.

러드 전 총리는 “호주 정치가 여론조사에 대한 집착과 어린 정치인들 주도의 ‘젊은 노동당/젊은 자유당’ 문화에 중독됐다”고 표현했다.

2007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노동당 대표로 26대 총리를 역임했던 러드 전 총리는 같은 당 줄리안 길라드(Juliia Gillard) 의원의 도전으로 당 대표 자리를 빼앗겼다가 2013년 6월 다시 총리직을 ‘재탈환’했다. 그러나 그 해 9월 총선에서 자유당에 패했으며 얼마 뒤 정계에서 사퇴했다.

러드 전 총리는 의견서에서 “호주 정치를 망치는 가장 큰 요인은 호주 민주주의의 최대 암(cancer)적 존재로 불리는 토니 애보트 전 총리와 머독 회장에 대한 부정, 중독성, 혐오”라고 주장했다.

러드 전 총리의 집권 시기는 여야 간에 전례 없는 정치적 유혈사태가 있던 시기로, 25대 총리직을 역임했던 존 하워드(John Howard. 1996-2007) 전 총리 이후 지난 10년 간 호주에는 7차례나 총리가 교체됐다. 이에 따라 이번 자유당 내 턴불 총리 축출 사건은 호주 정치계에서 보수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러드 전 총리는 의견서에서 “애보트 전 총리는 오로지 무슨 수를 써서라도 정치계에서 이기겠다는 생각 뿐, 정책에는 신경을 쓴 적이 없다”며 “그의 주도로 실행된 긍정적인 정책은 하나도 없다”고 비판했다.

러드 전 총리는 집권 당시 뉴스 코퍼레이션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으며, 뉴스 코퍼레이션에서 발행하는 전국 일간지 ‘디 오스트레일리안’(The Australian) 전 편집국장 크리스 키첼(Chris Mitchell) 아들의 대부(godfather) 급으로 여겨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번에 그가 페어팩스 미디어에 전달한 의견서에는 뉴스 코퍼레이션에 대한 신랄한 비난이 포함되어 있다.

러드 전 총리는 “머독은 언론사를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상업적 목적을 가지고 자신의 극우 이념적 견해를 드러내는 하나의 정치적 당을 운영하고 있다”고 힐난했다.

머독은 호주 출신이며 영국 일간지 ‘더 선’(The Sun)과 미국의 24시간 뉴스 전문 채널 ‘폭스뉴스’(Fox News) 등을 소유한 미국 언론재벌로,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EU 탈퇴)를 뒤에서 주도한 인물 중 하나로 지목되기도 했다. 그가 ‘더 선’을 통해 브렉시트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힌 탓이다. 미국에서 폭스 뉴스는 2009년 공화당(The Republican Party) 주도로 시작된 극우 민족주의 운동 ‘티파티’(Tea Party)를 홍보하고, 트럼프(Donald Trump)의 승리를 도운 일등공신 언론사로 여겨지고 있다.

호주에서는 수십 년간 부유층의 세금인하 정책 지지, 기후변화 대응 탄소배출 규제 내용을 담은 ‘파리기후협약’(Paris Agreement)에 따른 정책 반대 및 다문화주의 정책을 반대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턴불 전 총리 지지측은 이번 ‘자유당 내전’을 놓고 뉴스 코퍼레이션과 동 기업이 소유한 영국기반 뉴스전문 채널인 스카이 뉴스(Sky News)의 적극적 지지가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이 외에도 채널나인(Channel 9) 방송인 레이 하들리(Ray Hadley)와 페어팩스 미디어가 소유한 라디오 방송국 2GB.com의 진행자 앨런 존스(Alan Jones) 등 호주의 유명 방송인들도 턴불 총리의 사퇴를 지지한 인물들로 꼽히고 있다.

채널 나인의 크리스 울만(Chris Uhlmann) 수석 정치부 특파원은 “존스, 하들리, 애보트 전 총리의 수석 보좌관이었던 페타 크레들린(Peta Credlin) 등 ‘Sky after dark’ 프로그램의 진행자들이 턴불 전 총리의 사퇴를 이끈 주요 인물들”이라고 지목하기도 했다.

페어팩스 미디어에 따르면 턴불 총리와 가까운 원로 자유당 의원들은 크레들린 및 존스와 함께 전 자유당 의원이었던 로스 캐머론(Ross Cameron)과 스카이 뉴스 진행자들이 몇몇 자유당 의원들에게 연락해 턴불 총리를 비난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크레들린은 “정치와는 상관없이 방송 프로그램의 진행자로 활동하고 있는 것일 뿐”이라며 이번 사건에 연루되지 않았다고 반박했으며, 존스에 대한 질문에도 답변을 피했다.

턴불 총리는 사퇴를 결정하기 전 기자회견을 통해 “당내 소수집단이 자신들의 지도력 강화를 위해 의회 밖의 힘을 이용, 다른 의원들을 왕따시키고 또 위협하고 있다”며 자신의 총리직 사퇴에 압력을 가하는 외부적 힘이 존재하고 있음을 드러낸 바 있다.

턴불 전 총리와 가까운 몇몇 측근들은 당시 그의 발언을 두고 2GB 진행자들과 뉴스 코퍼레이션을 겨냥한 것이라고 확신했다.

자유당의 원로 의원들은 페어팩스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뉴스 코퍼레이션은 턴불 전 총리가 집권한 이래로 그의 리더십에 관한 편파적 보도를 지속해왔다”며 특히 루퍼트 머독이 자신의 첫째 아들 라클란 머독(Lachlan Murdoch)과 함께 호주를 방문했을 때가 특히 심해 머독의 지시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러나 뉴스 코퍼레이션 관계자들은 “머독은 뉴스의 방향에 대해 지시하는 사람이 아니다”며 이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보였지만, 일부는 “머독이 호주를 방문하면 통례적으로 뉴스 코퍼레이션의 정치 파트가 영향을 받게 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페어팩스 미디어에 따르면, 정치 일각에서 그리고 뉴스 코퍼레이션 관계자들은 뉴스 코퍼레이션의 공동회장인 라클란 머독이 턴불 전 총리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부친(루퍼트)보다 훨씬 더 보수적 성향을 보이고 있다는 반응이다. 이들은 또한 라클란이 크레들린과 애보트 전 총리 모두와 상당히 가까운 사이로 알려져 있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루퍼트 머독은 자신이 소유한 미디어를 통해 정치계에서 세계적인 영향력을 확보해왔다. 영국에서 그의 타블로이드 신문은 과거 노동당의 지지를 받아왔으나, 최근에는 보수당의 지지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서 머독은 예비선거 당시 트럼프에 반대했다가 그가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확정되자 적극적인 후원자로 발 빠르게 갈아타 현재는 트럼프의 열렬한 지지자 역할을 하고 있다.

트럼프는 자신의 트위터에 폭스 뉴스 프로그램의 아침 및 저녁 방송 진행자들에 대한 견해를 언급, 폭스뉴스의 팬임을 드러내기도 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머독).jpg (File Size:49.6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01 호주 촛불만큼 뜨거운 시드니 동포들의 ‘특별법’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7.24.
6500 호주 호주 현지 요리사들, 다양한 재료의 비빔밥 선뵈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9 호주 말레이시아 항공기 격추... 호주인 희생자 36명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8 호주 전 세계 민간 항공기 격추, 최대 인명 피해 5건은...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7 호주 탄소세 폐지 불구, 애보트 정부 지지율 하락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6 호주 탄소세 폐지 법안, 연방 상원에서 가결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5 호주 탄소세 관련 Timeline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4 호주 ACCC, ‘탄소세 폐지에 따른 제품가격 인하’ 조사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3 호주 시드니 도심, 2침실 아파트에 최대 14명까지 입주시켜 file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2 호주 “주택가격 연간 상승 2.4% 미만이면 임대, 경제적” 호주한국신문 14.07.31.
6491 호주 ‘세월호 참사 특별법’ 청원 서명, 시드니서 1천280명 확보 호주한국신문 14.07.31.
6490 호주 올 한국영화제, 호주 전역 6개 도시로 확대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9 호주 연방 경찰, 이라크 테러 가담 호주인에 체포영장 발부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8 호주 호주사업위원회, “호주는 근본적 사고 변화가 절실하다”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7 호주 시드니 카운슬, 도심에 800만 달러 규모 예술품 설치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6 호주 ‘크라운’ 슈퍼 펜트하우스, 호주 최고가 주택 될 듯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5 호주 까다로운 실업수당 조건, 구직자를 범죄로 내몰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4 호주 연방 정부, 새 고용 서비스 모델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3 호주 NSW 주, 말기환자 위한 대마초 사용 합법화 추진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2 호주 호주인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하루 15명달해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1 호주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사진으로 보는 참전 호주군들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0 호주 시드니 주택경매 낙찰률 4주 연속 77% 이상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9 호주 “통일 한국은 동북아 및 세계 평화의 중심...”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8 호주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 제17대 회장단 출범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7 호주 한국문화원, 영화제 알리기 적극 나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6 호주 어번 보타닉 가든, 8월16일(금) ‘벚꽃축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5 호주 인종차별, 학생들에게 무력감 배가시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4 호주 전 시드니 대주교 에드워드 클런시 추기경 선종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3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2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1 호주 호주 군 섹스 스캔들 핵심 멤버 프레데릭슨, ‘유죄’ 인정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0 호주 People power, 기차역에서 위험 처한 시민 구해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9 호주 10대 청소년들, 유태인계 학생 대상 인종 학대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8 호주 호주 주택가격, ‘가을 침체’ 이후 회복세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7 호주 치사율 최대 90%...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 확산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6 호주 애보트 정부, 인종차별법 개정안 추진 철회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5 호주 파라마타, 가장 높은 주택가격 성장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4 호주 제5회 호주 한국영화제, 이벤트 시네마서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3 호주 “건국절 제정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위배”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2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1 호주 숙명여대 음대생들, 시드니대학서 연주회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0 호주 시드니 주택 가격, 올 2분기 3.1%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9 호주 NSW 주 하원의원 2명, 부패 혐의로 의원직 사퇴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8 호주 NSW 주 정부, 고속도로 제한 속도 상향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7 호주 정부, 취약 계층에 GP 진료비 $7 면제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6 호주 호주 노동자 임금 인상, 물가 상승 못 따라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5 호주 “중동 지역 긴장으로 호주내 인종차별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4 호주 12세 딸 불법 결혼시킨 아버지, 첫 범정 심리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3 호주 맹견 공격으로 이웃집 남성 손가락 절단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2 호주 기획①-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호주한국신문 14.08.14.